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관람정
1. 개요
昌德宮 觀纜亭
창덕궁 후원 관람지 권역에 있는 정자이다.
2. 이름
‘관람(觀纜)’ 뜻은 ‘뱃놀이(纜)을 바라본다(觀)’는 이다. 원래 ‘람(纜)’은 닻줄이란 뜻인데, 여기서는 뱃놀이란 의미로 썼다.#
3. 역사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1828년 ~ 18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는 안보이고 헌종 때 제작한 《궁궐지》에도 관련 기록이 없는데, 1907년(융희 원년) ~ 1908년(융희 2년)에 만든 《동궐도형》에는 보인다. 그래서 고종 때 후원을 정비할 때인 1903년(광무 7년) 경 아니면 순종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긴 1907년(융희 원년) 무렵에 지었을 것으로 추측한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민족문제연구소 이순우 연구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적어도 1901년(광무 5년)에는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인 버턴 홈스(Burton Holmes)가 1901년에 발간한 《The Burton Holmes Lectures》에 관람정 사진이 실려있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1901년 '''이전'''에 지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직까지는 정확한 건립 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4. 관람지
관람정의 연못은 관람지(觀纜池)이다. 한반도 모양이라 반도지(半島池)로도 부른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저런 모습이 아니었다. 《동궐도》를 보면, 사각형 연못 2개와 원형 연못 1개가 나누어져 있었다. 순종 때 제작한 《동궐도형》을 보면 저 연못을 합쳐 호리병 모양으로 만들고 그 위에 다리를 놓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마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모습으로 바꾼 듯 하다.
5. 구조
- 한 단의 기단 위에 주춧돌을 올리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과 주춧돌은 원형이다. 연못과 맞닿는 부분에는 세로로 긴 돌기둥을 연못 바닥에 맞닿게 만들었다. 그래서 마치 연못에 발 담그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
-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처음 지붕 재질은 동판 비슷한 것이었는데, 순종 즉위 전후로 기와로 바꾼 듯 하다. 처마는 홑처마로,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으며 용마루 양 끄트머리에 용두를 올렸다.
- 각 기둥 하단부마다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기둥 양 옆에 짧게 난간을 두었다. 난간의 모양은 풍혈을 뚫은 궁판을 두고 그 위에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둔 형태이다.
- 기둥의 바깥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시를 적어놓았다.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珠簾繡柱圍黃鵠 (주렴수주위황곡)
>구슬 발, 채색 기둥을 고니 떼 둘러싸고
>
>錦纜牙檣起白鷗 (금람아장기백구)
>비단 닻줄, 상아 돛대에 갈매기떼 날아오르네
>
>彩鴛靜點銀塘水 (채원정점은당수)
>알록달록한 원앙이 은빛 연못물에 고요히 떠다니고
>
>乳燕凉飛玉宇風 (유연량비옥우풍)
>어린 제비는 바람을 타고 시원하게 하늘을 나네
>
>橋轉彩虹當綺殿 (교전채홍당기전)
>찬란한 무지개다리 돌아드니 전각과 마주했고
>
>艦浮花鷁近蓬萊 (함부화익근봉래)
>화려한 익수(鷁首)의 배 떠가니 봉래산이 가까워지네
>#
>구슬 발, 채색 기둥을 고니 떼 둘러싸고
>
>錦纜牙檣起白鷗 (금람아장기백구)
>비단 닻줄, 상아 돛대에 갈매기떼 날아오르네
>
>彩鴛靜點銀塘水 (채원정점은당수)
>알록달록한 원앙이 은빛 연못물에 고요히 떠다니고
>
>乳燕凉飛玉宇風 (유연량비옥우풍)
>어린 제비는 바람을 타고 시원하게 하늘을 나네
>
>橋轉彩虹當綺殿 (교전채홍당기전)
>찬란한 무지개다리 돌아드니 전각과 마주했고
>
>艦浮花鷁近蓬萊 (함부화익근봉래)
>화려한 익수(鷁首)의 배 떠가니 봉래산이 가까워지네
>#
6. 여담
7. 매체에서
-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 1》에서 조학주(류승룡 분)와 딸 계비 조씨(김혜준 분)가 대화하는 장소로 등장한다. 관람지는 시신을 넣은 연못으로 나온다. 단, 시신넣는 장면 촬영은 다른 연못에서 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