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와타리 다이스케
[image]
어린 시절에 아버지의 회사의 사정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서 이민생활을 하다가 중학교를 다니던 도중 본국으로 귀국했다. 1992년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도 안가고 2년동안 백수로 놀다가 '프로작가나 해볼까'라는 마음에 1994년 봄 게임전문학교에 입학, 그 해 가을에 스트리트 파이터 2에 이어서 킹 오브 파이터즈가 유행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시와타리는 게임을 제작하기로 마음을 먹고 게임 전문학교 '어뮤즈먼트미디어 종합학원'의 게임 크리에이터 학과에 들어가게 된다. 거기서 길티기어의 초안이 되는 설정들을 짜고 난 후 1995년 여름 2학년을 다니던 도중 휴학하고 아크 시스템 웍스에 인턴으로 들어간다.[1]
아크 시스템 웍스는 88년부터 이런저런 외주제작을 해오던 게임 제작 회사였으나 자체 IP는 물론이고 커다란 히트작 또한 없었으며 외주제작도 끊기면서 회사는 도산 직전이었다. 이 때 신입으로 들어간 이시와타리가 패기있게 사장에게 직접 회사가 도산하기 전에 자신이 좋아하는 소재로 게임을 제작하게 해달라는 부탁을 했고 사장[2] 이 이를 승낙하였고, '''아크 시스템 웍스의 운명은 바뀌었다.'''
이시와타리 다이스케는 이후 혼자서 기획, 게임디자인, 세계관 설정, 그래픽 작성, 홍보용 일러스트, 작곡, 주인공 성우까지 맡아가며 초대 길티기어를 만들었으며, 물론 모든 작업을 혼자서 전부 해낸 것은 아니지만 게임회사에 막 들어간 햇병아리가 게임의 디렉터를 담당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 게임의 세계관과 더불어 거의 모든 작업 전반에 손을 댔다고 하는 일은 만화 같은 일이라고 생각해도 좋을 정도. 자신의 손으로 했던 것은 캐릭터 디자인, 시나리오 및 스토리 쪽과 성우 역[3] 과 데스 보이스[4] . 그나마 음악의 경우 초대 길티 기어 제작시에는 음악적 지식이 부족하여 제작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5] 결국 부족했던 음악도 지금에 와서는 이시와타리의 명의로 된 명곡들이 수 없이 많으며, 블레이 블루 시리즈의 사운드 디렉터를 담당했던 것을 보면 될놈될인듯.
그리하여 발매된 초대 길티기어는 게임성의 경우 무한콤보가 존재해서 캐릭터들이 공중으로 날아가 버리는 등 명작이라고 하기엔 확실히 부족하나 살계 등의 독특한 시스템과 메탈풍의 BGM, 매력적인 캐릭터 등의 요소와, 마침 PS1으로 즐길만한 격투게임이 많지 않다는 호재까지 작용해서 '''B급이긴 한데 이정도면 꽤 재밌다.'''라는 평가를 받으며 아크 시스템 웍스를 수렁에서 건져내었다. 그리고 길티기어 X로 정신없는 러시가 계속되는 치열하면서도 초대작에 비해 상당히 다듬어진 게임성과 지금봐도 상당한 그래픽[6][7] 으로 2D 격투게임계에 엄청난 충격을 주며 매니악하긴 하지만 격겜 좀 즐겨봤다 하는 사람은 이름 한번은 들어봤을 정도로 메이저한 위치로 급부상했다.
