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오션

 

1. 개요
2. 블루 오션의 사례
2.1. 분야에 따른 분류
2.1.1. 게임
2.1.2. 경쟁률이 낮은 채용 시험
2.1.3. 내부 경쟁이 낮은 집단
3. 관련 문서


1. 개요


Blue Ocean
INSEAD 경영대학원의 김위찬 교수와 러네이 모본 교수가 창안한 용어로, '''새로이 탄생한, 그래서 경쟁자가 별로 없는 시장'''을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인 '푸른 바다' 와는 관련 없다.
반대말인 '레드 오션'은 과거부터 존재해 오고 있는 메이저한 시장들로, 필연적으로 경쟁이 치열하다. 최근 들어 언론 등에서 틈새 시장을 '블루 오션'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말해 '블루 오션이' 틈새 시장과 같은 의미는 아니다. 틈새시장은 차별화된 취향을 보이는 특정 소비자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시장을 뜻하는데, 이 시장은 블루 오션일 수도, 레드 오션일 수도 있다. '틈새 시장', 또는 '니치 마켓(niche market)'이라고 따로 이런 시장을 부르는 용어가 있는 것으로써 알 수 있듯, 이 둘은 분명히 구별되는 개념임에 유의할 것. 단지, 틈새시장이 아닌 시장이 블루 오션인 경우가 좀처럼 없는 이유로, 현대의 블루 오션은 틈새시장에 있는 경우가 많을 뿐이다.[1]
블루 오션의 의의는 타 기업보다 그 시장분야에서 고수익[2]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기업이 수요를 새로이 창출한 시장이라면 당연히 기존 사업자가 있을 수 없고, 짧게나마 그 기업은 해당 산업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다.
학문적으로는 포터의 5 Force 모델안티테제적인 위치에 있다. 포터의 주장은 시장에 존재하는 힘들의 균형에 의해 시장의 수익성이 결정된다는 주장과 달리, 블루오션의 개념은 하나의 아이디어에 따라 시장에 영향을 미치던 기존의 힘들을 메롱시키고 수익성을 결정지을 수 있다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레드 오션이 자그만한 아이디어 하나에 블루 오션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기저귀 제품을 생산하던 한 업체가 아이디어로 여아용 남아용 기저귀를 구분해서 팔자 순식간에 기저귀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다. 여아용/남아용 기저귀의 구별이라는 아이디어가 레드 오션으로서의 기저귀 시장을 여아용 기저귀 시장, 남아용 기저귀 시장이라는 두 블루 오션으로 나뉘었고, 처음으로 이 아이디어를 낸 업체 측은 짧게나마 두 시장을 독점할 수 있었다. 나중에, 수익성은 따라올 뿐.
Wii는 10대-30대의 전유물로 생각되던 콘솔 게임 시장의 기술과 "가족의 놀이"라는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가족의 게임기 시장을 만들어냈고, 나중에 이 시장에서 절대 강자로 군림하게 되었다.
