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밀도

 

1. 개요
2. 세계적 경향
2.1. 최상/최하
3. 높은 인구 밀도의 장단점
4. 대한민국
5. 경지면적 밀도
6. 기타
7. 관련 문서

, Population Density

1. 개요


'''인구 밀도'''는 '''단위 면적당 인구'''를 의미한다. 즉, 인구 나누기 면적. 보통 명/km2 혹은 명/mile2으로 나타낸다.

2. 세계적 경향



전세계 인구밀도 순위 추이(1961-2017)
세계의 인구 밀도 평균은 남극을 빼면 52명/km2, 남극을 포함하면 47명/km2이다. 인구 밀도가 높은 국가들 중에는 도시국가를 비롯한 작은 국가들이 많다. 인구 밀도 순위 10위권의 나라들 중에는 인구가 1000만을 넘는 나라가 단 한 곳도 없고, 100만조차 못 넘는 나라가 7개국이다.
세계 인구의 90% 이상이 북반구에 살고 있으며, 10% 미만은 남반구에 살고 있다. 특히 북반구 중위도의 냉온대 기후 지역과 해발 고도가 낮은 하천 주변의 평야 지역이나 해안지역에 인구가 밀집해 있다. 반면 건조, 열대, 한대 기후 지역이나 험준한 산지, 고원 지역과 사막초원(스텝) 등지에는 인구가 희박하다. 오늘날에는 과학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인간의 거주 가능 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 되면서 산업, 교통, 문화, 교육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인구분포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었다.

2.1. 최상/최하


마카오모나코가 각각 인구 밀도 1, 2위인데, 3위인 싱가포르의 2배가 넘는 수치라 상당한 격차를 보이며 도시국가들을 제외하면 방글라데시가 단연 1위이다. 국가 내의 지역 중에서는 슬럼가들이 일반적으로 최상위권을 차지하는데, 과거 인구밀도가 km2당 190만 명에 달했고, 지금은 없어진 구룡성채나 면적 1.7km2에 인구는 60만 명에서 100만 명 사이인 뭄바이의 다라비, 케냐의 키베라[1] 등이 있다.
낮은 쪽으로 유명한 나라는 호주, 나미비아, 몽골 등이고[2], 가장 낮은 곳은 얼음 천지인 그린란드이다. 하지만 누나부트와 같은 몇몇 행정구역은 그린란드보다 인구 밀도가 더 낮기도 하고, 남극처럼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곳은 누나부트나 그린란드 같은 곳보다 인구 밀도가 더욱 낮다.

3. 높은 인구 밀도의 장단점


높은 인구 밀도의 장점은 인프라 확충(속도가 빠른 인터넷 보급 등)이 쉬워지고 공공서비스를 적은 비용으로 높게 활용하기 쉽다는 점, 작은 점포 크기로도 높은 이윤을 내기 쉬운 점, 치안의 수준이 높아지며 급한 상황에 의료혜택을 받기도 유리하다는 점이 있다.
단점은 전염병이 확산되기 쉽다는 점과, 자원 분배 문제, 개인 간의 경쟁 심화, 주택 가격 상승, 몰려사는 데 따른 개인의 불쾌감, 농경지 부족으로 사람들의 지출과 부담이 늘게 된다는 점, 그로 인한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를 막기 어려워지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이 있다고 해서 인위적으로 인구를 분산시키기도 어렵기에 해결하기 쉽지 않다.

4.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인구 밀도 순위는 세계 23위지만 마카오, 홍콩 등의 섬이나 령을 제외하고 인구 1000만 이상인 국가 중에서는 방글라데시, 대만에 이어 3위로서 매우 높은 편이다. 경작가능 면적대비 인구밀도, 즉 실질적인 인구밀도로 따져도 매우 높다. 링크
통계청주민등록 인구통계국토 면적 현황에 의하면 1992년부터 2019년까지의 대한민국의 인구 밀도 증가 속도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간척으로 인한 면적 증가 속도 대비 인구 증가 속도가 낮아지고 있으니 당연한 현상이다. 후에 대한민국의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면 면적 증가 속도와 반비례해 인구 밀도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 표의 인구와 면적은 전부 조사 년도 12월 말 기준이다. 2001년 12월 31일 기준 국토 면적은 99,538km2, 인구는 48,021,543명인 식.
년도
면적 (km2)
인구
밀도 (명/km2)
비고
1992
'''99,010'''
44,503,200
449.5
1992년 8월 - 면적 '''99,000km2''' 돌파
1993
99,184
'''45,001,113'''
453.7
1993년 12월 - 인구 4,500만명 돌파
1994
99,202
45,416,339
457.8

1995
99,286
45,858,029
461.9

1996
99,313
'''46,266,256'''
465.9
1996년 4월 - 인구 4,600만명 돌파[추정]
1997
99,373
46,684,069
469.8

1998
99,408
46,991,171
472.7

1999
99,434
'''47,335,678'''
476.1
1999년 1월 - 인구 4,700만명 돌파
2000
99,461
47,732,558
479.9