이처럼 길티기어 시리즈와 아크 시스템 웍스를 이끌다시피 한 사람이지만 본인은 정작 길티기어의 최고 전성기라고 볼수 있는 XX#R 이후 길티기어 시리즈에서 손을 떼고, 오랜 기간 후에 RTS 장르의 길티기어 2 - 오버츄어를 내놓았으나 게임성의 호평과는 별개로 상업적으로는 실패하고 말았다. 이후 길티기어 2의 작업을 마치고 새 격투대전게임인 블레이블루의 음악담당이 되었다. 블레이블루 CS 콘솔판의 콘도 카나코가 부른 추가곡 'Pandora tears'와 이마이 아사미가 부른 CS2의 오프닝곡 '심창(深蒼)'도 이 분이 작곡하였고, 그러다 2011년 1월에 개최되는 길티기어X블레이블루 MUSIC LIVE 2011을 앞두고 진행된 패미통 인터뷰에서 속편을 계속해서 제작하고 싶다고 했고, 이후 길티기어 Xrd로 다시 한번 충공깽의 그래픽과 항상 길티기어의 발목을 잡아왔던 높은 진입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여 굉장한 호평을 받았다. 본디 샤프 리로드의 작업이 끝나고 길티기어 2를 작업하는 사이 모리 토시미치가 버전 업을 담당하였으나, 길티기어 2의 상업적 실패로 인해 격투게임을 만들 의욕도 없었던 때 블레이블루의 성공으로 인해 생각을 고쳤다고 한다.
이시와타리 다이스케 하면 많은 사람들이 떠올리는 음악의 이야기를 하자면, 중학생 시절부터 퀸덕후라서 길티기어의 주인공인 솔 배드가이는 Queen의 앨범곡명과 프레디 머큐리의 이름들을 따왔고, 심지어는 본인의 취미까지 반영되어있다. 또한 모든 음악은 캐릭터를 먼저 만들고 그에 맞춰서 작곡을 하지만 밀리아 레이지의 테마곡인 '''Writhe in Pain'''[8] 은 유일하게 과거 작곡해놓았던 곡으로 캐릭터가 만들기 전에 테마곡으로 선정된 곡이었다고. 여담으로 초대 길티기어 시절부터 지금까지 작곡한 음악중에서 가장 애착이 가는 곡은 자토와밀리아의 대전 테마곡인 '''Still in the Dark'''.이후 자토가 스토리상 죽어버렸기 때문에 사용할수 없게 되어서 매우 아쉬웠다고한다.
일러스트의 경우 현재까지 모두 수작업으로 마커로 다 칠하고 있다. CG작업은 직접하는건지 아크 시스템 웍스 소속 그래픽 담당이 맡는건지는 모르지만 길티기어 Xrd내 스탠딩 일러스트와 길티기어 XX 엑센트 코어내 스탠딩 일러스트에서도 적어도 스케치는 이시와타리가 그리고 있다. 그리고 직접 그린 그림들의 경우 시리즈가 가면서 계속해서 스타일이 바뀌고 있다. 크게 구분짓자면 초대/X때와 AC시절 스탠딩 일러스트를 제외한 XX때, 길티기어 2때, 그리고 Xrd 때로 나뉜다.
그리고 BL쪽에도 거부감이 없는건지 니트로 플러스 키랄의 2010 캘린더 12월 일러스트를 그린적이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걸 떠나서 적어도 이 사람의 본업 격인 게임을 총괄하는 프로듀서를 맡은 게임 중에서 '''게임성으로 혹평을 받은 사례가 거의 없다는 것'''이 대단하다. 그나마 평가가 가장 안좋은 축에 속하는 게 음악 빼고 흑역사로 낙인찍힌 길티기어 이스카 정도. 몰론 그 이스카 때문에 길티기어 시리즈가 하향세를 타기 시작했다는 건 아쉽지만.
이처럼 다재다능한 사람이지만 정작 본인은 상당히 겸손한 편으로 솔의 목소리를 녹음할 당시 너무 부끄러워서 술을 마시고 녹음했다는 에피소드는 AX2009의 길티기어 & 블레이블루 간담회 이래로 유명해진 이야기로, 블루라지에 게스트로 참여했을 때도 당시의 이야기를 하면 부끄럽다며 전력으로 회피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전부터 스토리 모드 등에는 전문 연기자를 채용하는 모습을 보아선 프로 연기자가 아닌 자신이 성우들 곁에서 연기를 한다는 건 실례라고 여기는 모양이다.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할 때 까지 머리를 자르지 않는다'라는 독특한 신념을 가지고 있어서 인터뷰에서나 프로필사진에선 항상 머리를 길게 늘어뜨리는 모습을 보이는데, AOU 2008에서 머리를 짧게 자르고 나온 신선한 모습을 선보이기까지 했다. 다만 그와는 별개로 이 사람,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외모가 정말 변하질 않는다....
