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행정

 



1. 舊 의성현 지역
1.1. 의성읍
1.2. 단촌면
1.3. 점곡면
1.4. 옥산면
1.5. 사곡면
1.6. 춘산면
1.7. 가음면
1.8. 금성면
1.9. 봉양면
2. 舊 비안현 지역
2.1. 비안면
2.2. 구천면
2.3. 단밀면
2.4. 단북면
2.5. 안계면
2.6. 다인면
2.7. 신평면
2.8. 안평면
2.9. 안사면

[image]
총 1읍 17면 구성. 상주시와 더불어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면의 숫자가 제일 많다'''. 지금의 의성군은 일제가 동쪽의 의성현과 서쪽의 비안현을 강제로 합쳐서 만들어서 뭔가 조랭이떡스러운 형상을 하고 있다(...). 상당히 면적이 넓어서 의성군을 둘로 쪼갠다는 구상이 1967년에 한 번 나왔었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 舊 의성현 지역



1.1. '''의성읍'''


읍소재지는 후죽리이다. 1940년 11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는 '''13,539명'''.[A]
의성군청, 중앙선 의성역, 의성시외버스터미널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의성향교, 문소루 등이 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의성군이 舊 비안군을 흡수한 이후로 의성군 내에서 동쪽에 치우쳐 있다. 안평면, 단촌면, 점곡면, 사곡면, 금성면, 봉양면과 직접 접한다.

1.2. '''단촌면'''


면소재지는 하화리이다. 인구는 '''1,956명'''.[A]
중앙선 단촌역이 있으나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당진영덕고속도로 북의성IC가 있다. 의성읍과의 사이에 재랫재라는 고개가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인 고운사라는 이 있다. 고운사가 위치한 구계리는 안동시 일직면에서의 접근성이 더 좋다. 관덕동삼층석탑이 관덕리에 있다. 안동시 일직면과 접한다. 3년 6개월의 임기를 마친 이동필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고향으로 공직생활을 마친 후 귀향해 농사를 지으며 산다고 한다.

1.3. '''점곡면'''


면소재지는 서변리이다. 인구는 '''1,633명'''.[A] 의성 사촌마을, 의성 만취당이 있다.

1.4. '''옥산면'''


면소재지는 구성리이다. 인구는 '''1,831명'''.[A]
미천이 발원한다. 금봉자연휴양림이 있다. 안동시 길안면, 청송군 현서면과 접한다.

1.5. '''사곡면'''


면소재지는 양지리이다. 인구는 '''1,573명'''.[A]
산수유, 마늘 재배로 알려져 있다. 동강서당이 있다. 사곡령이라는 고개를 통해 청송군 현서면과 연결된다.

1.6. '''춘산면'''


면소재지는 옥산리이다. 인구는 '''1,479명'''.[A]
빙계계곡, 빙산사지 5층석탑(보물 제327호) 등의 관광지가 있다. 화목재라는 고개를 통해 청송군 현서면과 연결된다. 빙계계곡은 자연적으로 겨울엔 따뜻하고 여름에는 얼음이 어는(!) 것으로 유명하다. 여름에는 맨 몸으로 들어갈 경우 오래 못버티고 뛰쳐나올 정도로 차갑다! 원인은 아직 과학적으로 규명되지 못했다고. 2013년 6월 30일 1박 2일 촬영 장소이기도 하다.

1.7. '''가음면'''


면소재지는 장리이다. 군위군 의흥면과 접한다. 인구는 '''1,481명'''.[A]

1.8. '''금성면'''


면소재지는 탑리리이다. 1934년 산운면(탑리리 등 동부)과 조문면(대리리 등 서부)을 통합하여 금성면이 되었다. 인구는 '''4,342명'''.[A]
탑리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건물이 특이하게 생긴 걸로 유명한 중앙선 탑리역이 있다. 68번 지방도를 통해 군위군 군위읍, 28번 국도를 통해 군위군 우보면과 접한다. 주요 관광지는 제오리의 공룡발자국 화석(천연기념물 제373호), 탑리의 5층석탑(국보 제77호), 금성산, 수정사, 금성산 고분군과 경덕왕릉[1], 문익점면작기념비 등이 있다.

1.9. '''봉양면'''


면소재지는 화전리이다. 봉양이라는 이름보다는 도리원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인구는 '''3,937명'''.[A]
도리원정류소에서 대구 북부정류장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중앙고속도로 의성IC가 있으며, 의성군 남부의 교통중심지이다. 주요 관공서로는 의성소방서가 있다. 관광지로는 탑산온천이 있다. 남쪽으로 군위군 군위읍과 접하며, 의성읍내보다 군위읍내가 더 가깝다....

