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청신도시

 



慶尙北道廳新都市 / Gyeongbuk Provincial Office New Town
[image]
[image]
조감도
[image]
경상북도청 모습
1. 개요
2. 명칭
3. 추진경과
4. 개발단계
4.1. 1단계
4.2. 2단계
4.3. 3단계
5. 교통
5.1. 도로
5.2. 철도
5.3. 대중교통
6. 입주기관
6.1. 경북도청
7. 공공기관
8. 학교와 은행
9. 공동주택
10. 문화시설
11. 행정구역 통합 논의
12. 기타
12.1. 접근성
12.2. 제2청사
12.3. 유령도시?
1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도양리·가곡리와 예천군 호명면 산합리·금능리 일원에 건설되고 있는 경상북도청 이전 신도시이다. 2008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예천군 호명면 일대가 경상북도청 이전지로 선정되면서 추진하게 되었고 2016년 2월 22일 대구광역시에 있던 경상북도청이 신도시 내부에 이전하였다.[1]
면적은 10.97㎢(안동 6.34, 예천 4.63)이며 목표 인구는 10만명(100인/ha)이고, 총 3단계에 걸쳐 2027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시행사는 경상북도개발공사이다.

2. 명칭


2015년 5월 경상북도는 명칭을 동천·예안·퇴계 3개로 압축시켰는데 퇴계가 1위를 했음에도 정작 당선작 발표는 뒤로 미뤘다.[2] 그래서 아직까지도 신도시 이름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신도시 명칭을 두고 두 자치단체간에 과열 경쟁 양상이 보이자 제동을 건 것으로 보인다.
안동과 예천의 의견이 엇갈리는데, 안동은 신도시 명칭 제정에 대해 반대하거나 '신안동시'로 밀고 있고 예천은 '예안신도시' 를 주장하고 있는데, 예천에서는 한술 더 떠 "과거 안동에서도 '예안'이라는 지명을 쓰지 않았느냐"라고 주장하며 '예안'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중. 다만 예천+안동의 '예(醴, 단술 예)안'과 안동의 지명이자 옛 고을 이름인 '예(禮, 예절 예)안'은 한자가 다르다. 그리고 안동의 예안은 여기서 한참 멀리 떨어져있다.
2018년 4월 1일, '''이미 '경북도청 신도시'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는 황당한 이유로 '경북도청 신도시'로 그대로 쓰기로 결정하였다.''' # 여론은 안일하기 그지없는 탁상행정식 이름이라며 비판이 속출하는 중.

3. 추진경과


도청을 경상북도 관내로 옮기자는 이야기는, 대구시가 직할시(광역시)로 승격돼 분리된 1980년대부터 꾸준히 나오던 이야기이다. 물론 그 때마다 서로 도청을 유치하겠다고 나서는 바람에 난장판이 되었고, 결국 2000년대가 밝기도 전에 판이 엎어져서 이대로 묻히는가 했더니... 2006년 민선 4기에 당선된 도지사 김관용의 공약에 포함되면서 다시 도청 이전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와 함께 도청을 가져가려는 지자체들의 병림픽도 다시 한 번 시작되었으니, 후보지로 나서겠다는 의향을 가진 지자체가 모두 12곳. 2008년 2월에 후보지 입지기준이 발표되고 개싸움 속에 안동시와 예천군이 선정되었는데,[3] 이번에는 탈락한 지자체에서 도의원을 동원해 불공정 심사에 대한 진상규명특위를 설치하자는둥 딴지를 걸었다. 결국 예정대로 2008년 6월에 도청 이전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다만, 이전 대상 기관들 중 경상북도경찰청은 2017년 4월안동시로 들어올 예정이었으나 2018년으로 연기됐다. 학정동에 있는 도청 산하 사업소들 중 농업기술원은 상주시로 이전지가 확정되었지만, 종합건설사업소를 포함한 나머지 사업소들은 지가 상승 등으로 인해 이전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해 이전에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칠곡경대병원과 딱 붙어 있는 종합건설사업소(약칭 : 종건)는 칠곡경대병원이 빨리 옮기라고 언질했고, 결국 종건은 사업소 부지를 칠곡경대병원에 매각한 뒤 2016년 5월에 산격4동 옛 도청 청사로 이전했다. 도립예술단은 신청사 내 공연장이 너무 낮아 난색을 표한 단원들의 거부로 안동시 이전에 실패했으며, 경주시, 구미시, 영천시가 도립예술단 유치를 검토 중이라고 한다. 단원들이 대부분 대구에 연고를 두고 오후에 강의를 나가는 경우가 있어서, 안동 이전 무산 당시 단원들의 반응은 "어이쿠 다행이다"였다고.
본청에서는 도청 산하 사업소 및 기관들을 모두 안동시로 끌어오겠다는 원칙을 고수 중이나, 현실성과 실효성의 문제로 인해 선별적으로 이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동해안 제2청사를 약속한 이철우 지사가 포항의 환동해안본부를 부지사를 상주시키는 제2청사로 개칭하면서 이전 논란이 더 격해지고 있다. 북부권에서는 안동시에 모든 부서와 기관이 와서 북부권을 발전시켜주기를 바라나 인구가 제일 많은 동남권에서는 거리상 상당히 먼 안동에 모든 도청 시설이 있다면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 하기에 제2청사를 주장해왔다. 그리고 이철우 지사가 제2청사 공약을 이행하면서 안동시를 비롯한 북부권의 상당한 반대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4. 개발단계


