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세어 다크
1. 개요
브루드 워 프로토스의 저프전 더블 넥서스 테크 전략이다. 커세어 다템, 커닥, 비수류 등으로도 불리며, 주로 불리는 이름은 커세어 다크. 직역하면 '''해적선 암흑'''이 되긴 하지만 해적선은 스타크래프트 2 섬멸전에서 제외되어서 더 이상 쓸 수 없다.[1]
이 두 유닛은 둘 다 브루드 워에서 플레이어블 유닛으로 나온 네라짐 유닛들이다.
2. 상세
프로브를 충분히 뽑고 포지에서 공업을 빠르게 돌리면서, 1스타게이트에서 꾸준히 뽑은 커세어와 다크 템플러로 저그가 오지 못하게 시간을 끌고 2번째 추가 자원지대를 빠르게 확보하는 것이 비수류 커닥이다. 커세어 때문에 저그는 뮤탈리스크 선택이 봉쇄당하고 오버로드 속 업과 히드라리스크 확보가 강제된다.[2] 이후 나온 히드라리스크들은 초반부터 빠르게 공 업을 돌린 프로토스 지상 병력에 떡실신.
다만, 스포어 콜로니가 뜰 경우 디텍터 + 커세어 견제를 모조리 하기 때문에 난감하다. 이 때문에 한때 포모스에서 스포어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초반에 스타게이트를 빨리 지어서 커세어를 생산하여 출동. 이후 이 커세어로 상대 진영의 정찰을 할 수 있으며, 도중에 오버로드를 만나면 사냥한다. 해처리 테크에서는 히드라리스크와 스포어 콜로니로만 대공이 되기 때문에 적절한 운영과 적절한 컨트롤로 치고 빠지기로 대응하면 계속 모이는 커세어가 오버로드를 찢어버리며 저그의 인구수는 막히게 된다. 이후 템플러 테크를 타며 다크 템플러를 뽑아서 적 기지를 발라버린다. 오버로드가 히드라리스크의 보호를 받고 있는 경우엔, 커세어로 약간의 피해를 보면서라도 오버로드를 해치워 저그의 시야를 없앤다.
전술한대로 저그는 해처리 테크인 히드라리스크 물량으로 커세어를 제어하려고 해도 공중 유닛에 중형인 커세어를 폭발형 대미지인 히드라리스크가 막는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3] '''커세어가 쌓이기 전에''' 스파이어를 올려서 스커지로 막아야 한다. 방사 피해 특성상 뮤탈리스크로 막기가 매우 까다로와서 최대한 쌓이기 전에 처리해야 한다.
다만, 이는 커세어의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웬만한 컨트롤로는 커세어 보존하기도 힘들다. 이 전술의 핵심은 '''커세어 모으기.''' 만약 운영이 신컨이라면 다크 템플러 이전에 적의 서플라이를 블록하여 이기게 되기도 한다. 웬만하면 투스타 이상 가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적절한 질럿 찌르기로 교란까지 해야한다. 손이 느리다면 시도조차 어려운 고등 전술.
3. 발전 과정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재경기 B조 재경기 박정석 vs 강도경
커세어 다크의 기원은 커세어로 저그의 체제를 파악할 수도 있고, 일단 다크 템플러가 빨리 나오면 오버로드가 초반에 속도 업그레이드가 되어 있지 않으면 공격을 못하고, 따라서 쉽게 앞마당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템플러 아카이브가 있기 때문에 이후 하이 템플러 확보도 쉽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 등장한 3해처리 레어 체제을 상대하기에는 워낙 불안했기 때문에 오랜 수명을 갖지 못하고 사장되었다. 오히려 저그 대 토스전 최종 병기가 조용호류의 울트라리스크 소떼러시였던 시절, 꾸역꾸역 멀티 한두 개 먹고 버티는 데에 성공한 프로토스가 카운터 운영으로 커세어 다크를 쓰면서 시간을 벌고 템플러/아칸을 모으는 데에 활용하는 정도.
So1 스타리그 2005 16강 D조 3경기 (알포인트) 오영종 vs 홍진호
So1 스타리그 2005 16강 D조 2경기 (네오 포르테) 오영종 vs 김준영
후에 '사신 토스'라고 불리우는 오영종이 So1 스타리그 2005에서 부활시켰고,이후 곰TV MSL 시즌1에서 김택용에 의해 새롭게 최적화된다.이를 속칭 '''비수류 커닥'''. 이 전술을 대중화시킨 그의 아이디 'Bisu'에서 따온 명칭이다.
