숙
1. 단어
쑥을 '숙'이라고 하는 방언도 있다.
숙(菽)이라는 콩의 한 종류도 있다.
2. 한자
교육용 한자로 '숙'이라 읽는 글자는 다음 6자이다.
- 叔 (아재비 숙): 친척의 호칭에 자주 쓰인다. 叔毛/叔父(숙모/숙부), 外叔母/外叔(외숙모/외숙) 등. 아저씨와 조카를 함께 이르는 말로 叔姪(숙질)이라는 말도 쓰인다.
- 宿 (묵을 숙): 주로 "묵다"의 의미로 쓰이나, "오래 묵은, 운명적인"의 의미로도 쓰인다. 1의 의미로는 宿泊(숙박), 宿職(숙직), 寄宿舍(기숙사), 宿主(숙주), 宿所(숙소), 露宿(노숙), 合宿(합숙), 旅人宿(여인숙) 등이 있고 2의 의미로는 宿題(숙제), 宿命(숙명), 宿敵(숙적), 宿便(숙변)이 있다.
- 淑 (맑을 숙): 淑女(숙녀)가 대표적이다. 직접 배우진 않았으나 존경하여 따라감을 뜻하는 私淑(사숙)이란 표현도 있다. 한글 고전소설 淑香傳(숙향전)도 이 글자를 쓴다.
- 孰 (누구 숙): 교육용 한자이나 한자어로 쓰이는 예는 거의 없다.
- 熟 (익을 숙): "불로 익히다"를 뜻하는 글자. 익히려면 시간이 걸려서인지 "오래 지나 익숙해진"의 의미로도 쓰인다. 한자어는 상당히 많은데 熟知(숙지), 熟考(숙고), 熟語(숙어), 熟達(숙달), 熟醉(숙취), 熟成(숙성), 熟眠(숙면), 熟膾(숙회) / 成熟(성숙), 未熟(미숙), 親熟(친숙), 能熟(능숙), 白熟(백숙), 圓熟(원숙), 完熟(완숙), 早熟(조숙), 半熟(반숙) 등이 있다. '익숙하다'나 '숭늉'(<熟冷)도 이 글자에서 온 것이다.
- 肅 (엄숙할 숙): "숙연함"을 뜻하는 글자. 한자어로는 靜肅(정숙), 自肅(자숙), 嚴肅(엄숙), 肅淸(숙청), 肅然(숙연) 인명/종족명으로는 肅宗(숙종), 肅愼(숙신)이 있다.
그밖에 잘 쓰이지 않는 글자로 菽, 夙, 潚, 琡, 璹가 있다. 전산으로 등록된 '숙'으로 읽는 글자는 이 12자뿐이다.
3. 인명
주로 여자 이름으로 '-숙'이 자주 쓰인다. 한자는 대개 淑이 쓰이며, 예전 시대 사람은 肅을 쓰기도 한다. 주로 7080 포함 이전 세대 여성들이 자주 썼고 90년대부터는 잘 쓰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공부에 집중하려고 '정숙'이라고 써놨더니 다른 사람이 보고서는 여자 이름인 줄 알았더라는 좀 예전 유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