2027년까지 3단계에 걸쳐 인구 10만명 정주를 목표로 2조1579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4.1. 1단계


행정타운 조성단계(2010년~2016년)
[image]
1단계 조성과 함께, 구 경북도청사는 대구광역시에서 인수하여 시청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현재는 한옥마을 조성과 한옥호텔 건립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4.2. 2단계


도시활성화단계(2017년~2022년)
[image]

4.3. 3단계


완성단계(2021년~2027년)
[image]

5. 교통



5.1. 도로


주변을 지나는 고속도로는 중앙고속도로가 있으며 서안동IC가 약 10분 거리에 있다. 국도는 34번 국도, 28번 국도가 있으며, 지방도는 914번 지방도, 916번 지방도, 924번 지방도, 927번 지방도가 있다. 도청신도시 주 진입도로는 34번 국도에서 분기하는 안동 방면 진입 도로[4]와 예천읍 남본리 남본교차로에서 분기하는 예천 방면 진입 도로[5] 2곳이다.

5.2. 철도


21세기 들어 추진되는 신도시가 으레 그렇듯이 이 지역도 철도교통은 안중에도 없이 설계되었다. 안동과 예천에 각각 중앙선경북선이 지나간다고는 하지만 도청 신도시 지역이 워낙 외지에 위치하고 있어 신도시의 교통수단으로는 별 소용이 없다. 그래서 경상북도는 문경역까지 이어지고 있는 중부내륙선을 이곳으로 끌어와 안동까지 연장시킨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준고속선으로 설계되는 만큼, 빠른 속도로 안동은 물론이고 서울까지도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부내륙선을 경북선 전철화 사업과 연계시키고 싶어하는 상주시김천시의 반발이 예상된다. 우선 경상북도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중부내륙선 연장을 집어넣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물론 구축계획에 들어간다고 즉시 착공되는 것도 아니고 지자체 사이의 힘겨루기가 예상되므로 이 지역에 철도망이 들어올 날은 요원할 뿐이다. 같은 도청 신도시인 내포신도시서해선이 약간 빗겨가긴 하지만 이미 착공 진행중이고 지역 알력도 상대적으로 적다는 면에서 더욱 안습이다.

5.3. 대중교통


2018년 9월 현재 도청신도시로 갈 수 있는 대중교통편은 다음과 같다. 안동시 시내버스11번, 급행11번이 있다. 2016년 2월 15일부터 추가로 11번40번을 운행하여 10분 간격으로 시내버스를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안동시 시내버스 업체 노조의 반발로 파행을 겪다 11번 시내버스의 노선 연장이 취소되고, 대신 3월 10일부터 안동터미널을 출발하여 도청신도시로 가는 급행 형태의 22번이 신설되어 운행되었으나 2018년 1월 1일부로 폐선되었고 다시 11번이 들어온다. 2019년 3월부터 22번의 후신격으로 급행11번이 신설되었다. 한편 246번은 2019년 1월 21일부터 도청신도시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는다. 예천읍에서 들어오는 농어촌버스는 예천읍을 출발하여 호명을 경유하여 신도시 주거단지와 도청까지 예천군 농어촌버스 노선인 77번, 88번이 도합 1일 43회 운행한다.[6]
경북도청신도시 관내의 '''거의 대부분의 정류장'''에는[7] BIT(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되어 있다.[8]
시외교통은 버스가 있으며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9]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2020년 현재 수도권행 4개 노선(동서울 - 예천 - 경북도청, 서울경부-예천-경북도청, 인천-안산-영주-안동-경북도청, 수원-영주-안동-경북도청)의 종점이며 북대구예천 노선[10], 동대구발 대구국제공항 경유 예천행 노선, 안동발 예천, 점촌, 상주 경유 김천, 안동발 대전 경유 세종 노선 시외버스 일부가 신도시를 경유하고 있다.
2017년 6월 15일에는 동대구 - 예천 노선이 신설됐으며, 경상북도청신도시 및 예천삼거리에서 중간 승하차하고 신도청에서는 예천 방면 한정으로 중간 하차만 가능하다.