2001
99,538
'''48,021,543'''
482.4
2001년 11월 - 인구 4,800만명 돌파[추정]
2002
99,585
48,229,948
484.3

2003
99,601
48,386,823
485.8

2004
99,617
48,583,805
487.7

2005
99,646
48,782,274
489.6

2006
99,678
48,991,779
491.5

2007
99,720
'''49,268,928'''
494.1
2007년 1월 - 인구 4,900만명 돌파
2008
99,828
49,540,367
496.3

2009
99,897
49,773,145
498.2

2010
'''100,033'''
'''50,515,666'''
'''505.0'''
2010년 9월 - 면적 '''100,000km2''' 돌파[3]
2010년 9월 - 인구 '''5,000만명''' 돌파[4]
2011
100,148
50,734,284
506.6

2012
100,188
50,948,272
508.5

2013
100,266
'''51,141,463'''
510.1
2013년 3월 - 인구 5,100만명 돌파
2014
100,284
51,327,916
511.8

2015
100,295
51,529,338
513.8

2016
100,340
51,696,216
515.2

2017
100,364
51,778,544
515.9

2018
100,378
51,826,059
516.3

2019
100,401
51,849,861
516.4

한국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광역자치단체는 단연 서울특별시이며, 기초자치단체로는 부천시이다.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구(區)는 양천구인데 ''' '''이며, 동(洞) 중에서는 부천시에 있는 중4동이 2019년 12월 기준으로 '''69,000명'''이 넘어 가장 높다.[5] 홍콩과 환경이 비슷한 성남시의 주택가인 은행1동의 경우 '''58,400명'''이라는 수치가 나온다.

5. 경지면적 밀도


인구 밀도 측정에는 간혹 총 인구를 경지면적으로 나눈 값이나 농업인구를 경지면적로 나눈 값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인구 1000만을 넘는 나라 중에서는 한국, 대만, 일본 등이 경지면적당 인구밀도 최상위권에 있지만[6],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처럼 면적이 넓은 나라도 최상위권에 있는데,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기 때문이다. 대체로 사막이 넘쳐나는 중동 지역이나 경지가 정말 적은 카리브/오세아니아의 섬나라들, 도시국가, 국토가 화산섬 그 자체인 아이슬란드가 순위권에 들어간다.
2019년의 대한민국의 면적인 100,401km2로 2019년 12월 31일 기준 인구인 51,849,861명을 나누면 516.4명/km2라는 인구밀도가 나오지만, 국토교통부의 2020년 지적통계에 의하면 임야와 논, 밭, 하천등을 제외한 실제 이용 면적은 전체 면적의 10.45%인 10,489km2에 불과하고, 이 면적으로 인구밀도를 계산하면 한국의 실질적인 인구밀도는 '''4,943.3명/km2'''이라는 도시국가급 인구밀도가 나오게 된다.

6. 기타


생태학에서는 '개체군의 밀도'라는 말이 쓰인다.
통계상의 인구 밀도는 해당 지역의 면적과 인구 전체의 비율이기 때문에 현지에서 실제 체감하는 인구 밀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이 그 예인데, 전체적인 인구 밀도 자체도 높지만 영토의 70%가 산지이고 인구의 대다수가 도시, 그것도 수도권 및 동남권의 도시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체감하는 인구 밀도는 더 높게 느껴지는 것.

7. 관련 문서



[1] 면적은 3.2km2에서 4.5km2처럼 다양한 추정이 있다. 통계에서의 인구는 170,070명에 불과하나 실제로는 100만에서 200만까지의 인구를 가졌을 것이라 추정된다.[2] 미승인국까지 합하면 나고르노 카라바흐서사하라 같은 국가들도 있다. 서사하라는 그냥 사막지대고, 나고르노 카라바흐는 원래 산악지대인 데다가 전쟁으로 인해 원래 살던 아제르바이잔인들이 모두 떠나면서 사람이 거의 없다.[추정] A B [3] 사실 지리적으로 100,000km2는 예전에 돌파한지 오래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발표하는 국토 면적은 해당 년도의 지적공부에 등록된 시점의 토지를 기준으로 측정하므로 설령 매립이 완료되어 지리적으로 면적이 증가했다고 하더라도 한동안 토지의 신규등록이 되지 않으면 그 토지는 없는 것으로 치부되기 때문에 행정상으로 100,000km2 돌파는 꽤 최근으로 측정된다.[4] 2012년 6월 23일에 인구 5,000만명 달성이라는 자료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인구 조사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해당 표의 자료는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바탕으로 한 자료로, 재외국민 및 거주불명자의 인구가 합산되어 나온다.[5] 고층주상복합 단지들이 연이어 있다. 때문에 출퇴근 시간 교통흐름이 상당히 심각하다.[6] 인구 밀도 1위인 방글라데시는 국토 대부분이 경작 가능한 삼각주 평야 지대라 실제 인구밀도와 큰 차이가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