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미군/유닛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의 진영 유닛'''
'''연합군'''
'''추축군'''
소련군/유닛
미군/유닛
영국군/유닛
국방군/유닛
서부전선 총사령부/유닛
1. 건물과 유닛
1.1. 병영(Barracks) (0티어)
1.1.1. 후방분대 (Rear Echelon Troops)
1.1.2. 소총병 분대
1.1.3. WC 54 3/4톤 야전 구급트럭
1.1.4. M1 81mm 박격포
1.1.5. WC51 군용 트럭
1.1.6. M3 반궤도 장갑차
1.2. 소대 지휘본부 (Platoon Command Post) (1티어)
1.2.1. 중위분대
1.2.2. M20 다용도 차량
1.2.3. M2 브라우닝 기관총 운용반
1.2.4. M5A1 스튜어트 경전차
1.3. 중대 지휘본부(Company Command Post) (2티어)
1.3.1. 대위분대
1.3.2. M1 57mm 대전차포
1.3.3. pack howitzer M1 75mm 견인포 분대
1.3.4. M15A1 대공차량
1.4. 대대 지휘본부(Battlion Command Post) (3티어)
1.4.1. 소령분대
1.4.2. 셔먼 중형전차
1.4.3. M4A3 셔먼 76mm
1.4.4. M4A3E8 셔먼 '이지에잇'
1.4.5. M10 울버린
1.4.6. M8A1 곡사포 탑재 차량
1.4.7. M36 잭슨 대전차 자주포
1.5. 기타 유닛 및 건물
1.5.1. 차량 승무원
1.5.2. 의무병
1.5.3. 강습 공병
1.5.4. 패스파인더
1.5.5. 공수부대 분대
1.5.6. I&R 패스파인더
1.5.7. 지원 공수부대
1.5.8. 레인저 분대
1.5.9. 기계화 소총병(Cavalry rifleman)
1.5.10. M8 그레이 하운드
1.5.11. M21 자주 박격포
1.5.12. M5 수송 반궤도 장갑차
1.5.13. 105mm 불도저 셔먼
1.5.14. M7B1 프리스트 자주포
1.5.15. 셔먼 칼리오페
1.5.16. M26 퍼싱 중전차
1.5.17. 전투 진지


1. 건물과 유닛


이곳 에서 미국유닛의 종류와 스킬을 볼 수 있다.

1.1. 병영(Barracks) (0티어)


병영은 소련군의 기본 건물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전투를 담당하는 소총수의 생산이 가능하며 이 소총수를 지원하는 다양한 업그레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수류탄 업그레이드는 소총병과 중위 분대가 강력한 파인애플 수류탄과 연막 총류탄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BAR/바주카 무기고 업그레이드를 통해 '''본진의 무기고를 열어서''' 한 자루당 60 탄약, 분대당 최대 2 자루씩 집어갈 수 있게 한다. 미군 분대화기들은 1정당 능력 자체로는 독일 진영의 무기에 비해서 조금 뒤쳐지지만 한번에 두 개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성능에서는 우위를 점하게 된다.
  • MK2 파편수류탄 업그레이드
100맨파와 15기름을 주면 소총수와 장교가 파편 수류탄 투척 스킬을 쓸 수 있다. 장교나 후방부대의 경우 연막 총류탄이 추가된다. 단 공수부대나 레인저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수류탄 투척 스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유닛들을 주력으로 사용하거나 소총수들에게 무기를 먼저 들려줘서 화력전을 할 생각이라면 업그레이드가 절실하지는 않은 편.
  • 무기고 업그레이드

150맨파와 15기름을 소모하면 무기고를 해금할 수 있다. 본진 무기고가 해금되면 일정 뮤니를 소모하고 모든 유닛에게 브라우닝 자동소총이나 M1 바주카를 들려줄 수 있다.

무기고에서 60뮤니를 주고 한정씩 들 수 있으며 최대 2정까지 들 수 있다. 모든 거리에서의 전반적인 화력을 늘려주어 중반부터 어정쩡해지는 소총수 및 장교의 화력을 보강해주며 기동전이 컨셉인 미국 답게 이동사격 효율이 좋은 편이다.[1] 다만 LMG 류와는 달리 장거리에서는 효과를 보기 힘들며 수류탄과 연막탄을 자주 사용하는 미군의 특성상 두 자루 기준 120 뮤니라는 소모량은 상당히 부담스러우므로 1정 정도만 들려줬다가 중후반에 여유 있을때도 2정을 다 들려주는등 뮤니 소모의 선택을 잘 생각하는 편이 좋다.
성능과는 별개로 고속 사격을 하던 1편과는 다르게 저속사격을 하는데다 총성도 물총 쏘는 것마냥 시원찮아서 1편때 타타타탕 하고 찰지게 총알을 쏟아내던 바를 기억하던 유저들에게서 혹평이 많은 편.
  • M1 바주카 업그레이드
무기고에서 50뮤니를 들여 M1 바주카 들 수 있고, 최대 2정까지 들 수 있다. 바주카를 들게되면 대보병 능력을 상실한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많은 수의 보병 분대가 바주카를 들고 일점사를 할 경우 전차에게도 상당한 저지력을 갖추게된다. 57mm대전차포와 잭슨과는 별개로 아군 포격유닛을 기습하는 적 전차를 견제하는데 사용하면 탁월하다. 부족해진 대보병력은 포병으로 매꾸면 된다. 후반에 부족한 미군의 라인전 힘을 보충해주나 하지만 소총수가 미처 커버하기 힘든 기습에 대처하기 힘드며 헤비탱크에겐 바주카가 씨알도 안먹히기 때문에 추가로 잭슨이나 대전차포를 준비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보통은 후방부대나 중위에게 장착시켜주자.
  • M1919A6 경기관총 업그레이드
특정 중대 지휘관을 선택하고 3CP까지 올리면 무기고에서 30구경 경기관총을 70뮤니를 소모하여 집어올 수 있다. 이리저리 기동하면서 중거리 이내의 난타전에 능한 BAR과는 다르게 말뚝딜을 통한 중장거리 화력이 크게 상승한다. 1정만 들려주면 약간 애매한 느낌이 있는 BAR보다는 1정만으로도 충분히 딜을 뽑아낼 수 있고 무기고를 해금하지 않아도 집어올 수 있어서 가성비가 상당히 훌륭하다.

