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아제르바이잔 관계

 



[image]
[image]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1. 개요
2. 역사적 관계
3. 상호 교류
4. 관련 문서


1. 개요


아제르바이잔, 조지아의 대외 관계에 대한 문서.

2. 역사적 관계


서로 인접국인 관계로 역사적 교류 자체는 활발했다. 고대 말 조지아가 아르메니아와 함께 거의 세계 최초로 기독교로 개종한 것과 다르게 오늘날 아제르바이잔에 해당하는 캅카스 알바니아 지역은 페르시아와 마찬가지로 조로아스터교를 고수하였다. 이를 계기로 양 지역간의 문화적 격차가 점점 벌어지게 되었는데 근세에도 조지아 서부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영향으로 상당수 주민들이 정교회에서 순니파 이슬람교 등으로 개종하는 동안, 고대의 조로아스터교를 믿고 호람딘 등을 지지하던 아제르바이잔 주민들은 사파비야의 영향으로 거의 대부분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게 되었다.
중세 조지아 왕국이 강성하던 당시에는 조지아가 아제르바이잔 일대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으나 키질바시들이 사파비 왕조를 건국하면서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 아제르바이잔의 키질바시들은 오늘날에 이란에 해당하는 지역을 정복하고 사파비 제국을 건설한 이후 이란의 순니파 무슬림들이 봉기하자 이들을 진압할 목적으로 조지아인들을 납치해다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시킨 후 이란 각지에 주둔시켜 봉기를 제압하였다. 이란으로 납치된 조지아인들은 이란 현지 유력자들과 연고가 없었기 때문에 사파비 왕조에 충성할 수 밖에 없었고 결국 사파비 왕조의 인재의 중추를 조지아인들이 구성하게 되었다. 사파비 왕조가 이스파한으로 천도한 이후에는 이스파한의 군인들이나 황궁의 후궁들은 조지아인들로, 시장의 상인들은 아르메니아인들로 채웠다. 조지아에서는 아제르바이잔과 이란에서 활약한 조지아인들을 기념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과정에서 조지아인들이 강제로 개종당하고 상당수가 납치 과정에서 살해당했기 때문에 좋게 볼 수 만은 없다.
아제르바이잔인들이 건국한 사파비 왕조는 오스만 제국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조지아 서부까지 완전 장악하는데는 실패하였다. 다만 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는 한동안 아제르바이잔계 이란 왕조인 사파비 왕조, 카자르 왕조의 영향권 하에 있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이 트빌리시를 점령하기 이전 트빌리시 주민 대다수는 아제르바이잔계 무슬림이었다. 러시아 제국에 점령된 이후 아제르바이잔계 주민 상당수가 쫓겨나거나 학살당하고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했던 조지아인들은 다시 정교회로 개종하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모스크들이 정교회 성당으로 개조된다.[1] 다만 조지아 내 무슬림들이 다 쫒겨난 것은 아니고 트빌리시 구시가지에는 현재도 아제르바이잔인 쿼터가 있으며 해당 쿼터에는 마스지드가 남아있다.

3. 상호 교류


아제르바이잔은 조지아에게 있어 수출입 3위를 차지하는 나라이기에 영향력이 크다.
아제르바이잔조지아는 서로 소 닭보듯 지내다가,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아르메니아를 대신할 철도 및 자원 라인으로 간택해 서로 협력하려고 하는 중이다. 조지아는 터키와도 협력을 하는데, 조지아/외교에서 터키와의 관계에도 언급되지만 있듯 파이프라인에 아제르바이잔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조지아는 아제르바이잔과 서로 협력하면서 지내려고 한다. 조지아도 경제적으로 개판된 터에 러시아와 더불어 터키,아제르바이잔이 경제적으로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는 터라 터키와 아제르바이잔과 협력하고자 한다. 이들 세 나라가 조지아 수출입 절반이나 되는 비중을 차지한다. 자세한 내용은조지아/경제 항목을 참고하면 된다.
이런 가운데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과 함께 유로 2020 공동개최를 시도하기도 했으며 아제르바이잔은 유로 2020에서 조지아와 같이 공동개최 경쟁후보로 나섰다. 조지아의 축구 경기장 투자도 같이 나선다고 하면서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었는데, 난데없이 플라티니 회장이 유로 2020을 한두 나라가 아닌 유럽 여러 도시 분산 경기로 확정하면서 조지아와 같이 분노했다.
그럼에도 '다비드 가레자' 수도원를 두고 영토분쟁이 있는 편이다.# 하지만, 이 기사에 나온대로 조지아로서 경제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제르바이잔과 전쟁을 치룰 수도 없거니와 둘 다 친미 정책을 취하는 터에 결국 이런 분쟁이 있어도 뭐라고 나서지 못하는 현실이다. 더불어 조지아는 아르메니아와도 국경분쟁이 있기 때문에...아제르바이잔에게만 뭐라고 할 수도 없다. 오히려, 경제적으로 아제르바이잔과 얽히다보니 2020년 아르차흐 전쟁 때도 아제르바이잔 편을 들어두고 있다.
무엇보다, 서로가 이웃 다른 나라들보다는 협력적 관계로 가는 중이라 이 분쟁도 때론 서로 머뭇거리고 대충 물러나고 있다. 카스피해 막대한 가스자원을 유럽으로 연결하는 트란스 아나톨리아 파이프라인이 2018년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이상, 양 측이 서로가 꼭 필요하다. 엄청난 돈을 벌어들일 이 파이프라인에 두 나라는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 조지아 대신 아르메니아를 거쳐가자면 아제르바이잔이 받아들일 수 없고 러시아를 거치자면 러시아로서는 조지아가 필요없다. 따라서 두 나라 역시 서로 논쟁 벌이다가도 이걸 서로가 강력하게 총들고서라도 되찾겠다느니 막겠다느니 말을 못하고 있다. 헌데,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또한 국경 영토 분쟁이 있기에 조지아가 아제르바이잔에게만 따져들 수 없다. 그래서인지,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때는 중립을 지키고 있는데 오히려 아제르바이잔이 중립 감사하다고 기뻐한다. 조지아가 중립을 지키면서 아르메니아로 가는 그 모든 전쟁 물품 통과도 거부하기에 아르메니아는 비상이 걸렸다.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은 빼고, 이란도 아제르바이잔 눈치 보고 있고, 러시아도 2018년 이후로 아르메니아에 반러 정권이 들어서면서 친서구적으로 가려고 하다보니 어떤 지원도 하지않고 있다. 심지어 아르메니아를 돕겠다고 하던 세르비아가 러시아를 거쳐가는 것도 거부하고 있다. 세르비아 측은 조지아에게 부탁했으나 조지아도 거부했다.

4. 관련 문서


[1] 오늘날에도 조지아의 일부 성당은 내부 구조가 모스크와 동일하게 되어있다. 다만 건물 벽의 아랍어 문구 장식 등을 '''완전히''' 다 제거한 상황이라 모스크 내부 구조를 모르면 해당 건물이 원래 모스크인지 잘 모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