곰TV MSL 시즌1 결승에서 김택용이 마재윤의 3해처리 레어를 커세어 다크로 제압하는 것을 시작으로, 한 때 김택용을 최강으로 만들어줬던 대 레어 삼지창 격파 전술. 물론 3.3.혁명 이후 저그측도 가만히 있던건 아니라서 3해처리 레어 이후의 빌드 오더가 5~6해처리에서 히드라 덴을 건설하면서 심시티를 발는 것으로 개량되어 먼저 오는 정찰 커세어는 스커지로, 다크 템플러는 히드라리스크를 5,6기 단위로 나눠서 막을 수 있고, 혹여나 일꾼 견제를 당해도 다수의 해처리에서 순식간에 드론을 충원해버리기 때문에 견제가 무용지물로 만드는 식으로 더블 넥서스 기반의 커세어 다크, 커세어 리버를 모두 파해했다. 후에는 3해처리 히드라까지 등장하였다.
이 때문에 프로토스는 커세어를 소수만 뽑고 빠르게 물량을 폭발시켜 발업 질럿 찌르기 이후 커세어 다크를 콤보로 섞는 전술을 주로 사용하는 식으로 바뀌었다. 공발업질럿으로 사실상 저그의 제3멀티나 앞마당은 어느정도 파괴되어있고, 뒤이은 커세어+다크 템플러 콤보를 막기가 매우 힘들다. 다만 이 전술은 김택용급의 빠른 화면 전환과 멀티 태스킹, 그리고 최적화된 빌드가 받쳐줘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동영상-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동영상도 제작되었다.
4. 스타크래프트 2
2편의 섬멸전에서는 해적선이 빠졌기에 커닥은 불가능하지만[4] 공허의 유산 캠페인에서는 해적선을 사용할 수 있다. 2편에 등장하는 해적선은 1편보다도 더 강력한 위력을 과시하는데, 일단 아둔의 창 패널 스킬을 통해 지원을 하는 건 기본에, 암흑 기사가 무적 상태가 되어 지정 범위에 있는 적들을 무작위로 공격하는 그림자 격노가 생겼으며, 해적선의 분열망은 자동 시전 가능에 '''지상 아군에게는 그 안에서 멀쩡히 공격도 가능하게''' 버프, 거기에 기본 공격에 경장갑 추가 피해도 있다. 아주 어려움에서도 이 두 유닛을 중심으로 몇 몇 보조 유닛을 조합해주면 전 종족전 만능 카드가 된다.
협동전에서는 보라준이 사용가능한 유닛으로 나온다. 협동전 초창기와 이후 대부분 돌연변이에서 OP 논란을 낳게 만든 핵심이 바로 커닥으로 캠페인보다 더 강력한 성능들을 보유하고 있다. 암흑 기사는 사령관 레벨 1 효과로 인해 보호막 양이 있고, 따로 업그레이드를 해야하지만 그림자 격노도 존재한다. 거기에 탈다림의 피의 사냥꾼이 쓸 수 있는 공허 정지장까지 사용가능하며,
해적선과 암흑 기사가 둘 다 네라짐이기 때문에 협동전에서는 보라준이 커닥빌드를 사용하는 게 가능하다. 더더욱이나 협동전에서는 몇몇 연구가 더 추가되기 때문에 종족 전쟁 시절이나 공허의 유산 캠페인보다 훨씬 더 안정적인 동시에 훨씬 더 강력한 빌드다.
암흑 기사에 경우 영구 은폐는 물론이고 그림자 격노가 연구를 해야하지만 온전히 있다. 거기에 탈다림 피의 사냥꾼이 공허 정지장에다가 암흑 기사 중 제라툴만이 쓸 수 있던 점멸을 사령관 레벨 6때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사령관 레벨 1때 효과가 보호막 증가에 생산 가스 감소인데, 4레벨은 궤도 융화소라 초반부터 빨리 가스를 확보 가능하다. 레벨 7에서는 은폐 유닛의 보호막 회복 속도 5배. 레벨 13은 은폐유닛 사망시 체력을 1 남기고 연결체로 귀환, 레벨 15는 은폐유닛 공격력 +15%. 결국 암흑 기사는 2기만 모여도 혼종 무섭지 않은 '''무서운''' 유닛이 된다.