1.1.1. 후방분대 (Rear Echelon Troops)


[image]
인력 200/23 충원비 인구수 5(분대기본 인구 1 + 4인 분대, 단 3베테런시 달성시 5인분대로 변화)
무기 - M1 카빈 4정(기본), 지뢰탐지기,바주카,bar1918,Lmg1919,화염방사기 장착가능(다른 공병들처럼 기본적으로 업글할수는 없고 중대장 스킬이 있어야 된다.)
베테런시 1 - 명중률 +20%
베테런시 2 - 피격율 -23%, 쿨다운 -20%. 각 인원의 초당 수리량 +0.5
베테런시 3 - 분대인원 1 증가
M1 카빈으로 무장한 4인분대로 미군의 공병 포지션 유닛.
게임을 시작하면 처음으로 던져주는 유닛으로 들고있는 카빈의 연사속도는 제법 빠르지만 명중률이 거의 눈감고 쏘는 수준에 맷집도 약해 단일 분대의 전투력으로는 이길 수 있는 유닛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게다가 미국은 티어업 시 건물을 지을 필요가 없고 차량승무원이 수리를 하는 미국의 시스템상 후방부대가 딱히 절실하지 않으므로, 사실상 이 게임 최악의 취급을 받는 유닛.
특히나 바로 반대편 진영인 서독의 강력한 돌격공병과 정말 비교되는 탓에 수많은 미국 유저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그래서인지 보통 공익이나 업햄(...)이라는 멸칭으로 불린다. 그래도 다른 진영 공병들과는 다르게 기본적으로 전차장애물을 깔 수 있다는 것은 차별화되는 점.
초반 후방부대의 역할은 거점을 점령하면서 탱크트랩(그린커버)과 철조망을 깔고, 주요 건물에 들어가 구역을 장악하거나 소총수보다 먼저 앞쪽 시야를 파악해가면서 적의 기관총등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 또한 주요 임무.
후방부대의 카빈이 명중률이 낮다곤 하나, 근거리에 들어온 적에겐 어느정도 깨알같이 아픈 화력을 쏟아낼 수 있고, 상대가 상성을 잘 모를 경우 건물에 들어간 후방부대에게 허깅을 했다가 피해만 입은 채 퇴각하게 된다.[2] 상대가 멀리서 건물을 공략한다 하더라도, 꽤 오랫동안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린커버끼고 있어도 적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진 못해도 어느정도 시간벌이는 해줄 수 있으며, 또 소총수가 적과 교전중일 때 슬그머니 옆에서 난입하여 적을 귀찮게 해줄 수 있다.
중반부터는 교전보다는 지뢰탐지와 바주카를 이용한 대전차 보조 역할을 하게된다. 후방부대는 지뢰탐지기를 들고도 바주카를 2정이나 들 수 있어서 바주카 사용에 최적화된 유닛이라고 보면 된다.
또한 10뮤니짜리 지뢰도 뮤니 여유가 된다면 적극적으로 깔아주자. 보잘것 없어 보이지만 상대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는건 덤이고, 중요한 순간에 터져서 게임을 뒤짚기도 한다.
이전에는 명중률은 낮지만 연사속도와 공격력이 뛰어나서 보병 상대로는 개차반인 반면, 쿠빌바겐을 상대로 강력한 모습을 보였으나 패치로 개런드와 데미지가 동급이 된 대신 명중률 등이 눈에 띄게 상승해서 전처럼 쿠빌바겐 잡는데에는 큰 쓸모가 없어졌으나 대보병전에는 어느정도 투입이 가능해졌다.
활용 방법 : 정찰 및 대전차
  • 지뢰탐지기
후방분대는 30탄약을 사용하여 지뢰탐지기를 장착할수 있다. 장착 시 수리속도가 30% 빨라지진다. 하지만 미국은 승무원 하차해서 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부대는 지뢰탐지 활동에 전념할 수 있다.
  • 전투진지 건설
후방분대는 125인력을 사용하여 전투진지를 건설할수 있다. 전투진지는 60탄약을 사용해 중기관총반을 배치할수 있으며, 한분대를 헤비커버 상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미군 특성상 독일의 벙커처럼 거점을 단단히 방어하는 것은 힘들지만. 가격이 싸고 빨리 건설할수 있어 적을 묶어두는데 사용하면 좋다. 후방분대가 전투진지안에 들어가면 총류탄을 발사할수 있는데. 사거리가 길고 곡사로 사격을 한다.(낮은 장애물 무시) 상대방이 들어가면 까다로운 위치에 있는 건물과 벽을 사이에 두고 후방분대가 들어간 전투진지를 배치하여 총류탄으로 그 건물을 견제하는 식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 철조망 건설
후방분대는 철조망을 설치 할 수 있다. 철조망은 보병이 지나갈수 없게 지역을 봉쇄하며, 상대가 사용할 수 있는 헤비커버나 건물의 입구를 막는식으로 사용가능 하다. 구조물 건설 중인 공병은 적에게 피격될 확률이 증가하니 주의할 것. 지뢰 탐지기를 장착한 공병에게 해체당할수 있고. 차량이나 전차가 지나가면 그대로 깔아 뭉개져 버린다.
  • 전차 장애물 설치
전차 장애물은 차량과 전차가 지나갈수 없도록 길을 막는 용도로 사용한다. 완성된 전차 장애물은 보병에게 헤비커버를 제공한다. 전투진지 앞에 깔면 일정 확률로 전투진지 대신 적의 포탄을 맞아준다.
  • 일제사격(볼리 파이어) - 20뮤니 소모
일정 시간동안 후방부대의 사격에 제압력을 부여한다 제압력을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하며 스킬 사용중인 후방부대는 회피율이 감소한다. 타겟팅 스킬이지만, 움직이지 않으면 우클릭으로 타겟을 바꿀 수 있다. 하지만 후방분대의 카빈 명중률이 매우 낮기때문에 적 비전투용 분대와 1대1상황에서나 이 스킬로 제압시켜 후퇴시키는 용도로 사용 가능할 뿐 다른 상황에선 사용하기 힘들다. 후방 분대가 라이플 분대와 섞여 이동하던 도중에 적과 조우했을 경우 라이플맨이 맞을 총알을 대신 맞아주면서 제압을 걸어줘서 라이플맨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M23 연막총류탄 - 15탄약 소모
0티어 병영에서 150인력,15기름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해금된다. 약간의 대기시간을 가진뒤 포물선으로 발사해서 궤적을 따라 연막이 생성된다. 이 궤적을 따라 돌격하면 적에게 공격받지 않고 접근할수 있음으로. 적의 방어선을 뚫는데 유용한 스킬. 후방분대의 전투력은 강한편이 아니므로 소총병 등 다른 보병과의 협동이 필수인 스킬이다.
  • M7 대차량 지뢰
차량과 전차에만 발동 되는 지뢰. 뮤니가 10정도 밖에 소모되어서 엄청 싸지만 다른 지뢰에 비해 데미지가 약하고 엔진 손상이 아닌 기동력 저하만 6초까지 일으킨다. M5 지뢰 설치가 가능한 지휘관으로 갈시 거의 쓰지 않는다.
  • M2 화염방사기
소총수 중대를 선택 시 60뮤니로 후방부대에 M2 화염방사기 1기를 지급한다. 타 진영에서 사용하는 화염방사기와 동일한 성능이지만, 후방부대 성능 상 큰 활약을 하긴 힘들다. 그래도 건물이나 참호를 청소하는데 이것만한게 없다.
  • 총류탄 업그레이드
도심강습 지휘관 트리를 탄 후 60뮤니를 소모해서 분대원중 1명이 총류탄을 사용한다. 전작의 영국군 업그레이드와 비슷하게 일정 시간마다 총류탄을 자동으로 발사하며 착탄시 약간의 시간 후 폭발한다. 사실상 미국 도심강습 지휘관 트리의 핵심으로 전투에 전혀 도움이 안돼서 애물단지 노릇이나 하던 후방분대를 구원해주는 업그레이드로 적 보병이 커버 뒤에서 농성할때 총탄이 닿지 않는 사거리 바깥에서 총류탄을 뿜뿜 쏴 날려주면 얼마 버티지 못하고 커버를 버리고 뛰쳐나오는 적들을 볼 수 있다.