2018년 4월 경 아크시스템 아시아 지부에서 NDC참여 관련 트윗을 올렸는데, 이 트윗에서의 사진은 짧은머리다. https://twitter.com/ASW_ASIA/status/986442925121855488
2019년 10월 24일 가동되는 CHUNITHM 시리즈 신 버전 CHUNITHM CRYSTAL에 Surrogate Life라는 곡을 제공하여 리듬게임에도 모습을 드러내었다. 캐릭터인 '패트리엇' 또한 본인이 디자인하였다.
1973년 8월 15일생의 게임 제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겸 게임 음악가. 길티기어 시리즈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사람이자 블레이블루의 배경음악을 담당하고 있다. 좋아하는 밴드는 퀸, 건즈 앤 로지스, 아이언 메이든. 취미는 기타, 한자표기는 石渡太輔(석도태보).게임 디자이너는 애니메이션, 인류학, 건축학, 브레인스토밍, 비즈니스, 영화학, 커뮤니케이션, 작문, 경제학, 공학, 역사학, 경영, 수학, 음악, 심리학, 대중 연설, 음향 디자인, 테크니컬 라이팅, 시각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 Jesse Schell, The Art of Game Design, 게임 기획자 항목 참조.
어린 시절에 아버지의 회사의 사정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서 이민생활을 하다가 중학교를 다니던 도중 본국으로 귀국했다. 1992년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도 안가고 2년동안 백수로 놀다가 '프로작가나 해볼까'라는 마음에 1994년 봄 게임전문학교에 입학, 그 해 가을에 스트리트 파이터 2에 이어서 킹 오브 파이터즈가 유행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시와타리는 게임을 제작하기로 마음을 먹고 게임 전문학교 '어뮤즈먼트미디어 종합학원'의 게임 크리에이터 학과에 들어가게 된다. 거기서 길티기어의 초안이 되는 설정들을 짜고 난 후 1995년 여름 2학년을 다니던 도중 휴학하고 아크 시스템 웍스에 인턴으로 들어간다.[1]
아크 시스템 웍스는 88년부터 이런저런 외주제작을 해오던 게임 제작 회사였으나 자체 IP는 물론이고 커다란 히트작 또한 없었으며 외주제작도 끊기면서 회사는 도산 직전이었다. 이 때 신입으로 들어간 이시와타리가 패기있게 사장에게 직접 회사가 도산하기 전에 자신이 좋아하는 소재로 게임을 제작하게 해달라는 부탁을 했고 사장[2] 이 이를 승낙하였고, '''아크 시스템 웍스의 운명은 바뀌었다.'''
이시와타리 다이스케는 이후 혼자서 기획, 게임디자인, 세계관 설정, 그래픽 작성, 홍보용 일러스트, 작곡, 주인공 성우까지 맡아가며 초대 길티기어를 만들었으며, 물론 모든 작업을 혼자서 전부 해낸 것은 아니지만 게임회사에 막 들어간 햇병아리가 게임의 디렉터를 담당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 게임의 세계관과 더불어 거의 모든 작업 전반에 손을 댔다고 하는 일은 만화 같은 일이라고 생각해도 좋을 정도. 자신의 손으로 했던 것은 캐릭터 디자인, 시나리오 및 스토리 쪽과 성우 역[3] 과 데스 보이스[4] . 그나마 음악의 경우 초대 길티 기어 제작시에는 음악적 지식이 부족하여 제작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5] 결국 부족했던 음악도 지금에 와서는 이시와타리의 명의로 된 명곡들이 수 없이 많으며, 블레이 블루 시리즈의 사운드 디렉터를 담당했던 것을 보면 될놈될인듯.
그리하여 발매된 초대 길티기어는 게임성의 경우 무한콤보가 존재해서 캐릭터들이 공중으로 날아가 버리는 등 명작이라고 하기엔 확실히 부족하나 살계 등의 독특한 시스템과 메탈풍의 BGM, 매력적인 캐릭터 등의 요소와, 마침 PS1으로 즐길만한 격투게임이 많지 않다는 호재까지 작용해서 '''B급이긴 한데 이정도면 꽤 재밌다.'''라는 평가를 받으며 아크 시스템 웍스를 수렁에서 건져내었다. 그리고 길티기어 X로 정신없는 러시가 계속되는 치열하면서도 초대작에 비해 상당히 다듬어진 게임성과 지금봐도 상당한 그래픽[6][7] 으로 2D 격투게임계에 엄청난 충격을 주며 매니악하긴 하지만 격겜 좀 즐겨봤다 하는 사람은 이름 한번은 들어봤을 정도로 메이저한 위치로 급부상했다.
