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소학생 유괴 살인사건

 


1. 개요
2. 학교로 온 전화, 하교길에 사라진 아이
3. 발견된 시신, 잡히지 않은 범인
4. 여담
5. 관련 항목
6. 둘러보기


1. 개요


일제강점기1926년 2월 10일 전라북도전주부에서 발생한 살인사건.

2. 학교로 온 전화, 하교길에 사라진 아이


1926년 2월 10일, 전라북도전주부에 있었던 전주소학교(일본인 소학교)[1]에 "집안에 급한 사정이 있으니 소학교 3학년 여학생 쇼 이도리(長イトリ)[2]를 하교시켜 달라"는 내용의 전화가 걸려오자, 담임교사인 무라카미(村上)는 오전 10시 20분에 아이를 조퇴시켰다.
그런데 수업이 끝난 오후 4시 무렵이 지나도 아이는 돌아오지 않았고, 밤이 되자 아이의 학부모이자 전주 시내의 고사정[3]에서 외과 의원을 운영하는 쇼 츠라쥬로(長連十郞)로부터 '''"아이가 아직 하교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된 일이냐"'''는 전화가 걸려왔다.
결국 상황이 심각해진걸 안 학교 측에서는 일본제국 경찰에 이도리의 실종 사실을 신고했고, 신고를 접수한 전주경찰서는 100엔[4]의 현상금을 걸고 아이를 찾는데 주력했으나 다음날인 11일 오후 3시경 이도리는 전주형무소 인근 야산[5]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야산은 2020년 현재 주택가로 인해 없어진 상태이다.

3. 발견된 시신, 잡히지 않은 범인


현장에 출동한 일본제국 경찰이 이도리의 시신을 병원으로 옮기고 부검을 실시한 결과 끔찍한 결과가 밝혀졌다. 시신은 심각했는데 목은 등하교시 입고 있었던 망토에 목이 졸려있었고 목 부분에는 칼[6]에 찔린 흉터도 두 곳이 있었다. 머리 부분은 돌에 두어번 찍힌 흔적이 있었다. 이렇게 다양한 방법으로 상해가 가해진 나머지 정확한 사인을 추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리고 자궁에는 강간을 당한 흔적이 있었는데, 이걸 종합하면 '''전화로 부모를 사칭해 아이를 조퇴시킨 다음 아이가 집에 가는 길에 납치해 성폭행하고 살해한 것.''' 당시 언론의 표현대로 괴사건이 아닐 수가 없었다.[7]
조선총독부 경무국은 이 충격적인 사건의 범인을 잡기 위해 전라북도청의 경찰부에서[8] 지휘본부를 설치한 다음에 전주부 일대를 중심으로 전라북도 전역을 샅샅이 뒤졌지만 끝내 범인을 잡기는커녕 신원조차 파악하지 못했다.
일본제국 경찰은 2월 12일 이도리의 사촌오빠인 長千宏[9]을 유력한 용의자로 체포하고 집중적으로 조사했으나 끝내 증거 불충분으로 2월 22일 석방하면서 사건을 미제로 종결했다.

4. 여담


사건이 충격적인 이유는 범행 수법이 흔하지 않으며 최근의 과학수사 능력이라면 상당히 해결하기 쉬운 사건이기 때문이다.
현재라면 피해자의 체내에서 정액을 검출해 DNA를 분석하거나 전화 기지국을 추적해 범인이 통화를 한 지역 일대의 동선을 파악하고 지역내 CCTV나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확보해 분석한다면 충분히 범인을 붙잡을 수 있었겠지만 당시에는 CCTV나 블랙박스가 있을리가 없었고 지문인식을 제외한 과학수사 기법이 보급되지 않아 범인을 체포할 수 없었다.[10]
물론 당시에는 전화 소유자가 한정되어 있었던 만큼[11] 이 점에 주목하고 전화 이용자의 시간대별 알리바이를 분석하거나 교환원을 조사했더라면 보다 효율적인 수사를 할 수 있었겠지만 일본제국 경찰은 사망자의 친인척을 조사하는데 그쳤고 사건은 미제로 남게 되었다.