1.1.2. 소총병 분대


인력 - 280/충원 28, 인구 7/5인분대
베테런시 1 - 대전차 총류탄 스킬 해금
베테런시 2 - 피격률 -23%, 쿨다운 -20%
베테런시 3 - 피격률 -15%, 명중률 +30%, 스킬재사용 -50%, 수류탄 투척거리 +25%
[image]
M1 개런드로 무장한 5인 분대로 0티어에서부터 280맨파에 생산이 가능한 미군의 기본 유닛.
이 소총수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초보와 고수가 갈릴 정도로 유닛 설명대로 미군의 중심.
타 진영의 기본 소총병들과는 달리 전원 연사력이 뛰어난 반자동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어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미칠듯한 속사 능력을 보여주며 이때문에 형벌부대와 비슷하게 중거리 이내의 교전에서 큰 힘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 다만 장거리 교전도 나름 나쁘지 않은 편이다.
초중반에는 화력을 앞세워 왠만한 상황에서는 척탄병이나 국민척탄병 정도는 근중거리 교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으며 서독의 돌격공병이나 동독의 강습척탄병 등의 초반 근접전 유닛들도 어정쩡하게 덤벼들면 역으로 두들겨패서 집에 보내줄 수 있으며 중반 이후로 베테런시를 달고 브라우닝 자동소총이나 M1919 경기관총 등의 고화력의 무기를 장비하면 적의 고급 유닛들과도 맞붙는 사실상 초중후반 모두를 아우르는 미국의 주력 보병 유닛이다.
문제는 초반엔 미묘하게 비싼 가격으로 국민척탄병보다 물량 모이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무엇보다도 함께 딜을 넣어주거나 보조해줄만한 유닛이 힘싸움에서 하등 쓸모가 없는 박격포반이나 이 게임 최악의 공병 취급을 받는 후방부대 정도밖에 없는지라 서독전에서 상대가 근접전이 강력한 돌격공병과 가성비가 좋은 국민척탄병을 앞세워 쪽수로 자원줄 찌르기를 시도하려 밀고 들어오면 맥없이 밀리는 타이밍이 존재한다. 국방군은 국방군대로 후방에 배치된 HMG가 소총수를 압박한다.
그리고 추축 유닛들 대부분이 평지에서 대놓고 덤벼줍쇼 하는 경우가 없이 커버를 낀 채로 대기를 타고 있는지라 필연적으로 소총수쪽에서 사상자가 많이 나는데 이런식으로 똑같이 소모전을 감행하다보면 점차 충원비에 말라죽는 꼴을 볼 수 있다.[3]
때문에 이 소총수를 어떻게 활용하냐가 바로 미군 실력의 척도이며 미군이 다른 진영보다 어렵고, 빠른 손 속도와 판단력을 요구하게끔 하는 원인이다. 초반에는 특유의 기동전 능력과 화력을 앞세워 국민척탄병과 척탄병을 쉴새 없이 몰아치면서도 근접전 화력이 좋은 피오나 돌격공병을 견제할 수 있는 어중간한 위치를 유지해주며 상대의 제압병기에 대항해 우회 및 산개하는 테크닉을 통해 화력상 우위를 최대한 오래 유지시키며 자원과 승리점수로 상대를 압박해, 상대가 강력해지는 후반까진 되도록이면 끌고가지 않고 중반쯔음에 승리점수가 부족한 상대가 조급하게 달려나오게끔 하는 플레이를 유도해야 하는것이 기본적인 활용법. 소총수의 응용법은 순간적인 상황판단력과 유동적인 지휘관, 테크선택에 따라 다르므로 한마디로 말하자면 경험이 답이라고 할 수 있다. 초보유저에게 미군을 추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가 이 때문이다.
또한 미국 진영의 특성상 개인 취향에 따라 0CP 콜인 유닛을 보조적으로 섞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IR 패스파인더와 강습 공병은 소총수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해주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전투를 할 수 있게 된다.
초창기에는 초반에 단독으로 강력하고 조합할 유닛이 없어 단독으로 쓰였던 걸 생각하면 그 위상이 완전히 뒤바뀐 유닛.
무기고에서의 추천 무장은 브라우닝 자동소총과 전술지원 중대 및 보병 중대에서 해금되는 M1919 경기관총.
BAR의 경우는 이리저리 뛰어다니면서 교전할 일이 많은 소총수에게 든든한 근중거리 화력 지원을 해주며 M1919의 경우에는 무기고 업그레이드가 따로 필요없는데다 1정만 들 수 있긴 해도 소총수에게 충분한 장거리 화력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
M1 바주카의 경우에는 애매한데 여럿이서 쪼아대면 어지간한 중형전차에게도 위협적이나 대보병 화력이 급감하는만큼 대보병을 할 일이 더 많은 소총수에게는 어지간히 급한 상황이 아니거나 M1919와 조합되는게 아니라면 별로 추천되지는 않는 편.

  • MK2 수류탄 - 30탄약 소모
0티어 병영에서 100인력,15기름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해금된다. 적당한 성능의 수류탄으로. 소총수를 이용해 상대방의 중화기를 우회하여 분대삭제를 노릴수 있다. 하지만 15기름과 회당 30탄약은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기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 스킬. 움직임이 굼뜬 중화기를 다수 운용하는 국방군이 상대가 아니라면 수류탄에 사용할 기름과 탄약을 아껴 추가 무장을 하는 쪽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많다.
  • 대전차 총류탄 - 25탄약 소모
소령 해금 조건[4]을 달성시 사용 가능한 스킬이다. 일단 한번 사거리안에 들어와 사용한경우에는 도중 벽등에 막히지 않는한 끝까지 추적해서 따라가며, 모든 차량과 경전차, 75% 이하의 체력을 가진 전차의 엔진을 손상시켜 이동속도를 느리게 만든다. 다른 보병들의 엔진파괴 스킬보다 사거리가 길지만, 발동이 느리고 1베테런시를 충족해야 사용가능 하기 때문에 극초반에 나와서 활개하는 퀴벨바겐에게는 휘말릴 수 있다는 것이 단점.
  • 소이수류탄 - 30뮤니 소모
도심강습 지휘관 트리를 탄 후 장교 생산시 사용 가능. 설명은 국민척탄병의 소이 수류탄이지만 실제로 운용해보면 징집병의 화염병과 비슷하다. 소이탄답게 착탄 지점에 지속 데미지를 입히며 한방딜은 일반 수류탄에 비해 밀리지만 특성상 적을 엄폐물 바깥으로 끌어낼때에는 이거만한게 없으며 피같은 기름과 맨파를 소모해가며 선행 업그레이드를 해줘야 하는 수류탄과는 달리 티어만 올려도 사용 가능하다는게 크나큰 장점이다.
  • 조명탄
소총병 중대 지휘관을 선택시 사용이 가능하며 35뮤니를 소모해서 해당 지점에 조명탄을 쏴서 시야를 밝힌다. 소련 저격수의 스킬과 동일하며 시야 싸움에 큰 도움이 되긴 하지만 뮤니소모가 크다는게 단점.
  • 전력질주
소총병 중대 지휘관 선택시 사용 가능. 15뮤니를 소모해서 이동중 사격을 못하는 대신에 이동속도가 크게 증가한다. 원래는 지속시간이 끝나고 이동속도가 줄어드는 탈진이라는 병맛스러운 페널티가 붙어있었으나 패치로 제거되고 그냥 소련의 우라처럼 활용하면 된다.