또 다른 블루 오션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 앱 시장에 워낙 어그로가 끌리고 양산형 자바 프로그래머가 많아진 탓에 경쟁이 오히려 줄어든 윈도우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곧, 본래 레드 오션이었더라도 다른 레드 오션이 관심을 끌어 경쟁자가 줄어드는 현상이 일어났다면 훌륭한 블루 오션이 된다. 이런 현상의 수혜자로 반디소프트가 있다. "프로그래머로 대입해도 자바는 레드 오션이고 C, C++, C#, 파이썬 같은 언어들은 블루 오션이다."는 이해를 돕기 위해 서술한 듯 한데, 엄밀히 말하면 JAVA 같은 범용적인 언어는 앱을 개발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PC 프로그램이나 Iot기기 펌웨어 개발에도 활용 할 수는 있다. 최적화 면에서는 조금 뒤떨어질지 몰라도 요즘 컴퓨터들의 상향평준화를 고려하면 가벼운 프로그램 정도는 C#을 쓰건 C++을 쓰건 자바를 쓰건 그게 그거다. 적은 지식으로 다양한 플랫폼(=시장)에 진출해 볼 수 있다는 점으로 본인 능력이 좀 후달리거나 어쩌면 자바의 선택도 나쁘지 않으며, 이러한 범용적인 면으로서의 자바는 레드 오션이 절대로 아니다. 오히려 C++로 컴퓨터 프로그램 만들어놓고 ARM이나 PowerPC와 같이 모바일 기기나 Iot 기기의 다른 아키텍처에, 또는 리눅스, 맥 같은 다른 OS에 이식할 때, 그러니까 크로스플랫폼을 시도할 때의 삽질을 훨씬 줄일 수 있다. 자바는 가상머신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물론 C#도 가상머신 쓰긴 하는데, 자바의 역사가 더 길어서 정보가 더 풍성하고, 타 OS가 아니라 이종 아키텍처 사이의 이식에는 Java가 더 유리하다는 말이 있다. 그도 그럴게, Java 런타임(그러니까 일종의 가상머신)만 깔려 있으면 자바 프로그램 대부분은 그냥 돌아가거나 하다못해 수정이 필요하더라도 맨땅에 헤딩보다는 조금 삽질을 덜 할 수 있다.
성공 신화만 보면, 발견하기만 하면 부와 명성을 가져다 주는 파랑새 같은 존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현실은 시궁창이다. 하나의 아이디어로 없던 시장을 창조해내는 것부터가 '''상식의 틀을 깨는 아이디어로, 상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소비자들을 유혹해야 한다'''는 면으로 쉽지 않은 과제이다.[3] 이렇게 만들어낸 시장이 수익성이 있을지 없을지는 다른 문제이다.[4] 심지어 어떻게든 수익성 좋은 시장을 만들어냈다고 해도 그 시장에 계속 머무르려면 이후 육박해 들어올 대기업의 자본력과 힘겨운 승부를 벌여야 한다.[5][6] 위에 언급된 성공신화들이 기존의 산업에서 한 때나마 재미를 보던 쇠락한 대기업들이라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한창 IT버블이 한창일 때 수많은 벤처기업이 등장하고 주목을 받았지만, 현재 남아있는 기업은 얼마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 물론 신흥 대기업이 된 사례도 있긴 하지만 그 당시에 등장한 벤처기업의 수로 현재 남아 있는 벤처 출신 신흥 대기업의 수를 나누면 거의 0에 수렴한다.
덤으로, 블루 오션 구역이 알려지면 당연히 비슷한 상품을 판매하는 이들이 그리로 몰리게 되므로, 결국 영구히 지속되는 블루 오션도 있다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니 '잠재적 레드 오션'이라는 말이 틀리지 않다.

