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게이트

 

스타크래프트 프로토스빌드 오더 중 하나로 원게이트 이후 테크트리를 타서 중반을 노리는 빌드.
1.1.1. 현대의 선겟 플레이
1.2. 테란전


1. 스타크래프트


주로 더블넥서스와 대비되는 저그전에서의 본진 플레이 빌드를 일컬으나 테란전에서 안 쓴다는 의미는 아니다. 테란전에서는 노게이트더블(=생더블)을 제외한 모든 빌드가 원게이트를 거쳐가게 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원게이트는 테란전에서 특색이 있는 빌드라고 여겨지지 않는다. 다만 저그전의 원게이트 방식을 응용한 빌드는 존재한다.

1.1. 저프전


초창기의 저그 선수들는 지금과 비교하면 최적화가 잘 안 되어 있는, 운영상의 콘셉트에 가까운 테크 트리였고 따라서 초반의 빈틈이 많았고, 하드코어 질럿러시로 어렵지않게 뭉개버릴 수 있었다. 이후 토스들은 모두 2게이트 하드코어 질럿을 애용하게 되었다.
그러다 9드론으로 하드코어 질럿 러쉬을 막는 법을 개발됐고, 점차 저그 유저들의 컨트롤이 발전함에 따라서 9오버풀 혹은 12 앞마당 테크 트리로도 하드코어 질럿 러시를 막게 되어 프로토스는 정석이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2002년 이후 강민더블넥서스를 정석으로 정립한 2005년 이전까지 프로토스는 그냥 저그의 밥이 되고 만 것이다.
1게이트웨이 운영은 2게이트웨이 하드코어 질럿 러시가 정석에서 불안한 빌드로 격하된 이후부터 더블넥서스가 정석으로 정립되기 이전까지 토스들이 정석을 만들려던 여러 시도 중의 하나였다. 대부분의 프로게이머들은 하드코어 질럿이 아니더라도 투게이트를 써서 초반의 불안함을 없애려고 했지만 강민은 1게이트류를 꾸준히 실험했는데 결국 그런 강민도 gg치고 더블넥을 주야장천 써서 훗날 더블넥을 정석으로 확립하게 된다.
테크 트리는 '원게이트 - 어시밀레이터 - 사이버네틱스 코어 - 스타게이트'가 원게이트 류의 일반적인 빌드인데 원게이트도 체계적으로 정립되기 전에는 포지를 빨리 지어 공업을 빨리 돌리는 하쉬토스(공업질럿), 하이퍼토스(공발업 질럿러쉬) 등의 갈래도 있었으나 빠른 뮤탈에 그냥 막히게 되어 사장되었다.
운영은 러시 거리가 가까운 맵일 경우 6.5파일런-7게이트로 초반 원질럿과 정찰프로브드론을 잡으며 기세를 올리는 방식과, 러시 거리가 좀 먼 맵에서 초반 저글링만 막을 정도로 10게이트에서 천천히 질럿을 3마리까지 뽑아 입구를 막고 바로 드라군을 뽑아 정찰 온 오버로드를 잡는 유형으로 나뉜다.
두가지 갈래 모두 이후에는 커세어가 나오자마자 상대 본진을 정찰하며 오버로드를 공격하게 된다. 그리고 질럿의 발업을 하고 러시를 가거나 다크를 찔러 넣거나 하며 앞마당을 가져가게 된다.
빌드의 장점은 초반 질럿으로 압박이 가능하며 더블넥서스에 비해 첫 커세어가 매우 빨라 정찰+오버로드를 찢는 타이밍이 빠르다는 점이다. 저그 입장에선 예상 못한 타이밍에 오버가 찢기면 빌드가 말리게 마련이고 연이어서 발업질럿이나 다크가 오면 경험있는 저그가 아니면 쉽게 대처하기 힘들다.
단점은 초반에 질럿이 너무 적어서 입구막는 것이 불안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원게이트 빌드가 사장되는 원인이 되었는데 초반에 저글링 중심으로 뽑으면서 드론을 조금 데려와 토스 본진의 미네랄을 찍고 밀치기를 하면 질럿은 우왕좌왕하며 입구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저글링이 들이닥치면 질럿은 순식간에 다 죽고 게임이 끝나기 때문이다. 물론 예리하게 이렇게 찌를 경우가 무서운건데 제 타이밍에 못찌르면 저그도 망하기 쉽다. 프로토스가 눈치채고 프로브를 동원한다던가, 심시티로 입구를 좁힌다던가.
그리고 원게이트 공격에 내성이 생긴 저그 유저들 같은 경우에는 토스가 빌드를 잘 구사함에도 불구하고 잘 막아내서 결과적으로 더블넥서스를 가져가는 것만 못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결국 정석이 더블넥으로 굳혀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원게이트 이후 후반 운영까지 능숙하게 소화한 선수로는 송병구가 대표적이다. 송병구의 대표적인 원게이트 경기. 원게이트에서 질럿을 최대한 살리며 견제 및 정찰, 템플러 테크를 확보하며 앞마당, 저그의 흔들기를 최대한 피해 없이 막아내며 조합을 갖춘 한방러시. 그야말로 1게이트에서 이어지는 이상적인 고전파 프로토스의 극치라 할 수 있다.
원게이트 빌드의 의의는 프로토스가 앞마당을 확보하려는 자원 우위의 움직임의 저그에 대항해 병력 우위를 선점하려던 프로토스의 2게이트가 무위로 돌아간 뒤, 테크 우위의 잠재력을 모색했다는 점에 있다. 비록 1게이트 자체는 저그에게 큰 위협이 되지 못했고, 대부분은 1회성 필살 전략이라 들키면 답이 없는 그런 전략들이었다. 하지만 하이테크 유닛을 빠르게 확보하려는 프로토스의 수많은 연구들은[1] 이후 강민과 김택용의 더블넥서스 위에 다시 1게이트 빌드들이 아이디어로 결합하며 빛을 보게 되었다. 커세어 다크(노블토스), 커세어 생략 후 빠른 템플러(아트토스), 커세어드라군리버(CDR), 허쉬토스(빠른 공1업 질럿), 하이퍼토스(공발업 질럿러쉬) 등등, 더블넥을 기반으로 최적화되는 빌드들은 이 시절에 아이디어가 나왔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게이트류의 전형적인 빌드로는 7th clan의 kaiun이란 유저가 개발한 바로크 토스가 있다. 상세한 빌드 내용 이외에도 강민이 홍진호 상대로 개마고원에서 보여준 드라군리버도 원게이트 류라고 볼 수 있다.
더블넥이 정석이 된 이후에도 본진 원게이트나 투게이트 등의 본진 플레이가 깜짝 전략으로 간간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상대가 12앞을 하면 불리해지지만 9발업을 하면 유리해질 수 있다. 특히 저그들은 더블넥이 정석이라는 생각이 강하다 보니 드론이 앞마당만 가보고 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원게이트를 매우 늦게 확인하게 되어 불리해질 수 있다. 심지어는 앞마당 없는 것만으로 상대 본진이 다른 쪽에 있다고 판단, 해처리를 짓다가 선마패 후관광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1.1.1. 현대의 선겟 플레이