1.1.3. WC 54 3/4톤 야전 구급트럭


  • [image]WC 54 3/4톤 야전 구급트럭
인력 250 기름 10 인구2
무장 없음, 베테런시 스킬 없음
[image]
크라이슬러 산하의 트럭 브랜드로 유명한 '''닷지'''에서 제작한 WC 3/4톤 트럭 시리즈로, 실제로도 야전 구급차량으로 사용된 차량이다. 매우 느리고 허약한 경차량이지만 아군의 지역에서 아군을 충원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스킬을 통해 아무런 자원 소모 없이 오직 쿨다운만을 소모하여 주위 아군을 치유했으나 현재는 무료 토글형식으로 바뀌었다. 단체리트릿시 수많은 보병의 치료에 탁월하며 단체 리트릿이 아닌 1~2분대의 개별리트릿이라도 굳이 스킬을 사용할필요 없이 내려서 메딕으로 치료를 할수도있다.
소령의 리트릿 포인트 지정 스킬과 같이 사용해 이동식 충원기지 역할을 할수있다. 이는 소총수 기반의 매우빠른 회전력으로 각개전투에서 소총수의 파워를 극단적으로 끌어올리고 빠른 회전을통해 상대를 압박하는 효율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팀전에서는 상당히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 전진기지는 모든 전진기지들이 그렇듯 포격에 매우 취약하며 미군의경우는 특히 더 그렇다. 비단 팀전에서만 전략적 활용이 국한되지는 않는다, 1 on 1에서도 개인의 실력 수준 여하와 판단의 의해 각종 요충지 혹은 전진지역에 배치하여 회복과 동시에 충원, 초반에 효율적이지 못한 체력회복 수단만이 있는 추축군 진영에 맨파워 소모전을 강요해서 상대방에게 강력한 압박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소령과 엠뷸런스또한 포격에 매우 취약하며 건물형식이 아닌 소령에게 밀집되는 리트릿 포인트 특성상 단체리트릿후 워킹슈투카의 일격에 제데로 맞을경우 전 보병분대 몰살과 더불어 소령과 엠뷸런스까지 날아가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수도 있다.
또한 초반에 필수적으로 뽑아야 하는 유닛임에도 불구하고 250맨파워,10기름이라는 부담스러운 가격은 MG42중기관총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상대에게 있어서 수류탄 업그레이드를 먼저 고려하게 만드는 상황에서 머리를 아프게 한다. 적에게 노출되었을 경우 파괴가 확실하다고 봐도 좋을정도로 매우 느리고 저질스러운 방호력을 갖추고 있기때문에 엠뷸런스의 위치는 신중히 고려하는것이 좋다.

1.1.4. M1 81mm 박격포


[image]
  • M1 81mm 박격포
인력 230, 충원 20,인구 6, 4인분대, 분대원이 1명만 남을시 분대 해체
베테런시 1 - 연막탄 사격 재사용 -20%
베테런시 2 - 스킬 재사용 -40%
베테런시 3 - 포격 산탄도감소 -20%
기본 사거리 75,관통력 35,재장전 시간 4,산탄도 8.0, 사거리 25 이하의 거리는 사격 불가능. 연막포격 사거리 85.
2016년 6월 21일 패치로 드디어 미국에 박격포가 추가되었다. 소총병만을 이용해 적의 중화기를 비록한 방어선을 돌파해야 했던 미군들에게 적의 방어선을 효과적으로 견제할수 있는 유닛이 생긴셈. 등장 직후에는 말도안되는 괴물같은 능력치를 보유했으나. 버그로 판명되었고. 한차레 하향을 받아 동독의 박격포와 성능이 거의 비슷해졌다. 하지만 수세적으로 운용해야 하는 동독과 달리 공세적으로 운용해야 하고 중기관총이 비교적 늦게 등장하는 미군 특성상 동독과 달리 박격포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2017년 초 GSL패치 이후로 거치 및 해제속도가 빨라졌으나 연사가 느려지고 박격 사거리가 60으로 감소하였고 AOE 또한 감소하였다. 쉽게 말해 다른 박격에 비해 사거리도 짧아지고 쏘는것도 느리고 상대방 머리에 정확히 꽂아야 한방에 죽일 수 있게되었다. 사실상 관짝행이라고는 하지만 이거 안 쓰면 미국은 라인 뚫을 수단이 수류탄 업그레이드 말고는 없다. 빠른 빌드 업을 위해서는 박격포를 울며 겨자먹기로 사용해야한다. 단, 뱃업시 "연막"사거리만 80으로 증가한다. 그나마 후일 패치로 배라지 및 기본사격 사거리가 75까지로 증가했다.
  • 베러지 사격 - 무료
지정된 장소에 4발의 박격포 사격을 한다. 그라운드 어택 G키 를 이용한 목표 공격보다 연사력이 더 빨라 자리잡고 있는 중화기반이나 상대 박격포와 대치할때 사용하면 좋은스킬.
  • 연막탄 사격
지정된 장소에 3발의 연막탄을 사격한다. 공세적으로 운용하는 미군 특성상 연막탄을 이용해 적의 공격을 일시 차단하고 돌격하는 전술이 유용해 다른진영의 박격포 연막탄 스킬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베테런시 2업을 할경우 연막탄 사격의 쿨타임이 줄어들어 거점을 두고 대치하는 상황에서 연막탄이 사라지기 전에 다시 연막탄을 뿌리는 식으로 공격받지 않고 점령을 할수도 있다.