6. 입주기관


  • 경상북도청경상북도의회 : 2016년 2월 이전
  • 경북소방본부 : 2016년 1월 이전
  • 경상북도교육청 : 2016년 2월 이전
  • 경상북도경찰청 : 2018년 7월 이전
  • 경상북도 보훈회관 : 2016년 12월 이전
  • 경상북도개발공사 : 2017년 12월 이전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북지부
  •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 : 2019년 10월 이전
  • 농협중앙회 경북지역본부 : 2019년 11월 이전
  • 경북도서관 : 2019년 11월 14일 개관
  • 경북북부권 환경에너지종합타운
  • 경상북도 일·가정양립지원센터[11] : 2021년 예정
  • 정부경북지방합동청사[12] : 2020년 11월 24일 개관
  • 한국국토정보공사 대구경북 지역본부 : 미정

6.1. 경북도청


경북도청 신청사는 청와대유사한 형태로 지어져 사진을 접한 네티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기도 하였다(...).

7. 공공기관


  • 안동경찰서 검무치안센터
  • 예천소방서 도청119안전센터
  • 안동우체국 경북도청 출장소 : 산격동 청사 앞에 있는 구. 경북도청우체국은 2016년 6월 1일에 산격동우체국으로 국명을 변경하였다.

8. 학교와 은행


  • 풍천풍서초등학교 :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풍천면 구담리에 있던 풍천초등학교와 풍천면 가곡리에 있었던 풍서초등학교를 통폐합하여 2016년 3월 도청신도시 내로 이전 개교하였다.
  • 풍천중학교 :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2016년 3월 풍천면 도양리에서 도청신도시 내로 이전 개교하였다.
  • 경북일고등학교 : 예천군 호명면 산합리. 2018년 3월 1일 신설, 3월 2일 개교하였으며, 감천면에 있는 감천고등학교가 이쪽으로 통폐합되었다.[13][14]
  • 호명초등학교 : 예천군 호명면 산합리. 2019년 개교.[15]
  • NH농협은행 경북도청지점 : 대구 구 도청에서 이전
  • NH농협은행 경북교육청출장소 : 대구 구 교육청에서 이전
  • 서안동농협 신도청지점
  • 대구은행 경북도청지점 : 대구 구 도청에서 이전
  • 경상북도청 새마을금고
  • 백암새마을금고 신도청지점
  • 풍천신협 상록지점

9. 공동주택


'''구역'''
'''단지명'''
'''세대수'''
'''입주'''
'''건설사'''
'''A-1'''
안동 상록아파트
644
2016년 2월
공무원연금공단
'''A-2'''
미정
1,930
미정
미정
'''A-3'''
미정
1,574
미정
미정
'''A-4'''
미정
1,452
미정
미정
'''A-5'''
미정
2,881
미정
미정
'''A-6'''
미정
1,680
미정
미정
'''A-7'''
미정
1,102
미정
미정
'''A-8'''
미정
536
미정
미정
'''A-9'''
미정
1,460
미정
미정
'''A-10'''
미정
1,150
미정
미정
'''A-11'''
미정
1,100
미정
미정
'''B-1-1'''
모아엘가 에듀파크
593
2018년 7월
혜림건설
'''B-1-2'''
미정
미정
미정
미정
'''B-2'''
동일스위트 더 파크
1,499
2019년 2월
주식회사 동일
'''B-3'''
경북도청신도시 호반베르디움 2차
1,133
2017년 9월
호반건설
'''B-4-1'''
경북도청신도시 우방아이유쉘 2차
356
2016년 3월
우방
'''B-4-2'''
경북도청신도시 아이파크
489
2016년 3월
HDC현대산업개발
'''B-5'''
경북도청신도시 우방아이유쉘
442
2016년 3월
우방
'''B-6'''
경북도청신도시 우방아이유쉘 센텀
1,086
2017년 6월
우방
'''B-7'''
경북도청신도시 코오롱하늘채
869
2020년 7월
코오롱글로벌
'''B-8-1'''
경북도청신도시 우방아이유쉘 센트럴
677
2017년 6월
우방
'''B-8-2'''
경북도청신도시 호반베르디움
830
2017년 9월
호반건설
'''B-9'''
미정
986
미정
미정
'''B-10'''
미정
1,168
미정
미정
'''B-11'''
미정
744
미정
미정
'''B-12'''
미정
652
미정
미정
'''B-13'''
미정
1,108
미정
미정
'''B-14'''
미정
428
미정
미정
'''B-15'''
미정
894
미정
미정
'''B-16'''
미정
1,146
미정
미정
'''B-17'''
미정
1,070
미정
미정
'''B-18'''
미정
1,264
미정
미정
'''B-19'''
미정
1,222
미정
미정
'''B-20'''
미정
488
미정
미정
'''B-21'''
미정
624
미정
미정
'''C-1'''
미정
682
미정
미정
'''C-2'''
미정
1,306
미정
미정