원게이트 더블 항목 참조.

1.2. 테란전


사실 테란전에는 정석인 옵드라 빌드도 원게이트를 거쳐가게 되어 노게이트더블(속칭 생더블)과 센터99게이트 빌드를 빼놓고는 모든 빌드가 원게이트류라고 볼 수 있다. 2게이트 사업드라군조차 2게이트 올리고 코어를 올리는게 아니라 게이트-코어-게이트 순서대로 올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그전의 원게이트와 유사하게 진행되는 빌드로는 위에서 언급된 7th 클랜의 kaiun이라는 사람이 만든 샤크 토스가 있다.
빌드오더는 6.5파일런-7게이트 이후 질럿을 계속 뽑으며 상대 본진을 공략하며 18가스 20코어 이후 아둔-템플러 아카이브까지 타며 다크템플러 러시를 가는 빌드이다. 질럿 컨트롤에 혼을 담아 싸워야 하고 그와 동시에 본진 관리를 잘 해야함으로 멀티태스킹이 꼭 필요한 빌드이다. 질럿이 이득을 보면 쉽게 이기는게 가능하나 2015년 즈음 후부터는 공방 유저조차도 후술할 방식을 쓰기 때문에 힘들다.
배럭과 서플로 심시티를 해놓고 마린이 배럭과 서플 사잇길[2]로 왔다갔다하면서 약올리면 질럿이 이득을 보기 쉽지 않다. 물론 공방에서도 초보방에서 하면 질럿러시에 게임이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지만......

2. 스타크래프트 2


스타 2에서는 백이면 백 모든 관문을 차원 관문으로 바꿔서 플레이하며, 당연히 차관을 하나만 올려서 쓰기에는 여러모로 무리가 많으므로 전혀 안 쓰이다시피한다.

[1] 2000년대 초 XX토스라는 식의 이름으로 수많은 전략이 나왔는데, 대부분 저그전의 답을 찾아보려는 프로&아마들의 치열한 연구의 흔적이었다. 물론 대부분 1회용이고 읽히면 답이 없는 그런 전략들이라 결과는 좋지 않았지만.[2] 질럿은 못들어가고 마린과 저글링만 그 사잇길로 이동 가능하다. 단 배럭이 왼쪽, 서플이 오른쪽일때 한정이고 서플이 왼쪽이고 배럭이 오른쪽이면 마린도 지나다니지 못해서 심시티의 의미가 없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