1.1.5. WC51 군용 트럭


[image]
넓은 시야(50) 넓은 은신감지 범위(25) 승하차 불가능
★ : ​'밟으라고!' 능력 해금, 사거리 +5
★★ : 최고속도 +20%, 선회속도 +20%, 가속도 +25%
★★★ : 무기 연사시간 +20%, 명중률 +30%
기계화 중대를 선택하면 본진에서 맨파 200에 생산이 가능한 차량.
흔히 닷지 트럭, 닷지카라고 불리며 기계화 중대를 선택하는 이유. 기본적으로 보병의 승하차가 가능하며 승차한 보병이 사격또한 가능하다. 업그레이드를 통해 추가 무장이 가능하다. M5 장갑차와는 다르게 탑승한 내부의 보병이 공격에 피해를 입지만 기름 소모없이 싼 인력으로 초반부터 뽑아 쓸 수 있는데다 빠른 기동력으로 적의 중화기를 우회하거나 근접전 화력이 강한 장교분대나 같은 지휘관에서 호출되는 기병 소총수 등을 태운 뒤 홀로 돌아다니는 보병분대나 중화기팀에게 달라붙어서 갈아버리거나 아니면 중기관총으로 장거리에서 쪼아대며 화력지원을 하는등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한 유닛.
또한 상대 서독이 퀴벨바겐을 가지고 무리한 강습을 할때 소총수를 태워 순식간에 퀴벨바겐을 잡아버리고 대전차 화기가 없는동안 계속해서 화력지원을 해주면 초반부터 압도적으로 승리를 가져갈수있는 유닛이기도 한데 상대가 무리하지 않는다면 이것 하나만으로 퀴벨바겐을 저격하기는 좀 무리인 감이 있고 초반 대차량 수단이 없는 미국의 유일한 퀴벨바겐 대응수단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 M2 중기관총 장착 : 45뮤니를 소모하여 차량에 M2 중기관총을 한정 올린다. 제압은 못하지만 특유의 똥파워와 사거리로 장거리에서 살살 쪼아대도 적에게 아픈 피해를 줄 수 있고 유닛을 태우고 질주할 때에도 쏠쏠한 보조 화력을 제공해준다.
  • 목표 표식 : 40뮤니를 소모해서 정찰기로 특정 차량에 표식을 표시해주는데 이때 적 차량의 피격율과 장갑을 일정 수치 낮춰준다. 특히나 장갑을 퍼센트로 깎아주기 때문에 정신나간 장갑을 가진 적 중전차에게 효율적으로 써먹을 수 있는 스킬. 정찰기가 깨알같이 시야도 밝혀준다는 것이 장점.
  • 155mm 곡사포 포격 : 대대지휘소를 지으면 해금되는 스킬로 180뮤니를 소모해서 특정 위치에 곡사포 12발을 때려박을 수 있다. I&R 패스파인더의 스킬과 동일. 스킬 시전 중 포격이 떨어지기도 전에 터지면 포격이 취소되면서 뮤니도 같이 날라가 버리니 주의 할 것. 참고로 소령을 태워서 소령과 함께 포격을 박아버리는 서독 트럭 테러가 있다. 하지만 눈치를 잘 봐야된다. 트럭이 한번에 안 부서질 수도 있으니 미리 체력을 깎아 놓자.

1.1.6. M3 반궤도 장갑차


[image]'''M3 반궤도 장갑차
★ : '밟으라고!' 능력 해금
★★ : 최고속도 +20% 선회 +20% 가속도 +20%, 충원반경 +20%
★★★ : ​​​쿨다운 -20%, 시야 +30%, 충원반경 +20%
기계화 중대 지휘관을 선택하고 중위와 대위를 모두 뽑거나, 소대지휘소 혹은 중대지휘소 기계화 지원을 해금해서 대대지휘소를 해금 조건을 갖추면[5] 200맨파와 30기름으로 병영에서 생산이 가능한 차량 유닛. 무장은 브라우닝 중기관총 한정으로 그럭저럭 보병을 쪼아주지만 문제는 맷집. 소련의 M5보다 훨씬 더 종이 장갑인지라 보병들 소총에도 구멍이 숭숭 나고 대전차 무기라도 한대 얻어맞으면 바로 반피가 훌러덩 넘게 날아간다.
기본적으로 엠뷸런스보다 맨파값이 싼 편이고 보병의 승하차가 가능한데다 충원 기능이 있고 의료 지원품이 있어서 야전 충원 기지로의 가치는 충분하지만 보병들의 체력 관리는 정말 탄약이 썩어나지 않는 이상 힘들 것이니 보통은 그냥 엠뷸런스를 찍고 가는편.
  • 밟으라고! :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스킬. 최대 속도와 가속도를 일시적으로 크게 향상시킨다. 쉽게 말해 부스터.
  • 의료물품 지원 : 45뮤니를 소모해서 의료 물품을 땅에 드랍한다. 총 3번까지 주워 쓸 수 있으며 탄약이 남아돈다면 이걸로 엠뷸런스를 대체하는 것 또한 가능.

1.2. 소대 지휘본부 (Platoon Command Post) (1티어)


중위 분대를 생산하면 중기관총이 해금되며 건물에서 추가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다목적 차량, 경전차 등을 생산할수 있다. 수류탄과 연막탄으로 무장한 중위와 적을 휘젓고 다니면서 딜을 쪼아대는 경차량 등 공세적으로 밀어붙여서 승기를 잡고 싶을때 가게되는 테크 트리. 기관총도 뽑을 수 있는만큼 적이 보병 스팸 위주의 전략을 한다면 가볼만하다.
단 대전차포가 나오지 않는데다 게임이 불리하게 흘러가서 적의 중형전차급 이상이 먼저 뜨면 딜이 시원찮은 바주카로 버틸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게임이 초반에 원활하게 풀리지 않았다거나 기름이 빨리 모이는 팀전같은 경우에는 보통 대위를 가는편.

1.2.1. 중위분대


250인력,35기름 (첫생산시) , 해체이후 다시 생산할경우 280인력, 인구 8(분대기본 인구 3 + 5인 분대)
[image]
★ : ​Combat experience increasing the unit's survivability
★★ : Combat expertise increases squad survivability and weapon control while under fire
★★★ : ​​​Extensive combat and fitness training
분대장인 중위는 톰슨 기관단총, 나머지 분대원들은 M1 개런드로 무장한 5인 장교 분대.
1티어 건물을 해금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생산해야 하는 유닛으로 다른 장교 분대와 달리 딱히 특별한 능력도 없고 스킬도 대전차 총류탄 없는 소총수 ver.2 수준이지만 장교가 들고 있는 톰슨의 성능이 상당히 좋다보니 근접전에서는 일반 소총수보다는 훨씬 우월하며 장교 분대이기에 주위 보병의 경험치를 같이 받아서 베테런시도 빠르게 올라간다.
특히나 베테런시 능력도 전투관련 보너스가 2벳만에 끝나서 소총수들보다 빠른 활약이 가능하고 3벳까지 찍으면 전력질주가 패시브로 추가되기 때문에 다른 병사들에게 모범을 보여서 기회되는 대로 적을 도륙해주자.
추가무장은 보통 소총수처럼 BAR나 M1919A6를 달아줘서 대보병을 전담할 수도 있고 적이 룩스나 장갑차 등을 운영할 기미가 보인다면 바주카를 들려줘서 연막탄으로 소총병을 지원하면서도 대전차병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 수류탄,연막총류탄 : 소총병의 그것과 같다. 때문에 중위를 선택하고 수류탄 업그레이드를 해금했다면. 소총병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공세를 취하는 형식으로 초반 보병전을 풀어 나갈수 있다. 하지만 소총병과 달리 대전차 총류탄은 없으니 주의.
  • 전력질주 (패시브) 3베테런시 필요 : 중위분대는 3베테런시에 달성한경우 비전투 상태일때 전력질주 상태로 뛰어다닌다. 중위분대 자체의 전투력이 기본 보병들 수준에서는 최강이기 때문에 중위분대가 3베테런시 업에 달성했다면 빠른 이동속도로 거점을 끊고 다니는 식으로 사용할수 있다.
  • M1 바주카 (50뮤니) : 원래는 BAR을 기본으로 들고 있었지만 리뉴얼로 대위에게서 바주카 업그레이드를 받아오고 호위병 전원이 개런드를 들도록 바뀌었다. 무기고를 해금하지 않아도 바로 달아줄 수 있기 때문에 상대가 경차량을 갈 기미가 보이면 주저없이 달아서 쫒아내주는 것이 좋다.