5. 관련 항목


  • 보이스피싱
  • 곽재은 유괴 살인 사건 -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전화를 이용한 유괴 수법이 놀랄만큼 유사하다. 단 범행 의도와[12] 범인이 검거되었는지의 유무 등 차이점이 있다는 정도.

6. 둘러보기




[1] 현재는 전주중앙국민학교를 거쳐 전주중앙초등학교로 개칭.[2] 사건당시 11세. 1914년 2월 11일~1915년 2월 10일생으로 추정된다.[3] 현재의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당시에는 일본인들의 부촌이었다.[4] 1910년대의 도매물가지수와 곡식가격으로 계산하면 2010년대의 1억 원이다. [5] 현재의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322번지 일대. 형무소는 해방 후 전주교도소로 개칭되었고 6.25 전쟁당시에는 북한군과 좌익에 의해 학살이 일어났다. 이후 1973년 평화동으로 이전하고 일대는 현재 주택가가 위치해 있다.[6] 당시 언론이 "소도(小刀)"로 묘사한 것으로 보아 단검이나 과도 등 사이즈가 작은 흉기로 보인다.[7] 사실 집에 전화를 하거나 아이와 통화를 시켜 확인을 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가 있었다. 집에서 전화가 걸려 왔다는 이유로 확인 절차 없이 조퇴 처리한 것이 실수였던 셈.[8] 지금의 지방경찰청(행정자치부 직할의 광역경찰청)과 전혀 다른 직제로서 XX도청 직할의 XX부국이다. 왜냐하면 일본 제국의 경찰관들은 프랑스 제3공화국독일 제2제국경찰행정법을 본받아 내무성 직할의 경보국과 도쿄 시내의 경시청에서 근무하는 중앙경찰 및 도도부현의 민정관청에서 근무하는 지방경찰로 인사체계가 분리되어 있었고,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민정문관이 XX군수로 승진한 뒤에 XX경찰서장으로 부임하는 순환근무도 흔했다. 당연히 일본 본토의 현청 직제를 모방하여 조선총독부의 13개 도청에서는 도지사의 지휘를 받는 5개의 부국(경찰부, 내무부, 재무부, 농상부, 광공부)이 설치되어 있었다. 참고로 일제시대의 관료제는 현대 시대의 1급~10급 공무원(국민의 충복)이 아니라 중세 시대의 정1품~종9품 문무관리(국왕의 충복)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9] 한국식 독음은 장천굉. 일본어 독음은 아마도 '치히로'일 것이나, 당장 비슷한 시대 사람인 스기하라 지우네도 엄연히 로마자로 chiune라고 썼는데도 일본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센포'로 읽어서 그렇게도 통했으므로, 다르게 읽었을 가능성도 있다. 옛날 일본인들의 이름은 신문기사에 읽는 법이 안나왔으므로 지금 읽는 법을 알 수 없으니, 현대에 대충 때려맞춰 읽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간토대지진 직후 수상이 된 山本權兵衛도 야마모토 콘베, 야마모토 곤노효에 두 가지 읽는 법이 있고 생전에도 본인이 뭐가 옳다고 밝히지 않아 두 개 다 쓰인다.[10] CCTV와 차량용 블랙박스는 각각 2000년대 중반과 2010년대에 대중화되었고, DNA를 이용한 과학수사 기법은 1990년대 화성 연쇄살인 사건을 시점으로 일선 경찰에 보급되었다. 그러나 지문인식 기록은 1910년대부터 조선총독부대만총독부관동주가라후토청남양청경시청의 상호 교환을 재빨리 실행했다. [11] 당시 전화는 기기값과 이용료 모두가 고가여서 쉽게 이용할 수가 없었고, 일본인들과 조선인들 가운데 극소수의 부유층 또는 상인들만이 겨우 이용할 수가 있었다. 남한에서 전화를 널리 보급한 시기는 먼 훗날인 1982년체신부의 전화 사업이 한국전기통신공사로 분리독립하고 전자식 교환기가 개발되면서 전화 회선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부터였다.[12] 몸값과 성폭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