이처럼 길티기어 시리즈와 아크 시스템 웍스를 이끌다시피 한 사람이지만 본인은 정작 길티기어의 최고 전성기라고 볼수 있는 XX#R 이후 길티기어 시리즈에서 손을 떼고, 오랜 기간 후에 RTS 장르의 길티기어 2 - 오버츄어를 내놓았으나 게임성의 호평과는 별개로 상업적으로는 실패하고 말았다. 이후 길티기어 2의 작업을 마치고 새 격투대전게임인 블레이블루의 음악담당이 되었다. 블레이블루 CS 콘솔판의 콘도 카나코가 부른 추가곡 'Pandora tears'와 이마이 아사미가 부른 CS2의 오프닝곡 '심창(深蒼)'도 이 분이 작곡하였고, 그러다 2011년 1월에 개최되는 길티기어X블레이블루 MUSIC LIVE 2011을 앞두고 진행된 패미통 인터뷰에서 속편을 계속해서 제작하고 싶다고 했고, 이후 길티기어 Xrd로 다시 한번 충공깽의 그래픽과 항상 길티기어의 발목을 잡아왔던 높은 진입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여 굉장한 호평을 받았다. 본디 샤프 리로드의 작업이 끝나고 길티기어 2를 작업하는 사이 모리 토시미치가 버전 업을 담당하였으나, 길티기어 2의 상업적 실패로 인해 격투게임을 만들 의욕도 없었던 때 블레이블루의 성공으로 인해 생각을 고쳤다고 한다.
이시와타리 다이스케 하면 많은 사람들이 떠올리는 음악의 이야기를 하자면, 중학생 시절부터 퀸덕후라서 길티기어의 주인공인 솔 배드가이는 Queen의 앨범곡명과 프레디 머큐리의 이름들을 따왔고, 심지어는 본인의 취미까지 반영되어있다. 또한 모든 음악은 캐릭터를 먼저 만들고 그에 맞춰서 작곡을 하지만 밀리아 레이지의 테마곡인 '''Writhe in Pain'''[8] 은 유일하게 과거 작곡해놓았던 곡으로 캐릭터가 만들기 전에 테마곡으로 선정된 곡이었다고. 여담으로 초대 길티기어 시절부터 지금까지 작곡한 음악중에서 가장 애착이 가는 곡은 자토와밀리아의 대전 테마곡인 '''Still in the Dark'''.이후 자토가 스토리상 죽어버렸기 때문에 사용할수 없게 되어서 매우 아쉬웠다고한다.
일러스트의 경우 현재까지 모두 수작업으로 마커로 다 칠하고 있다. CG작업은 직접하는건지 아크 시스템 웍스 소속 그래픽 담당이 맡는건지는 모르지만 길티기어 Xrd내 스탠딩 일러스트와 길티기어 XX 엑센트 코어내 스탠딩 일러스트에서도 적어도 스케치는 이시와타리가 그리고 있다. 그리고 직접 그린 그림들의 경우 시리즈가 가면서 계속해서 스타일이 바뀌고 있다. 크게 구분짓자면 초대/X때와 AC시절 스탠딩 일러스트를 제외한 XX때, 길티기어 2때, 그리고 Xrd 때로 나뉜다.
그리고 BL쪽에도 거부감이 없는건지 니트로 플러스 키랄의 2010 캘린더 12월 일러스트를 그린적이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걸 떠나서 적어도 이 사람의 본업 격인 게임을 총괄하는 프로듀서를 맡은 게임 중에서 '''게임성으로 혹평을 받은 사례가 거의 없다는 것'''이 대단하다. 그나마 평가가 가장 안좋은 축에 속하는 게 음악 빼고 흑역사로 낙인찍힌 길티기어 이스카 정도. 몰론 그 이스카 때문에 길티기어 시리즈가 하향세를 타기 시작했다는 건 아쉽지만.