1.2.2. M20 다용도 차량


  • [image]M20 다용도 차량
인력 240 기름 20 인구4 체력 240 장갑 전/후 11.5/5.5 *넓은 시야(50) 넓은 은신감지 범위(25)
무기 - 50구경 중기관총
베테런시1 - 시야 +20%
베테런시2 - 최고속도 +20%, 선회속도 +20%, 가속도 +20%
베테런시3 - 관통 +50%, 사거리 +12.5%
[image]
50구경 중기관총으로 무장한 정찰용 경장갑차. 넓은 시야(50)를 가지고 있다. 중위테크의 특성이 초반 소총수와 중위분대의 강력한 화력을 앞세워 초반 우세를 가져가는 전술 이니 만큼. M20도 초반에 등장하여 적에게 쐐기를 박는 식으로 사용한다.
보통 빠른 기동력으로 보병들을 따라다니면서 화력지원을 해주거나 적의 후방에 배치된 중화기에 달려들어 갈아버리는 식의 운용을 하게 되며 적 입장에서는 안그래도 보병전에서 밀리는데 대차량 유닛까지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고수가 잡으면 상당히 성가신 유닛. 대신 무장이 중기관총 하나인지라 퀴벨바겐을 제외한다면 M20이 단독으로 이길수 있는 차량은 없다고 보는게 좋다. 패치 이전에는 승무원이 M1 바주카를 들고있어 여차하면 바로 하차해서 경차량을 쫒아보낼 수도 있었지만 패치로 제거되었기 때문에 미군이 초반 우세를 점하지 못해 상대방의 차량이나 경전차가 먼저 전장에 등장한 이후에는 뽑지 않는것이 좋다.
  • 연막탄 : 30탄약을 소모. 연막탄을 발사해 차체를 가릴수 있다. 연막 안에서는 사격이 불가능하고, 판저파우스트 같은 스킬로 부터도 당분간 목표가 되지 않으나 이미 발사된 공격은 그 이후 연막탄을 쳐도 무용지물 이다. M20의 생존성에 크게 기여하는 스킬로. 상대방은 이 스킬 때문에 M20을 대전차포 만으로는 파괴하기 어렵다.
  • 측면 장갑 : M20은 70탄약을 사용해 측면장갑을 업그레이드 할수있는데. 업그레이드를 할경우 체력이 80,아머가 50% 증가하여 소총탄에 어느정도 방어력을 가질수 있게되고, 데미지가 100인 판저파우스트로 부터 1방을 더맞아야 죽는다. M20을 본격적으로 사용할것 이라면 반드시 업그레이드 해줘야 하는 스킬. 업그레이드를 하면 따로 아이콘에 표시되진 않지만 바퀴가 측면장갑에 가려지게 되어 판별할수 있다.
  • M6 대전차 지뢰 : M20은 60탄약을 사용해 대전차 지뢰를 매설할수 있는데. 보병에게 반응하지 않으며,차량,전차 에게만 반응한다. 400의 데미지를 입혀 모든 차량은 한방에 보내버리고, 전차또한 엔진이 완전파괴 + 궤도 파괴 이상을 일으켜 이동불가 상태가 된다. M20은 무장이 기관총 밖에 없어 중반이 지난다면 단독으로 전투를 수행하긴 힘들지만, 후반까지도 M20이 죽지않고 살아 있다면 상대방 전차가 올만한 길에 지뢰를 매설 하는 식으로 운용한다.엔진 완전 파괴상태를 만들기 때문에 M20의 대전차 지뢰를 밟은 전차는 거의 살아가기 힘들어 만약 적의 중전차가 밟는다면 일발 역전을 노려볼수도 있는 높은 잠재력을 가진 스킬.

1.2.3. M2 브라우닝 기관총 운용반



인력 280 , 인구 7(기관총 3 + 4인 분대)
베테런시1 - 전력질주 가능
베테런시2 - 데미지 +25%[6]관통 +0.5, 거치시간 0.75, 선회속도 +40%
베테런시3 - 명중률 +20%, 연사시간 +20%, 재장전 -40%
[image]
중위 테크에서 280맨파로 생산이 가능한 미국의 50구경 기관총반. M2 중기관총 사수 한명과 M1개런드로 무장한 부사수들까지 합쳐 총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수부대 지휘관의 경우 중위테크를 타지 않더라도, 공중에서 강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빠른 기동력으로 뿔뿔뿔 돌아다니며 화력지원을 해주는 M20와는 달리 이쪽은 상대의 보병 스팸에 대응할때에 있어서 강력하다.
사격각도 그렇게 넓지 않은 편이고 제압력도 맥심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지만 빠른 거치 해체시간과 50구경 특유의 막강한 똥파워 데미지와 화력을 앞세워서 적을 엎드리게 해서 제압시키는 것보다는 적을 말 그대로 고기반죽으로 만들어서 죽인다는 느낌이 강하고 관통력이 높아서 경차량도 잘 때려부순다. 거리가 멀수록 연사력이 떨어지고 중위테크를 올려야 생산할수 있기에 등장 타이밍이 꽤 늦는편이란게 흠.
게임이 유리하게 흘러가는게 아닌 이상 보통 한 분대 이상은 뽑아서 운용하게 되는데 동독은 그나마 낫지만 초반부 전략이 대부분 보병분대를 바글바글 모아서 힘싸움을 하려는 경향이 있는 서독을 상대로는 미국 보병진이 가성비나 쪽수면에서 밀리기 때문에 빠른 거치 스피드로 보병들을 따라다니면서 화력 지원을 해주면 땡라이플맨보다는 훨씬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물론 돌파 능력이 취약한 국방군 입장에서도 튀어나오면 상당히 성가신 유닛.
  • 장갑관통탄 사격 : 15뮤니를 소모해서 30초동안 아이콘이 뜨면서 철갑탄을 사격한다. 데미지가 25% 상승(0~1베테런시 16->20. 2~3베테런시 20->25)하고 관통력 또한 상승해서 안그래도 50구경이라는 똥파워로 적 차량에 위협적인데 철갑탄까지 갈아끼우면서 왠만한 장갑차량은 순식간에 걸레짝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다른 진영 기관총 팀의 스킬에 비해 탄을 갈아끼우는 속도가 빨라서 딜레이가 적어서 라이플맨의 대전차 총류탄과의 조합으로 생각없이 들어온 장갑차량을 순식간에 난타하여 박살내버릴 수 있다.

