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군단

 




'''제11군단'''
'''第十一軍團'''
'''XI Corps'''
[image]
'''창설일'''
1987년 4월 1일
'''해체일'''
2007년 10월 31일
'''별칭'''
'''충렬부대'''
'''소속'''
[image]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image] 제2작전사령부
'''규모'''
군단
'''역할'''
경상도 2개 도와 3개의 광역시를 방어
'''초대 군단장'''
예) 중장 000(육사 00기)
'''마지막 군단장'''
예) 대장 황의돈(육사 31기)
'''위치'''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1. 개요
2. 상세
3. 편제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군단가
7. 여담

[image]
'''12대 황의돈 군단장의 취임식 장면'''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을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야전군사령부 소속 군단. 별칭은 '''충렬부대'''.
1987년 4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해체 전까지 5개의 사단과 1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으며, 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07년 10월 31일 해체되었다.

2. 상세


1987년 4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39사단, 50사단, 53사단, 69사단, 70사단 등 지역방위 및 동원사단을 예속받았다.
2007년 10월 부대해체 후 주둔지는 제39보병사단 예하 연대가 주둔해 있다.
호남호서지역에 주둔한 제9군단, 영남지역에 주둔한 제11군단은 대한민국 지역방위를 책임지는 제2야전군의 실병력을 구성했다. 2군사령부 담당구간은 후방으로 취급되는데도 군사독재 시절 중장 보직을 억지로 늘리기 위해 창설된 두 군단은 끊임 없이 비판 받았으며, 군사령부-군단-사단의 불필요한 지휘계통 간소화를 위하여 2007년 해체되었다. 예하 부대들은 신설된 제2작전사령부에 예속됐다.
특이한 사항이 있다면 그동안 육사만 독식해오던 대장자리였으나 ROTC3사 출신 첫 대장이 이 부대 지휘관 출신이라는 점이다.

3. 편제


2007.10.31 기준.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 제39보병사단(충무부대)
  • 제50보병사단(강철부대)
  • 제53보병사단(충렬부대)
  • (구)제70보병사단(충효부대)
  • (구)제205특공여단(백호부대)[1]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1. 군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역대 제11군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예) 중장

군단장

'''00대'''
'''김진호'''
예) '''대장'''
학군 2기[2][3]
합동참모의장, 제2작전사령관

00대
박용득
예) 중장
육사 22기
육군교육사령관

00대
노연웅
예) 중장
학군 5기[4]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9대
홍갑식
예) 중장
육사 27기
육군참모차장

'''10대'''
'''박영하'''
예) '''대장'''
3사 1기[5]
제2작전사령관

11대
방효복
예) 중장
육사 30기
육군참모차장, 국방대학교 총장
국방과학연구소
'''12대'''
'''황의돈'''
'''예) 대장'''
육사 31기
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군단가



7. 여담


  • 부대 창설 당시 부지를 잘못 잡아 식수가 부족하여 장병들이 직접 물을 길어와 썼고,주변 마을에서도 물부족으로 고생했다고 한다.#
[1] 2008년 12월 1일부로 부대해체[2] 고려대학교 사학과 60학번[3] 학군사관 출신 2번째 대장. 첫 번째는 박세환 대장으로 학군 1기이자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교 59학번[4] 건국대학교 생물학과[5] 육군3사관학교 출신 첫 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