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참모차장으로 참모장 역할을 하며 육군참모총장이 부재시 대리한다. 현재 육군참모차장의 계급은 중장이다.
2. 상세
육군의 경우 해군이나 공군과 구별되는 특성이 중장 보직이 많다는 것이다. 우선 작전사령부의 부사령관(2인)[1] 에 군단장(8인), 인사사령관[2] , 군수사령관, 사관학교장, 교육사령관, 항작사령관[3]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수방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참모차장 등 19명에 이른다. 합동참모본부(4인)[4] 이나 국방부(3인)[5] 등에도 육군 중장이 많이 들어가는 걸 생각하면 육군의 중장들은 굳이 육군차장을 거치지 않아도 대장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 해공군의 고정된 중장보직은 작전사령관, 사관학교장, 교육사령관, 참모차장 4자리이다.[6]
과거 군령권과 군정권을 참모총장이 모두 행사하던 시절, 지상군이 강세인 특성상 육군참모차장이 명실공히 국군의 2인자나 다름없던 시절도 있었다. 이 시기 참모차장을 거쳐 참모총장으로 영전하는 장군들도 많았다. 그러나 군령권과 군정권이 분리되고, 합참의장의 권위가 부각되는 요즘에는 그렇지만도 않은 듯. 최근 5년간 참모차장에서 곧장 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인물은 없고 10년으로 범위를 넓히면 단 한 사람뿐이며, 참모차장을 거쳐 대장으로 승진한 뒤 2차보직으로 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인물도 두 사람뿐이다. 그중 한 명인 전임 참모총장 김요환 대장의 경우 본래 전역할 예정이었으나, 군내 구타 및 가혹행위의 책임을 지고 동기인 권오성 총장이 급작스레 물러나면서 영전한 것이다. 최근 10년간 참모총장으로 다수 진출한 자리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다. 제1야전군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7] 이나 제2작전사령관[8] 을 거친 총장은 많지 않다. 43대 육군참모총장인 조정환 대장이 제2작전사령관에서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첫 번째 케이스일 정도.
3. 역대 육군참모차장
4. 관련 문서
[1] 제2작전사령부의 부사령관은 소장이 임명되기도 한다.[2] 소장이 임명되기도 한다.[3] 보병병과 장군이 보직임명시 중장, 항공병과 장군이 보직임명시 소장이 보임한다. 현재는 강선영 소장이 사령관직을 맡고 있다.[4] 합동참모차장, 작전본부장, 군사지원본부장, 전략기획본부장.[5] 군사안보지원사령부, 국방대학교, 국방정보본부.[6] 교육사령관은 해공군의 경우 이따금 소장이 임명되기도 한다. 해군사관학교장 보직도 가끔 소장이 임명된다.[7] 제1야전군사령부와 제3야전군사령부가 통합된 지상작전사령부를 이끄는 지상작전사령관 출신 참모총장이 나올지 지켜볼 일이다.[8] 비육사출신 대장들을 주로 보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