10. 문화시설


카페는 파스쿠치, 투섬플레이스, 탐앤탐스, 엔제리너스 커피, 요거프레소, 이디야 외 다양한 개인 카페들이 도청 주위로 생겼으며 패스트푸드점은 롯데리아버거킹(입점완료), 맘스터치(입점완료), 던킨도너츠, 베스킨라빈스, BHC, BBQ치킨 등 많은 음식점이 있다. 키즈카페도 3곳 정도 생겼으며 젊은층의 신도시의 이름에 맞게 게임방과 동전노래방 그리고 400평 규모의 키즈카페가 들어올 예정이다.
메가박스 경북도청점[16]이 2019년 8월 23일 문을 열고 상영을 시작했고, 경상북도교육청 경북도서관은 2019년 11월 14일 개관하였다.

11. 행정구역 통합 논의


신도시가 경상북도 안동시예천군 경계 지역에 건설되고 있기 때문에 행정적으로 여러 가지 불편을 예상하여 안동시예천군과의 통합이 논의 중이다.
그러나 인구와 면적 등 모든 면에서 규모가 더 작은 예천군 측의 반발로 빠른 시일 내에는 통합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통합할 경우 면적이 지나치게 넓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행정 불편이 유발될 수 있다. 이미 안동시의 면적은 전국 기초자치단체 3위로, 홍천군인제군 바로 뒤 순위다. 또한 원거주민 입장에서 안동과 예천은 역사적으로 상관이 없는 별개 고을이므로 정서적인 문제도 있다. 거기에 완전 다른 동네를 통합하는 거라 통합 후 양자 간 소지역주의가 지역 정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같은 고을이었다가 분리된 목포-무안과는 경우가 다르다.
2016년 2월 현재 시내버스 환승과 초중고교 학구통합, 쓰레기 수거, 치안유지 관련 합의은 이루어졌으나 택시 영업구역 문제는 택시 수가 훨씬 많은 안동시 택시업계의 반발로 진척이 없다가 우선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지역만을 공동 영업구역으로 통합하였고 2년 이내에 안동과 예천 전역을 통합하기로 하였다.

12. 기타



12.1. 접근성


경상북도청이 옮겨가며 경북 남부 지역에서는 도청에 가는 것이 상당히 불편해진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17][18] 이 문제는 2017년 6월 상주영천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동남부권의 접근성이 올라가면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그 외에 안동과 포항을 연결하는 35번 국도(안동-길안-청송 현서), 68번 지방도(현서-청송 현동), 31번 국도(현동-포항 기계) 일부를 4차선으로 확장, 개량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진행중에 있고 추후 신경주역으로 중앙선 선로를 이전할 시 최고 시속 250km대의 준고속형 열차가 도입되어서 신안동역과 신경주역을 1시간 내외로 주파할 예정이다. 거기다가 새로 건설되는 안동역 바로 옆이 안동터미널이기에 도청 신도시로 가는 버스도 마련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불편은 없을 것이다.

12.2. 제2청사


접근성 문제가 불거지자 경북 동남부 지역에 제2청사를 건립하자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 때문에 해양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동해안발전본부는 안동으로 가지 않고 포항시로 이전하였으며, 환동해지역본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민선 7기에 동남권에 제2청사를 약속한 이철우 후보가 당선되면서 논의에 불이 붙은 상태이다. 일단 이철우 지사는 포항시로 옮겨간 환동해안본부를 제2청사로 승격시켜 부지사 1명을 상주시키는 형태를 구상하고 있다. 다만 북부권의 비토가 심한 지라 정말 저 구상대로 완벽히 실현될 지는 미지수이나. 현재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폐교한 용흥중학교로 임시 청사를 옮길 예정이다. 최종적으로는 흥해읍 이인리에 들어선다.