이처럼 다재다능한 사람이지만 정작 본인은 상당히 겸손한 편으로 솔의 목소리를 녹음할 당시 너무 부끄러워서 술을 마시고 녹음했다는 에피소드는 AX2009의 길티기어 & 블레이블루 간담회 이래로 유명해진 이야기로, 블루라지에 게스트로 참여했을 때도 당시의 이야기를 하면 부끄럽다며 전력으로 회피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전부터 스토리 모드 등에는 전문 연기자를 채용하는 모습을 보아선 프로 연기자가 아닌 자신이 성우들 곁에서 연기를 한다는 건 실례라고 여기는 모양이다.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할 때 까지 머리를 자르지 않는다'라는 독특한 신념을 가지고 있어서 인터뷰에서나 프로필사진에선 항상 머리를 길게 늘어뜨리는 모습을 보이는데, AOU 2008에서 머리를 짧게 자르고 나온 신선한 모습을 선보이기까지 했다. 다만 그와는 별개로 이 사람,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외모가 정말 변하질 않는다....
2018년 4월 경 아크시스템 아시아 지부에서 NDC참여 관련 트윗을 올렸는데, 이 트윗에서의 사진은 짧은머리다. https://twitter.com/ASW_ASIA/status/986442925121855488
2019년 10월 24일 가동되는 CHUNITHM 시리즈 신 버전 CHUNITHM CRYSTAL에 Surrogate Life라는 곡을 제공하여 리듬게임에도 모습을 드러내었다. 캐릭터인 '패트리엇' 또한 본인이 디자인하였다.
[1] 인턴 이력사항에 'SNK의 '월화의 검사'에서 그래픽을 담당하고 있는 것을 계기로 게임을 만들고 싶다'라는 루머가 있는데, 길티기어 제작 도중에 월화의 검사 제작에 외주로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으며 앞뒤도 맞지 않는다. 월화의 검사는 1995년 말이 아닌 1997년 말에 발매한 게임이기 때문. 만일 월화의 검사가 개발이 2년 미뤄졌다면 가능성은 있을지도 모르지만.[2] 사장은 이후에도 해외 시장, 특히 '''한국'''에도 적극적인 진출을 노려서 한국 지사를 설립하여 오히려 한국 유저들이 의문을 가질 정도로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는 걸로 보아 배짱이 두둑한 사람인 듯 하다. 다만 한국 진출에 적극적인건 사장이 친한이라는 얘기가 있다고.[3] 길티기어2 오버츄어에서는 이즈나의 서번트역도 맡았다.[4] 길티기어 이스카의 보스 레오팔돈의 테마곡인 Kill DOG as the sacrifice to DOG에서 개(?)처럼 샤우팅하는 목소리 담당.[5] 초대 길티기어 시절에는 음악적인 지식이 별로 없어서 음악담당 스태프들에게 '좀 더 짜릿한 음악을 만들 수는 없을까요'라고 100만번 이상은 말했다고 한다. 게다가 코드의 존재조차 모른채 음악을 만들었다! 어쨌든 그가 구상한 음악의 의미는 어느정도 통한 것 같다. 결론적으로 미디 스타일의 원곡을 스즈키 타카오(鈴木 高雄)에게 건내주면 그걸 편곡하는 스타일로 음악이 완성되었다.[6] 그가 가장 좋아하는 격투게임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3 써드 스트라이커를 뽑은 것을 보면 이러한 고해상도 그래픽은 스트리트 파이터 3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7] 당장 '''2000년'''에 나온 젝스의 그래픽이 '''5년 후'''에 나온 던전 앤 파이터와 비교해도 손색 없는 퀄리티이고, 심지어 젝스 만큼은 아니었지만 초대 시절에 이미 KOF 시리즈와 비교되는 퀄리티였다. 90년대 중반 당시 SNK는 각종 논란을 저지르고 있었지만 2D 격겜의 판도를 캡콤과 양분하던 시절이었다.[8] XX시절 당시 카이의 테마 '''Holy Orders''', 디지의 테마 '''Awe of she''', 그리고 브리짓의 테마 '''A Simple life''' 등과 더불어 최고의 인기곡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