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층언어

 

+5 [[兩]][[層]][[言]][[語]]
Diglossia
1. 개요
2. 사례
2.1. 공적 언어와 대중문화의 언어가 다른 경우
2.2. 구어와 문어가 다른 경우


1. 개요


그리스어로 'di-'(둘) + 'glossia'(언어)가 합쳐진 단어로 어원적으로는 'bilingualism'과 동일하지만, 20세기 초부터 용례가 갈리더니 의미가 달라졌다.#
단일 언어 사회 안에서 2종류 이상의 언어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따로 사용되는 형태로 공존하는 현상. 층위를 나누지 않고 한 사회 안에서 여러 언어가 사용되는 현상은 다중언어 현상(multilingualism)이라고 한다. '표준어-방언-은어'와 같이 한 언어 사회 내부에서 다양한 언어 변이가 존재할 경우 양층언어 현상, '모로코에서는 프랑스어와 아랍어를 사용한다'처럼 한 언어 사회에 상이한 언어들이 혼재할 경우는 다중언어 현상이다.
공식적이고 격식이 요구되는 자리에서 사용되는 말과 사적이고 비격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되는 말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런 차이가 상당히 커서 이들을 언어학적으로 별도의 언어나 방언으로 따로 구분해 줄 필요가 있을 경우, 이런 상황을 diglossia라고 한다.
문어/구어의 차이, 격식언어/비격식언어의 차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모습은 대단히 달라질 수 있다. 제주어를 독립된 언어로 보는 관점에서는 대한민국 정부 초기까지의 제주어가 일종의 양층언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때로는 이러한 현상이 계층/계급 간의 차이와 연결되기도 한다. 이 경우 언어가 계층의 소속을 증명하는 척도로 작용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같은 기원을 갖는 언어의 지역/지위적 차이로 달라진 두 언어/방언을 대상으로 하지만 정의 자체에 '유사한 언어'가 전제되지는 않는다. 완전히 다른 언어라 하더라도 지역/지위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면 diglossia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영어 위키백과 diglossia 문서(2019년 1월 2일 확인)에서는 그러한 입장에 따라 아랍어영어가 적힌 표지판을 이미지로 싣고 있다.
한국어의 경우 표준어/서울 사투리와 그 외의 지역 방언이 이런 격차가 난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2. 사례



2.1. 공적 언어와 대중문화의 언어가 다른 경우


표준 아랍어는 쿠란의 아랍어를 기초로 한 것으로 아랍권 전체에서 공적 언어로 통용된다. 그러나 표준 아랍어는 '쿠란은 하늘이 내린 책이니 수정을 금한다'라는 샤리아의 영향으로 오랜기간 동안 크게 변화하지 않았고, 쿠란 아랍어를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문법이 다소 간략해지고 다수의 외래어를 받아들이는 등의 변화를 겪었다고 하지만 다른 언어에 비하면 그 변화 폭이 크지 않다. 그러나 고전 아랍어가 표준어로써의 지위를 확립했다고 해도 중동 각지에서 아랍어가 퍼지는 과정에서, 콥트어, 베르베르어, 남아라비아어 등 기존에 쓰이던 현지 언어 어휘의 흡수와 시대에 따른 발음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수 많은 아랍어 방언이 생겨나게 되었다. 표준 아랍어와 많은 아랍어 방언들은 서로 다른 언어나 다름없어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수준이다.
카사레부사는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고 독립한 그리스가 그리스어의 표준 규범을 확립하면서 '그리스적 순수성'을 확립하기 위해 고대 그리스어의 규범에 가깝게 인위적으로 창조한 말이다. 반면 일반 민중은 구어체인 디모티키를 사용하였는데 둘 간의 괴리가 심해서 카사레부사는 공적 자리에서만 사용하게 되었다. 이 현상은 1976년 이후 그리스어의 언어규범이 디모키티 위주로 통일되면서 사라졌다.

2.2. 구어와 문어가 다른 경우


방언끼리는 서로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라서 명대 이후에는 중앙 관료용 구어로 '만다린'을 썼는데 근대화 후에 이것이 표준중국어로 발전한다. 극심한 방언 차이는 중국이 근대화 이후에도 표의문자인 한자를 계속 쓰는 이유이기도 하며, 언어학자들이 중국어란 언어를 정의하는 데 골머리를 앓는 이유이기도 하다. 신해혁명 이후에는 신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어려운 한문 대신 입말 그대로 써서 대중과 더 친밀하고 배우기 쉬운 백화문을 쓰자는 언문일치 운동이 일어나 문어체에서도 한문 대신 북경어 백화문에 기초한 표준중국어를 쓰게 되면서 양층언어 현상이 소멸했다. 물론 그 이전에도 백화문이 안 쓰인 것은 아니지만, 저급한 것으로 취급되어 대중소설 등에서나 쓰였지 공문서 등지에서는 쓰이지 않았다. 참고로 지금도 표준중국어를 배우지 못한 노인들이 많은 곳은 각 지역의 중국어 방언을 통역하는 직업이 있다고 한다.
  • 한국(조선시대 까지)
한문은 외국어인 중국어를 기반으로 한 문어로, 한국어와는 이질적인 문자체계이다. 양층언어 현상이 소멸되기 시작한 것은 갑오개혁 이후 공문서에 국문을 본위로 하여 적기로 한 때부터이다.
문어체헤이안 시대의 일본어를 모범으로 한 서면 언어로 그 이후 일본어가 크게 변화하면서 구어체와는 괴리가 일어나게 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 언문일치 운동으로 양층언어 현상이 점차 해소되어 갔지만 구어체를 그대로 옮겨적은 출판물과 문어체 출판물이 공존하다가 2차대전 패망 이후 끝까지 문어체를 고수했던 법률 조항과 공문서가 완전히 구어체 기반의 현대 일본어로 전환되면서 사라졌다.
  • 방글라데시
    • 문어 : 표준 벵골어
    • 구어 : 지방 사투리
방글라데시는 벵골어 사용에 있어서 양층언어현상이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19세기 벵골어의 표준화 작업에 공헌한 대부분의 학자들이 서벵골 지역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자연히 표준 벵골어는 콜카타에서 쓰이는 벵골어 방언을 기초로 만들어졌고 현재 동벵골 지역인 방글라데시에서 사용되는 벵골어와는 심한 차이를 보였다. 게다가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로 동파키스탄에 속하게 된 방글라데시는 자연히 옆 동네인 콜카타와는 교류가 단절되었으므로 그 방언이 더더욱 심하게 발달하였다. 현재 방글라데시의 벵골어는 여러 지역어와 청소년들의 슬랭이 섞여 인도의 벵골어와는 구어체에서 심한 차이를 보인다. 물론 표준 벵골어의 기틀을 흔들 수는 없으니 방글라데시도 공식석상이나 뉴스에선 당연히 콜카타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어를 사용하지만 구어체 벵골어는 발음, 표현법, 동사변화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 미얀마
    • 문어 : 문어체(high)
    • 구어 : 구어체(low)
문어체는 공식적인 상황에 사용되며, 구어체는 일상에서 쓰인다. 문어체의 경우 13세기 이후에 큰 변화가 없었는데, 역사적으로는 구어체가 권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문어체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부터 일부 미얀마 작가들이 작품에 구어체를 사용하는 등 구어체의 사용 빈도가 점점 높아졌으며, 최근에는 공식 문서, 학술 자료, 소설 이외에는 구어체를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1].
[1] 광고, 텔레비전 보도, 잡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