1.2.4. M5A1 스튜어트 경전차


[image]
★ : ​시야+10
★★ : 재장전 -20%, 명중률 +20%
★★★ : ​​​최고속도 +20%, 선회 +20%, 가속도 +20%, 시야 +30%
Light Tank M5A1. 전작에서 영연방군의 보병 학살로 악명높았던 그 차량.
전작의 M8 그레이하운드의 포지션을 갖고있다. 전작과는 다르게 산탄사격도 없어지고 주포의 폭발범위가 대폭 줄어서 보병 잡는 능력은 약간 떨어졌지만 그래도 동축 기관총과 주포의 화력이 나쁘지않아 어느정도는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일반적인 경전차보다 조금 단단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장점.
국방군의 222 장갑차나 서부전선군의 룩스나 대공 하프트랙같은 경차량 상대로는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스킬을 잘 활용하면 혼자 다니는 중형 전차까지도 괴롭혀 줄 수 있다. 단 스튜어트 자체의 맷집이 약하고 등장하는 타이밍이 살짝 느린 편이라 T-70과 비슷하게 활약할 타이밍을 칼같이 지키는게 중요한 유닛.
선 중위 테크를 타고 초반 땅투기를 그럭저럭 유리하게 한 경우 초반에서 중반 넘어가는 타이밍에 등장하기 때문에 상대방을 흔들기 좋고 상대 보병의 휴대용 대전차 화기는 그럭저럭 버티지만, 대전차포나 전차에 극도로 취약하다. 또한 영거리 사격 스킬은 말 그대로 스튜어트가 상대 기갑을 향해 코앞까지 돌진하여 사격을 가하는 것인데, 아무리 경전차 치고 단단한 몸을 가졌다고 해도 체급의 한계는 여전하거니와, 일반적인 경우에 스튜어트가 쉽게 요리할 수 있는 상대에겐 승무원 기절 스킬 정도는 쓰일지 모르더라도, 파괴를 감수하고 돌진해야 하는 영거리 사격 스킬의 효용성은 찾기 힘들다.
또한 중위 테크의 기본적인 딜레마이긴 하지만 스튜어트까지 생산했는데 별 이득을 못보거나 허무하게 터지는 등 기름을 낭비했다는건 중형 전차가 상당히 늦어진다는 이야기이므로 한번 뽑았을때 최대한 오래 살려가며 뽕을 제대로 뽑는게 좋다.
일단 대보병도 경차량 상대도 무난해서 생산하면 밥값은 어느정도 하지만 서독의 룩스처럼 보병 살상에 특화된 미친 대보병 능력을 보여주는 것도, 푸마처럼 중형 전차 상대로도 위협적인 티어 대비 강력한 대차량 능력을 보여주는 것도, T-70처럼 주포의 사속을 바탕으로 대보병 대차량 다 잘하는 다재다능함을 갖춘 것도 아닌 애매한 능력이라(즉, 보병에게 압박도 주면서 룩스 같은 것도 카운터 치고 스킬로 적 전차도 견제하는 용도. 이론상으론 다 할 수 있지만 막상 뭔가 제대로 하는 건 아무것도 없다.) 기름 견제의 상황에 따라 복수의 스튜어트를 뽑아 중반에서 게임을 터트려 버리는 등, 70이라는 기름을 투자할 만큼의 가치가 있을지는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이래저래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T-70과의 성능 차이에 좌절하겠지만 추축국의 보병진이 쌔지는 타이밍에는 보병만으로는 손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름이 빨리 모이는 3:3 이상급 게임이 아니라면 중위 테크를 탔을때 1대쯤 뽑아서 적의 MG나 룩스 등을 견제하는 편.
이후 중위 테크로 변경되면서 현재 미국 테크는 1대1은 거의 중위로 고정시켰다. 기존 중위 테크를 타면 딸려오는 차량에 대한 취약점이 중위에게 옮겨온 바주카 업그레이드와 스튜가 있음으로 상당히 보완되었고, 반대로 스튜어트의 약점인 보병전도, 유틸카+기관총으로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 다만 공수중대 지휘관을 타거나 보병 숫자가 많아질 부담을 감안하고 대위 테크까지 올리지 않는 이상은 대전차포가 없고, 스튜까지 갈 경우 필연적으로 전차 타이밍은 더 늦기 때문에 게임이 잘 풀리지않아 적 중형전차가 먼저 튀어나왔을때의 대처법은 마련해놔야 한다.
  • 쉘 쇼크(45뮤니) : 6초 동안 데미지가 절반 가량으로 줄어드는 대신에 주포의 연사속도가 빨라지며 피격당한 적 전차의 시야를 차단하고 주포를 사용못하게 만들어버린다. 한때는 이동속도를 굼뱅이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효과도 달려있어 혼자 다니거나 생각없이 달려드는 적 전차를 순식간에 무력화시켜 샌드백으로 만들어버렸지만 너프로 삭제되어 가성비면에서 영 아쉬운 스킬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적 전차에게 쫒기는 상황이나 아군 전차들끼리 싸울때 이걸로 농락이 가능한지라 써먹을 구석은 있는 스킬.
  • 엔진 파괴 (45뮤니) : 사거리 15이내에 들어온 적 차량에게 사용이 가능하며 타격시 적 차량의 엔진을 고장낸다. 조건도 좀 위험하고 뮤니 소모도 제법 되지만 적의 중전차의 엔진을 체력 관계없이 한방에 박살낼 수 있다는 점은 메리트.

1.3. 중대 지휘본부(Company Command Post) (2티어)


대위 분대를 생산 할 경우 대전차포가 해금되며 이후 건물에서 업그레이드를 해 대공 트럭과 경야포 생산이 가능하다.

1.3.1. 대위분대


최초 생산 비용 인력 250 기름 35 인구 8
재생산 비용 인력 280 인구 8
[image]
★ : ​"나를 따르라!" 스킬 해금
★★ : 피격률 -29% , 명중률 +30%
★★★ : ​​​전력질주 사용 가능
중위와 동일하게 톰슨으로 무장한 대위 한명과 M1개런드로 무장한 호위병들로 이루어진 엘리트 5인 분대.
기본적으로 대위 분대도 전투원으로 이용되나 소총병 ver.2 수준인 중위와는 달리 대위 분대는 생산 속도에 관여하거나 아군 보병들을 서포팅하는 등 여러 독특한 스킬들을 보유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특정 건물의 생산속도를 증가시키는 '''감독'''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베테런시 스킬로 주위의 아군을 불러모은 뒤 명중/연사속도 증가와 제압면역을 부여하는 '''나를 따르라!''' 능력이 있다.
대위 분대 역시 주위 아군의 경험치를 같이 받기 때문에 베터런시가 쌓이는 속도가 빠른편. 대위 역시 3벳을 달면 분대 전원이 뛰어다닌다.
기본적으로 60뮤니를 들여 무기고를 해금하지 않고도 브라우닝 자동소총 1정을 추가적으로 무장할 수 있으며 중위와는 다르게 수류탄을 쓸 수는 없지만 연막은 펼칠 수 있어서 적이 기관총을 운용할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데다 나를 따르라 스킬로 보병의 기동력을 올려줄 수도 있어서 일장일단이 있는 셈.
  • 브라우닝 자동소총 업그레이드 : 이쪽은 중위와는 반대로 BAR을 들려줄 수 있다. 소총수가 사용하는 것과 성능은 같으며 본진으로 일일이 가지 않아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단 것이 장점.
  • 연막총류탄 : 중위에게도 있는 스킬.
  • 관리감독 : 전작에선 국방군의 장교에게 달려있던 스킬로 특정건물에 사용하면 생산시간이 4배가량 빨라진다. 단 최전방에서 전투를 해야 할 대위가 이 스킬만을 위해 본진에 박혀있는건 상당한 손실이므로 대위가 본진으로 후퇴했을때나 쌍장교 빌드를 탈때 대위를 먼저 뽑고 중위의 생산 속도를 늘리려는 용도가 아니라면 거의 사용할 일을 보기 힘든 스킬.
  • 나를 따르라! : 베테런시 스킬로 특정 보병을 찍으면 그 보병이 대위에게 빠른 속도로 따라붙고 8초간 제압면역 보너스가 달린다.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스킬.

