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공산주의
에스페란토: Eŭrokomunismo
영어: Eurocommunism
한국어: 유럽 공산주의/유러코뮤니즘
1. 개요
1950년대에 헝가리 혁명을 소련이 군대를 이용하여 무력진압하는 것을 본 서유럽의 공산당들이 자신들은 소련과는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소련식 공산주의를 비판하면서 만들어진 서유럽의 독자적인 공산주의 노선.
기존 레닌주의와의 차이점은 합법적인 의회정치의 방법론을 긍정하고 소련과 중국과 같은 일당제가 아닌 다당제의 공산주의를 실현, 유물사관과 국가 무신론이 아닌 종교의 자유를 선언한 것, 68혁명의 영향으로 신좌파 세력의 요구를 다수 수용한 것에 있다. 이 공산주의 사상을 유로코뮤니즘 또는 '''신공산주의'''라고도 부른다.
유럽공산주의를 받아들인 정치 단체는 유럽뿐만이 아니라 다른 대륙에서도 있으며 일본 공산당도 소련식 공산주의가 아닌 유럽공산주의 노선을 받아들였다. 다만 일본 공산당은 유럽의 공산당들이 북대서양 조약기구에 협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을 비판하는 등 둘 사이의 차이점들도 엄연히 존재한다.
1960년대 이후로 자본주의 진영에 속한 국가들 중 합법적으로 활동하는 공산당들은 대부분 유럽공산주의의 이념을 따르고 있다. 초창기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이 정립한 사회민주주의도 이와 유사한 성격을 가졌다. 그러나 이때의 초기 사민주의와 오늘날 사민주의의 간극은 크다. 오늘날 사민주의 중 사민우파라 불리는 사회자유주의(리버럴)는 계급투쟁을 포기하고 '복지자본주의' 추구 정도로 크게 우경화된 반면 유로코뮤니즘과 베른슈타인 당시의 사민주의, 오늘날의 사민좌파는 일당제에 대한 부정과 의회정치의 긍정에서 사민우파와 공통점이 있을뿐 (적어도 명목 상으론) 계급해방을 추구하는등의 사민우파에 비해 더 좌파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2. 유럽공산주의 노선을 선택한 단체
- 일본 공산당(?)
일본 공산당은 유럽 공산당들을 비판하는 입장이다. 공산주의 국가가 대부분 있었을때는 서유럽보다 동유럽 공산당을 옹호하기도 했다. 그걸 제외하면 큰 방향성은 대체로 비슷해보이지만.
요네하라 마리의 증언에 따르면 (냉전의 절정기였던) 60년대 중반 무렵 국제 공산주의 운동 진영 내에서 일본 공산당은 유럽의 공산당들에 비판적이고,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세계의 국제질서에 반대하는 '좌파'로 분류되고 있었다. 반면 진영 내 '우파'로 분류된 대표적인 공산당이 서구권에 유화적인 입장을 취한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었다. 하지만 국내 정치에서는 '제도적 민주주의의 정착 및 산업화를 통한 경제발전이 이뤄진 나라'에서 '선거와 원내정치를 통해 개량/개혁적이고 점진적인 노선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으로 유럽의 공산당들과 비슷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던 것. 즉 일본 공산당과 유로코뮤니즘(및 유럽의 공산당들)의 관계는 해당 국가의 정당으로써 가지는 정치적 성향과 국제 정세의 진영구도 사이의 간극과 모순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물론 이 문제에 있어서는 일본이 가지는 아시아 국가로써의 특징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어 중국이 패권국가로 부상하기 이전인 60~80년대 무렵, 일본 공산당은 제국주의 시대의 과거사에 대한 반성적 입장때문에 친중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고, 동시에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에서 핵심 파트너이던 일본의 야당으로써 미국 주도의 서방세계 질서(안보체제)에는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요네하라 마리의 증언에 따르면 (냉전의 절정기였던) 60년대 중반 무렵 국제 공산주의 운동 진영 내에서 일본 공산당은 유럽의 공산당들에 비판적이고,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세계의 국제질서에 반대하는 '좌파'로 분류되고 있었다. 반면 진영 내 '우파'로 분류된 대표적인 공산당이 서구권에 유화적인 입장을 취한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었다. 하지만 국내 정치에서는 '제도적 민주주의의 정착 및 산업화를 통한 경제발전이 이뤄진 나라'에서 '선거와 원내정치를 통해 개량/개혁적이고 점진적인 노선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으로 유럽의 공산당들과 비슷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던 것. 즉 일본 공산당과 유로코뮤니즘(및 유럽의 공산당들)의 관계는 해당 국가의 정당으로써 가지는 정치적 성향과 국제 정세의 진영구도 사이의 간극과 모순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물론 이 문제에 있어서는 일본이 가지는 아시아 국가로써의 특징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어 중국이 패권국가로 부상하기 이전인 60~80년대 무렵, 일본 공산당은 제국주의 시대의 과거사에 대한 반성적 입장때문에 친중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고, 동시에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에서 핵심 파트너이던 일본의 야당으로써 미국 주도의 서방세계 질서(안보체제)에는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현재 이탈리아 민주당으로 통합된 정당으로, 현재 재건된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이다.
- 키프로스 노동인민진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