2. 舊 비안현 지역



2.1. '''비안면'''


면소재지는 이두리이다. 인구는 '''2,563명'''.[A]
비안현의 원래 중심지(동부리, 서부리 일대)였지만, 현재는 의성군 서부의 중심지 기능을 안계면에 넘겨 준 상태이다. 군위군 소보면과 접한다.
비안향교는 이곳이 아닌 안계면 교촌리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안계면 항목 참조.

2.2. '''구천면'''


면소재지는 유산리이다. 인구는 '''1,826명'''.[A] 조성저수지가 있다. 구미시 도개면, 군위군 소보면과 접한다.

2.3. '''단밀면'''


면소재지는 속암리이다. 인구는 '''1,796명'''.[A].
만경촌이 있는 곳으로 구미시 도개면, 상주시 낙동면, 중동면과 접한다. 역시 상주시내가 의성읍내보다 가깝고, 구미 시내와 의성읍까지 가는 시간이 비슷하다... 조선 시대에는 상주목에 속해 있었다.

2.4. '''단북면'''


면소재지는 이연리이다. 인구는 '''1,809명'''.[A]
안계면의 중심지와 상당히 가깝다. 조선시대에는 상주목에 속해있었다. 안계면과의 경계 부근에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의성IC가 있다.


2.5. '''안계면'''


면소재지는 용기리이다. 의성군 서부, 옛 비안현 지역의 중심지로 인구는 '''4,602명'''.[A]
의성군에서 의성읍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비안현은 옛 속현인 비옥현과 안정현이 통합되어 만들어졌는데 이 중 안정현의 중심지에 해당한다. 인구는 5천명도 안 되지만 연립주택이나 저층 아파트가 많고 1동 규모이긴 하지만 고층 아파트도 있다. 도서관, 중형병원, 심지어 결혼식장도 두 곳이나 성업하고 있다(...).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의성IC가 개통되었다. 안계터미널에서는 의성시외버스터미널과 별개로 상주, 서울행 시외버스 노선이 다닌다. 단북면과의 경계가 좀 이상한데(...), 경계선이 시가지와 매우 가깝게 붙어 있다.
특이하게도 비안향교가 비안면이 아닌 이곳(교촌리)에 있는데, 조선 초기에는 비안면 지역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고 광해군 때 현 위치에 다시 세워졌다. '교촌(校村)리'라는 이름부터가 '향교가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2.6. '''다인면'''


면소재지는 서릉리이다. 인구는 '''3,862명'''.[A]
비봉산, 대곡사가 있다. 예천군 풍양면, 지보면, 상주시 중동면과 접한다. 옛 비안현 지역에서는 안계면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상주시내가 의성읍내보다 가깝다. 예천읍내도 비교적 가깝다. 조선시대에는 예천군에 속해있었다.

2.7. '''신평면'''


면소재지는 교안리이다. 북쪽으로 안동시 풍천면과 접한다. 인구는 '''802명'''.[A]
자가용을 이용하면 경상북도청신도시, 하회마을에 금방 갈 수 있다. 청운리, 중율리, 덕봉리, 용봉리는 과거 의성현 소속이었다.
대한민국의 읍/면/동 중 가장 평균연령이 높은 곳이다. 2015년 인구총조사 기준 평균연령 64.1세, 중위연령 68.5세. 신평면의 15세 미만 인구는 전체의 1.7%에 그쳤던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56.5%에 달했다.
그래서인지 그 고령화로 악명높은 의성군 내에서도 손꼽히는 오지, 고령화로 인해 관내에 달랑 하나 있는 초등학교는 본교가 아닌 "분교"다. 그마저도 중학교는 2007년에 폐교되었다.

2.8. '''안평면'''


면소재지는 박곡리이다. 인구는 '''2,181명'''.[A]
의성 석탑리 방단형적석탑이 있다. 안동시 일직면과 접하며 중앙고속도로가 면의 가운데를 남북으로 관통하지만 나들목은 없다.

2.9. '''안사면'''


면소재지는 안사리이다. 1990년 신평면 안사출장소에서 안사면으로 승격되었다. 인구는 '''839명'''.[A]
안사동 삼층석탑 외에는 눈에 띄는 게 없다. 안동시 풍천면과는 낙동강변의 도로로 접한다. 낙동강 건너편에는 예천군 지보면이 있지만 건널 수 있는 교량이 없다. 의성읍내, 안동시내, 상주시내와는 모두 1시간 내외로 떨어져 있다. 쌍호리, 월소리, 신수리는 과거 용궁현에 속해있었다.
[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2020년 7월 주민등록인구[1] 신라경덕왕이 아닌 삼한시대 부족국가인 조문국(후에 신라로 병합된다.)의 경덕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