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대학

 





1. 개요
2. 역사
3. 전공분야
4.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4.1. 일반대학[1]
4.2. 전문대학
4.3. 대학원
5. 같이 보기


1. 개요


철도에 관한 학문을 가르치는 단과대학을 칭한다.

2. 역사


한반도에서 철도 관련 교육이 처음으로 시행된 곳은 경의선 개통을 앞두고 1905년 일제가 개설한 철도이원양성소이다. 이 기관이 여러 차례 재출범 및 학제 개편을 거쳐 한국철도대학이 되었다. 그리고 이는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으로 이어진다.
한국철도대학은 2000년 서울산업대학교에 철도기술대학원이 개설될 때까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철도를 가르치는 고등교육기관이었고, 2004년 동양대학교에 철도대학이 개설될 때까지 대한민국 유일의 철도대학이었다. 그래서 한국철도대학과 그 후신인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은 국내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철도대학으로 꼽히며, 일부 현직자나 어르신들에게는 '철도대학'이라는 말이 곧 한국철도대학을 뜻하기도 한다.[2]
2000년대 중반에 들어 철도분야가 블루 오션으로 각광받으며 동양대학교를 시작으로 다수의 대학들이 산하에 철도대학 내지는 철도 관련 학과들을 개설하였다.[3]
대한민국에서 철도 분야가 독립 단과대학 형태로 부설된 곳은 동양대학교, 송원대학교, 우송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등이 있다.

3. 전공분야



3.1. 철도운전과·철도관제과


철도 기관사를 양성하는 전공이다. 최근에는 철도 관제사가 유망직종으로 부각되면서 철도운전 과정과 철도관제 과정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3.2. 철도공학과


철도 차량, 인프라, 배선 등 광범위한 철도공학을 배우는 전공이다. 보통 독립 철도대학에서는 전기분야, 철도차량 분야, 토목분야 등이 별도의 전공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공대 산하에 철도 전공이 있는 경우는 그냥 철도공학과의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이 경우 철도전기 관련 내용은 전기전자공학과에서, 철도차량 관련 내용은 자동차공학과에서 다루기도 한다.

3.3. 철도경영과


역무원이나 철도운영기관의 사무직원을 양성하는 전공이다.

3.4. 물류유통학과


철도 관련 전공은 아니지만, 철도 화물운송이 부상하면서 물류학과를 철도대학 산하에 두거나 아예 철도경영과 물류를 같이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3.5. 교통공학과


철도 관련 전공은 아니지만, 철도가 교통의 하위 개념이므로 교통공학과 철도의 연관성은 매우 높다.

4.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철도청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철도인 양성 전문기관으로 한국철도대학을 운용하고 있었지만, 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공사화하고 그에 따라 특채 제도 또한 폐지됨으로써 철도 전문교육을 굳이 한국철도대학에 국한시킬 필요가 없어지자 이 시기를 전후하여 각 대학에 철도 관련 학과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났다.[4] 본 단락에서는 그러한 대학들을 정리하였으며, 관련 자료로 대한교통학회 학회지 '교통 기술과 정책' 2012년 12월호에 수록된 표를 참조하였다.[5] 관심있는 수험생은 참고해보자.
대학원의 경우, 연관성까지 고려하면 얼마든지 확장시킬 수 있기에 해당 대학원 내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된 전공이 포함되어 있거나, 아예 대학원 명칭에서부터 '철도'가 기재되어 있는 대학원만 기록한다.

4.1. 일반대학[6]


분류
소재
교명
단과대학
비고
일반대학
경북
경일대학교


경북



경북
동양대학교
철도대학

광주
송원대학교
철도대학

인천



대전
우송대학교
철도물류대학

대전
배재대학교


경기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
[7]

4.2. 전문대학


분류
소재
교명
비고
전문대학
경북
가톨릭상지대학교

경북
경북전문대학교

경기


경북
경북보건대학교

대구


대전


충북
대원대학교

경북


전남


대전
우송정보대학


4.3. 대학원


소재
교명
대학원명
비고
경북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북
동양대학교
일반대학원/정보대학원

서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경기
아주대학교
교통•ITS대학원

대전
우송대학교
일반대학원/철도융합대학원

서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경기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교통대학원


5. 같이 보기




[1] 소재지는 본교가 아닌 철도학과가 설치된 캠퍼스 기준[2] 1970~80년대 2,3년제 학부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의 교명에는 반드시 '전문대학'이 들어가야 했다. 그래서 1980년대의 공식 교명은 철도전문대학이었지만 보편적으로 '철도대학'으로 불렸다.[3] 그래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교통대 철도대학의 4년제로서의 역사는 전국 철도대학 중 가장 짧다(...)[4] 엄밀히 말하면 일부 실업계 고등학교에도 어느 정도 해당되긴 한다. 철도전기과가 존재하는 상주공업고등학교라거나, 학과 자체는 없지만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와 MOU를 체결한 용산공업고등학교라든지. 그러나 본 단락에서는 대학 위주로 서술한다.[5] 해당 도서 내의 참서원 원장 백정숙이 작성한 '미래지향적 철도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방향'에서 발췌한 것으로 2012년 2월 기준 자료다. 취소선이 그어져 있는 대학은 2014년 확인 결과 관련 과가 폐지 등으로 없어진 경우.[6] 소재지는 본교가 아닌 철도학과가 설치된 캠퍼스 기준[7]한국철도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