2. 블루 오션의 사례



2.1. 분야에 따른 분류


사회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볼드체''' 처리.
아래 목록을 보면 어지간한 직업은 다 있는 것 같은데, 레드 오션인 직업은 공급자가 너무나 많기에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1.1. 게임


이른바 게임인구의 확대라는 미명 아래 게이머 집단이 아닌 보통의 일반인들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기능성 게임들을 히트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WiiDS의 경우 각종 경영학 연구에서도 인용되는 대표 사례이며 <블루오션 전략>의 공저자인 김위찬 프랑스 인시아드(INSEAD) 교수가 닌텐도를 블루오션 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닌텐도는 Wii를 개발할 때 김위찬의 책을 인용했다고 한다.

2.1.2. 경쟁률이 낮은 채용 시험


단 경쟁률이 매우 낮을 뿐이지 실질적인 합격선 등 시험 응시자들의 수준 상태는 4년제 대학교 전공급을 가진 경우가 많아 함부로 진입했다가는 행정직 이상의 타격을 받게 된다. 그리고 경찰/소방/군인/군무원/교정직의 경우도 확실히 행정직에 비하면 경쟁률 및 합격선이 매우 낮고 채용 인원들도 그만큼 매우 많아서 블루 오션이긴 하지만, 취업난이 더욱 더 가속화된 당금의 시대에는 이 5개 직렬들조차도 결코 우습게 볼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IMF 외환 위기 이전에는 인식이 최악이라 지원자 부족에 시달렸고 외환위기 이후 공무원의 인기가 치솟았으나 부사관은 여전히 기피 직종으로 경쟁률이 낮다. 난이도는 고등학교 수준의 수능 난이도로 공무원 시험 중에서 가장 쉬운 직렬이다. 단, 여자 부사관은 지원자에 비해 뽑는 인원이 적어 경쟁률이 높다.
중등교원임용경쟁시험은 과목마다 티오가 적고 사범대학뿐만 아니라 일반대학에서도 교직과정을 남발하면서 많게는 수십 대 일을 넘어가는 시험이 되었다. 반면 초등임용은 교육대학 초등교육과로 지원자격이 제한되기 때문에 도시지역이 아닌 곳들은 높을때도 2:1 정도를 기록했으며 한때는 미달이 나서 사범대학에서 편입을 받았을 정도이다. 또한 교대는 사범대처럼 이해관계가 나뉘지 않아서 단결력이 강하므로 2018년 서울특별시 초등교사 임용티오가 795명에서 105명으로 크게 줄었을때 교대생들이 단결해서 시위를 하자 티오를 300명까지 대폭 늘려주기도 했다.
다 그런건 아니지만, 심각한 구인난으로 중소기업에서 면접 제의만 들어와도 별다른 요인이 없는 한 바로 합격 가능한 수준이 되었다. 다만, 인력난에 시달리는 생산직, 3D직종과는 달리 경리를 포함한 사무직은 어느정도 경쟁이 있는 편이다. 물론, 중소기업의 현실이 현실인지라 대다수는 얼마 못버티고 다시 나온다는 게 문제.
일명 지잡대는 흔히말해서 원서만 넣어도 합격시켜 주는 수준이 되었다. 문민정부때 실시된 "대학설립 준칙주의"정책으로 대학들이 갑자기 많이 생겨난 것이 원인이 되었고 저출산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는 수험생 수가 대학정원보다 적어지면서 지방대학들은 입학생수가 대학정원을 미달하는 상황이 심각해졌다. 결국 2013년부터 대학설립 준칙주의를 폐지하면서 부실대학을 구조조정하고 대학 정원을 감축하는 정책이 본격화되었다.

2.1.3. 내부 경쟁이 낮은 집단


흔히 철밥통이라고 불리는 무지막지한 안정성과 높은 임금[7]으로 들어갈 때는 경쟁률이 높은 레드 오션이지만 들어가기만 하면 안정이 보장되는 블루 오션이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호황이 끝나고 고용이 불안해지면서 정리해고가 일상화되었지만 공직은 헌법에 의해 절대 짤리지 않으며 경제위기가 와도 신분은 보장된다. 자영업은 폐업률이 높을 만큼 상황이 불안정하고 중소기업은 고용불안에 시달리며 대기업은 45세 정년(일명 '사오정')에 나와서 치킨집을 하게되는 상황에서 내부 경쟁이 적은 공직은 입사 경쟁이 치열한 최고의 직장이 되었다.

3. 관련 문서



[1] 좀 더 간단한 예를 들면, 틈새시장의 시작은 소비자들의 연구라면 블루 오션은 아에 새로운 재화나 서비스를 만들거나 기존 재화나 서비스를 다른 지역이나 다른 용도로 판매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2] 물론 고수익엔 그만한 고위험이 따라온다. 블루 오션이라면 여기에 고투자도 포함[3] 일단 아이디어를 상품화 하는데 막대한 선행비용이 필요하고, 이 상품을 팔 유통망과 소비자층을 구축해야 제대로 된 수익을 낼 수 있다.[4] 애플의 뉴턴 메시지 패드를 예로서 볼 수 있다. 현재의 스마트폰, 태블릿PC의 원조라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이었지만 애플의 실패작 하나이다.[5] 이는 대기업 또한 마찬가지다. 아무리 선행체제를 구축해 수익을 얻는다 해도 후발주자들이 자기보다 못하란 법은 절대 없다. 몰론 대부분 선발 대기업을 찍어 누르는 사례는 대부분 후발주자 대기업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진다.[6] 문제는 대한민국의 경우 이런 블루 오션에 뛰어들 기업들을 바쳐줄 투자기관부터 매우 보수적인 곳이다. 또, 출구시장(Exit market)도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시장체제 또한 대기업 위주로 짜여 있어 중소기업들이 신사업에 뛰어들어 제대로 된 사업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7] 2018년 기준 공무원 평균 연봉은 6360만원(월530만원)으로 근로자 평균 연봉 3650만원(월304만원)보다 월등히 높고 공기업은 연봉7842만원(월653만원)이나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