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버스
[image]
옥천~안남~가덕마을 노선. 2018년 5월 11일.
1. 개요
충청북도 옥천군 소속의 시내버스 회사. 정식 명칭은 '''옥천버스운송주식회사'''. 본사는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금로 9(금구리 139-8)에 위치하고 있다.
1980년 충북교통(현 충북리무진)에서 분리하여 설립하였고, 당시 충북교통의 대전 - 옥천 간 시외완행버스를 양수받아 18번(현 607번)으로 대전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를 시작하였다. 차종은 분사 당시 대우버스로 구성되어 있었다가 1987년 현대자동차의 FB500을 1~2대 정도 도입하였고 1996년에 아시아 AM828 코스모스 1대를 도입한 이후로 계속 자일대우상용차만 도입하고 있다. 현재 옥천버스에 있는 현대 카운티는 당시 대우버스에 중소형버스가 없었던 이유로 어쩔 수 없이 도입한 버스다. 카운티 차량을 빼면 전 차량 자일대우상용차로 마저 남은 카운티마저 자일대우상용차로 대차하여 100% 자일대우버스 업체가 될 줄 알았는데 2016년 6월 대략 28~29년 만에 현대자동차의 대형신차를 도입하였다. 차종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유로6 디젤. 2018년부터 다시 자일대우상용차만 도입하였으나 2020년 9월에 베트남 이전 문제로 인한 울산공장 조업중단 문제로 괴산 아성교통처럼 그린시티 개선형을 3대 출고했다.
옥천군을 중심으로 대전광역시와 보은군, 영동군 등을 연결하는 농어촌버스 노선들을 운행하며 전 구간 단일요금제다.(대전으로 가는 607번 제외)
2011~2012년 즈음부터 노선번호를 부여한 것 같은데, 어찌된 이유인지 군청에서 번호를 공지하지 않고 있다가 현재는 공개했다. 위 사이트로 들어가서 시내버스 첨부파일 클릭 후 첨부파일 다운로드(알집)
다만 대전과 보이지 않는 갈등이 있는지, 607번 중 옥천버스 차량들은 옥천버스의 반발로 비래동기점까지 가지 않는다.
승객들이 거리먼 승강장[1] 에서는 기사님한테 양해를 구한 뒤 중간에서 세워준다.
1.1. 노선 목록
1.1.1. 간선버스
1.1.2. 농어촌버스
- 옥천군 농어촌버스/10번대
- 옥천군 농어촌버스/20번대: 70번대도 이 문서에 기재되어 있다.
- 옥천군 농어촌버스/30번대
- 옥천군 농어촌버스/40번대
- 옥천군 농어촌버스/50번대
- 옥천군 농어촌버스/60번대
- 610번[3]
2. 면허 체계
- 충북 74 자 50##호
3. 보유 차량
3.1. 현재 보유 차량
3.1.1.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레스타 디젤[4]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디젤
- 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디젤[5]
- 대우 NEW BS110 뉴 로얄논스텝 디젤[6]
3.1.2. 현대자동차
3.2. 과거 보유 차량
3.2.1.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9]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10]
- 새한 BF101 디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11]
- 대우 BF105 디젤[12]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13]
- 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14]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15]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16]
3.2.2. 현대자동차
3.2.3. 기아자동차
[1] 손흔들면 태워준다[2] 대전운수와 공배한다. 단, 대운노선은 비래동노인회관에서 직진해서 비래동종점으로 들어가지만 옥버노선은 꺽어서 비래검문소까지만 간다.[3] 보은군 농어촌버스 신흥운수 공동배차[4] 2014년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다.[5] 2016년에 1대를 첫 도입하여 현 607번에 투입되어 있다. 그러다 2018년에 추가로 1대를 더 도입하여 현재는 같은 노선에서 2대가 운행중이다.[6] 2019년 10월말에 첫 도입했다. 이는 충북 군 단위에서 진천여객, 음성교통의 우진산전 아폴로 1100 FEV에 이은 세 번째 저상버스 출고 업체다.[7] 2005년 말, 2008년 초, 2011년에 도입하였다.[8] 유로6 형식 2016년 도입분으로, FB500 이후 근 29년만에 도입한 현대 대형 신차다. 607번에 투입했었다. 그러고 나서 2017년에 또 1대 신차를 도입하여 같은 노선에 투입되어 있다.[9] 2003년~2004년에 도입하였고 중문 슬라이딩형이었다.[10] 2005년~2008년 초에 도입하였고, 2016년~2017년에 전멸하였다.[11] 1980년대~1990년대 초반 당시 주력 차종이었고, 1994년부터 본격 대차에 들어가서 1998년까지 운행하였다. 여러 대 중 2대 만(1990년 도입분)이 중문 슬라이딩형으로 운행하였다.[12] 1996년까지 도입하여 2006년 초반까지 운행하였다. 폴딩중문형은 1992년까지(슬라이딩형도 병행 도입)만 도입하였고 1993년 의자가 회색으로 바뀐 후로는 슬라이딩형으로만 도입하였다. 1995년 후반에 하부냉방형을 1대 도입하기도 하였다.[13] 1996년(철창틀) 신차로 첫 도입하여 1997년 말(2/3개폐창)에 1대 더 도입하였다.[14] 1999년 중에 서울 신길운수 중고차 1994년형 1대를 도입하였다.[15] 1998년~2001년에 도입하였다.[16] 유로4 형식 2009년 도입분 3대와 유로5 형식 2010년 도입분 1대로, 2019년 10월말 저상버스를 첫 도입하면서 전멸되었다.[17] 1987년에 1~2대 도입하여 구 640번(현 607번)노선에 자주 투입하였다.[18] 1996년 후반에 1대 도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