해적선은 기본 성능 자체를 캠페인에서 그대로 가져왔고, 분열망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성능을 생각하면 이 정도 핸디캡은 있어야한다. 게다가 보라준 레벨 12를 찍으면 '''해적선 영구 은폐''' 연구가 해금된다. 결국 위에서 설명한 은폐 보호막 회복, 은폐유닛 긴급 귀환, 그리고 +15% 대미지 버프도 일단 은폐 연구를 하면 고스란히 받는다. 한가지 문제점은 은폐된 밴시와 은폐 탐지기 관측선 뿐이다. 보라준 특성상 물몸에 은폐기능도 없는 예언자가 유일한 탐지기라 달고다니기는 버거...웠으나 이제 예언자도 영구 은폐 업그레이드의 영향을 받도록 패치되어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역시 은폐 밴시는 일단 밤까마귀만 파괴하고 미사일 포탑을 공허 정지장에 박아넣면 그만.
한가지 문제는 떡장갑 공대공 유닛들인데 혼종 네메시스, 전투순양함, 폭풍함, 우주모함이 있다. 이 경우엔 공허 포격기 몇기를 붙이거나 그냥 풀업 해적선의 0.5초마다 10뎀지로 때려잡기도 한다. 스플래시 덕에 주위에 있는 경장갑은 0.5초당 20뎀지를 맞고 터져나간다. 높은 난이도에서도 먹히지만 3줄이상 모여야 그나마 수월하다. 다만 공허 출격에서 로키는 이 정도 물량이 모여도 힘드니 블랙홀에 넣던가 공허 포격기를 섞어서 커닥에 발맞춰 가는게 좋다. 해적선을 많이 뽑을 생각이 아니라면 암흑 집정관을 이용해 떡장갑 공중유닛을 정신지배 해다가 쓰는 방법도 있다. 다만 복수자 풀 중첩 걸린 혼종 네메시스는 때려잡아야 하는데 알다시피 복수자가 고연사 유닛에게 극상성을 보이는 돌연변이원인지라 이 경우엔 동맹에게 맡기거나 블랙홀에 넣고 비 오는 날 먼지 나도록 주구장창 때려서 잡을 수밖에...
[1] 공허의 유산 캠페인에서 재등장해서 이 때 한정으로 커세어 다크를 쓸 수 있다. 그런데 웃긴 것은 암흑 기사는 시전 중 미사일형 공격을 그냥 무시하고 5연타를 날리는 스킬을 얻고 해적선은 분열망이 아군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엄청난 버프를 먹은데다 둘 다 자동시전이 가능해서 브루드워의 커세어 다크가 돌아온 격이 됐다. 꼭 암흑기사가 아니더라도 원거리 유닛인 거신같은 유닛과 섞어 써도 괜찮다. 협동전 임무에서 보라준을 선택했을 때도 사용이 가능하며 15레벨이 되면 오히려 캠페인에서보다 강하다![2] 오버로드 속 업을 안하다 망한 게 바로 3.3 혁명 2경기. 다 이긴 경기였으나 속업 안하고 하이브를 올리려다가 커세어 견제와 다크 난입에 떡실신당했다.[3] 만약 히드라리스크 물량으로만 막으려 든다면? 질럿 찌르기로 카운터한뒤 다크 템플러, 리버 등 후속타로 가면 된다. 애초에 공중 유닛인 커세어를 상대로 지상 유닛인 히드라리스크로 막아내겠다는 것은 지키는 식의 수동적인 플레이가 강제됨을 의미한다. 상대는 볼 거 다보면서 맞춰가는데 자신은 오버로드가 썰려나가니 정찰도 못하고 수비만 하게 되는 것. 저프전에서 히드라리스크를 다수 확보한다면 템플러 테크 이전에 반드시 교전을 벌여 최소한 병력 교환이라도 해줘야 한다.[4] 비슷한 용도로 불사조 암흑 조합은 있다. 다만 불사조는 경장갑 섬멸 유닛인지라 중장갑인 대군주를 그리 빠르게 잡지는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