12.3. 유령도시?


경북 지역에 있는 굵직한 행정기관들과 그 부서들이 점점 이곳으로 모여들다 보니 당연히 거주민들이 형성되기 마련인데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했다. 바로 땅값 평당 가격이 치명적인 수준인데 이게 마땅히 공무원들이나 그 가족들이 아니면 거주할 일도 없고 여기에 농사를 지을만한 사람도 없는데 기관들이나 부서들이 더더욱 모일수록 땅값이 비정상적인 상승치를 보여주고 있어서 인프라 형성에 치명적인 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초기에는 식당이나 옷가게 등 기본적인 상점들조차 지나치게 부족해서 공무원 부부들이 발령날 경우 가구와 옷가지들은커녕 제대로 된 마트도 이용하기가 힘들다. 마트의 경우 2018년 1월 기준 노브랜드 예천호명점과 GS수퍼마켓 도청신도시점이 있다.
하지만 우방 센텀, 센트럴, 호반 1차 등의 집합 건물 입주 이후에는 굉장히 붐비고 있다고 한다. 젊은 부부들을 필두로 한 청년세대가 많이 거주한다. 덕분에 도청 주변까지는 그래도 어느 정도 신도시 모습을 갖추었다. 자리잡고 살기에는 큰 부족함은 없는 편. 다만 실제로 도청에 출장을 다녀온 타 지역 공무원들에 의하면 거기서 조금만 벗어나도 완전히 촌이라고 한다. 당장 여기서 조금만 나가면 하회마을도 있다.

13. 여담


  • 신도시가 만들어지고 초기에 입주했기 때문에 여기에 사는 사람들은 도청신도시에 산다는 자부심이 엄청나다. 집이 어디냐 물으면 안동도 예천도 아닌 도청신도시라고 할 정도.


[1] 비슷한 케이스로 남악신도시내포신도시, 광교신도시가 있다. 각각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수원시에 있던 도청을 옮겨오면서 짓는 신도시이다.[2] 동천은 안'''동'''과 예'''천''', 예안은 '''예'''천과 '''안'''동에서 글자를 하나씩 따온 거고 퇴계는 우리가 생각하는 퇴계 이황이다. 간혹 '''안'''동과 예'''천'''에서 따온 안천도 나온다.[3] 마지막까지 경쟁했던 지역이 상주시였다.[4] 2015년 9월에 개통되었다.[5] 2016년 12월에 개통되었다.[6] 2016년 10월 20일에 기존 6회에서 14회로 증회하였고, 2018년 9월 3일에 1번, 1-1번, 2번으로 번호가 부여되면서 33회로, 2019년 5월 13일에 77번, 88번으로 변경하면서 43회로 증회하였다.[7] 초기에 설치된 정류장 이외에 일부 추가된 정류장에는 BIT 없이 승강장 사인폴대만 설치되어 있다.[8] 2017년 말에 일괄적으로 설치하였으나 약 2년간 실제 가동을 하지 않고 시험가동만 하다 보니 막상 정식 운영 때에는 LED 패널이 변색된 것이 많다.[9]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1682번지 소재. 도청대로에서 도청서문/경찰청 방향 삼거리에 위치하고 있다.[10] 1일 8회 운행하며 1시간 20분 소요.[11] 경북여성일자리사관학교, 여성정책개발원, 성별영향평가센터, 광역새일자리센터, 여성단체협의회, 육아종합지원센터[12] 경북도선거관리위원회, 예천군선거관리위원회, 경북북부보훈지청, 대구경북지방병무청 안동복무관리센터, 경북청사관리소[13] 본래 계획은 경북제일고등학교였으나 , 영주제일고교에서 태클을 거는 바람에 경북일고등학교로 선회하였다.[14] 2016년 7월 네이버 로드뷰에는 (가칭)호명고등학교라고 되어 있다.[15] 원래 호명면 중심지에 있었던 학교였으나, 폐교 직전에 분교로 격하되고 2000년에 폐교되었다. 이후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다시 개교.[16] 상영관 6개[17] 동남부권의 포항, 경주, 영천, 경산, 청도와 서남부권의 김천, 구미, 성주, 고령, 칠곡이 가장 피를 많이 봤다. 반대로 북부권의 울진, 영덕, 상주, 문경, 봉화, 영주, 청송, 영양, 의성은 도청이 가까워졌다.[18] 특히 경산시의 경우 이를 빌미로 잠잠했던 대구광역시 편입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