1.3.2. M1 57mm 대전차포


[image]
★ : ​'정조준!' 스킬 해금
★★ : 명중률 +20%, 선회속도 +20%, 재장전시간 -15%
★★★ : ​​​관통력 +30%, 재장전시간 -10%
270맨파라는 다른 진영의 대전차 포에 비해 싼 가격과 빠른 연사속도[7]를 자랑하지만 구경이 57mm라서 관통성능이 타 국가의 75mm 급 대전차포에 비하면 조금 떨어진다. 경차량 잡을때에는 크게 상관없으나 4호전차 이상부터는 도탄이 팅팅 나는 꼴을 보면 한숨이 나올 정도. 그래도 가격이 싼데다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텅스텐 탄심 철갑탄[8]을 통해 막강한 관통력을 가지게 되어 단점을 상쇄할 수 있다.[9] 즉 뮤니를 많이 쌓아놓으면 쌓아놓을수록 그 효율이 극대화된다.
숙련도 1업시 '''조준!(Take aim!)'''이라는 스킬을 통해 시야를 자신의 사거리 만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처럼 기본 성능은 조금 처지지만 다양한 스킬로 메꾸는 유닛이며, 역으로 말하면 마이크로 컨트롤이 필요하며 스킬이 쿨다운일 때는 쉽게 무력화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중위-소령 테크를 탈 경우 중반에 대전차 수단이 굉장히 약해져 그 타이밍에 무너져내려 망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 대전차포 하나만 보고 울며겨자 먹기로 대위 테크를 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패치이후로 빠른 타이밍에 대전차포 준비가 가능하고 대위 테크도 할만해졌기에 패치 전보다는 나아진 상황.
여담으로 전차를 공격하는데 있어서는 애매한 관통력 때문에 조금 아쉽지만, 방어건물을 부수는데 있어선 최고의 대전차포 이다. 방어건물들의 아머는 약간의 관통력만 보유해도 무조건 뚫리기 때문에 관통력의 의미가 그다지 크지않고, 다른 대전차포들은 아군이 시야를 확보해줘야 방어건물을 부수기 수월한데, 미군의 대전차포는 1벳업시 자체 시야에 일반 대전차포들보다 사거리가 더 길어서 안정적으로 부술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건 모든 견인 대전차포는 데미지가 160 이지만, 미군의 대전차포가 발사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매우 손쉽게 철거가 가능하다! 2016년 6월 21일 패치로 관통력과 명중률이 버프가 되었다. 그래도 타 대전차포 관통력 보다 딸린다... 조준! 스킬이 토글에서 시간제로 변경됐다. 스킬의 성능 자체도 너프먹고 심지어 뮤니션까지 왕창 처먹는다. 제작사의 변치않는 미까 인증
  • 텅스텐 철갑탄(30뮤니) : 30초 동안 철갑탄으로 갈아끼운다. 사실상 중형전차급 이상이 떴다하면 바로 주저없이 눌러줘야 할 스킬로 사용시 관통력이 팍 수준까지 훌쩍 올라가는데다 빠른 연사력까지 겹쳐져서 굉장한 위력을 자랑한다.
  • 조준! (30뮤니) : 1베테런시를 달성하면 사용 가능하며 20초 동안 사거리와 시야가 증가한다.

1.3.3. pack howitzer M1 75mm 견인포 분대


[image]
★ : ​백린탄 포격 가능
★★ : 성형작약탄 포격 가능
★★★ : 포격 산탄도 -20%, 스킬 재사용시간 -30%
일반사격 사거리 최소 40~ 최대80. 스킬 포격 사거리 최대 120
340인력 8인구수 5인 분대(경야포 2+운용병 6인)
독일 서부군의 7,5cm le.IG 18과 같은 보병포 계열의 곡사화기. 기본 포격 사거리가 미묘하게 짧고 퇴각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스킬 포격 사거리가 길고 강력한 화력을 가졌으며 적을 제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명이 달라붙어 쉽게 분삭이 일어나지 않으며 포를 배치하거나 철수하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포각을 조정하거나 자리를 재조정하는 등에 시간도 별로 많이 걸리지 않는다. 베터런시가 쌓이면 포가 성형작약탄(2벳)으로 바뀌며 데미지와 장갑관통력이 대폭 오르며[10] 보병에게 치명적인 백린탄(1벳)도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중대 본부 트리의 대대적인 강화 이전에는 정말 계륵같은 유닛이었는데, 맨파워가 후달리는 미국 입장에서는 480이란 맨파워는 너무나 비싼 가격이었고, 같은 트리에 제압 유닛이 나오지 않아 전선을 유지하기 힘든 상황에서 포격 유닛을 굴린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비효율적이었던지라 상대가 대놓고 진지를 구축하면서 포격전 양상으로 갈 때나 보이던 유닛이었다.
그러나 패치로 가격이 떨어지면서 가격도 120미리 수준으로 크게 비싸지 않고, 기본 사거리는 박격포보다 길어서 같은 보병포가 아니면 역포격 당하기도 쉽지 않으면서 강력한 화력과 뛰어난 명중률과 제압 능력, 그리고 좋은 반응 속도를 보여 다른 의미로 손쉽게 전선을 유지하게 해주는 유닛으로 변모하였다. 동독의 기본 보병 전략이 MG42 사거리 내에서 보병 교전을 유도하는 것이었다면 미군은 라이플맨이 견인포 사거리 내에서 보병 교전을 걸면 된다. 보병과 대치하게 되면 견인포가 상대 보병을 제압 걸어주기 때문에 불리하며, 과감하게 돌파하려는 적은 라이플맨의 화망에 갈려나가게 된다. 그리고 같은 티어에서 대전차포가 싼 가격에 나오므로 적의 중형 전차까지 또한 견제가 가능하다.

결국 원거리에서 손쉽게 적을 제압해버리던 사기성덕에 12월패치에선 서독의 보병포와 나란히 제압효과를 삭제당한 대신 자동 조준 기능이 돌아오고 (사거리 내라면 자동으로 포를 돌린다) 건물 내 주둔중인 적에대한 명중률이 소폭 상승했다.아쉽기는 하나 워낙 경야포와 보병포의 대보병 능력이 흉악했고, 너프당했지만 원래 경야포의 화력은 괜찮은 편이기에 그럭저럭 나쁘지 않게 굴릴수 있다.
2016년 6월 21일 패치로 미묘해진 유닛으로 바뀌었는데 미국에 박격포가 추가 되었기 때문. 극초반부터 박격포 생산이 가능해져서 중후반때에 경야포를 뽑는일이 상당히 적어졌다. 사거리는 박격포보다 길지만 2벳 달성하기전까진 데미지는 같고 연사력이 박격포가 좋아서 박격포를 선호하는 유저가 많은편.
확실히 좋은 유닛이긴 하다. 거리조절만 잘하면 명중률도 괜찮고, 보병들 1~2마리 씩 톡톡 잘 잡는다. 문제는 맨파워가 만만치 않은데, 미군은 테크 상 경야포를 타버리면 다른 진영과는 달리 전선 유지할 기관총을 뽑는 것이 매우 제한된다는 점이다. 하필 대위 테크 자체가 보병전에 힘줄만한 유닛은 대공 트럭 뿐인데, 이 대공 트럭도 가격이 만만치 않은 편이고, 맷집이 더럽게 약한 것도 흠,
  • 고폭탄 포격 : 그냥 놔두면 적이 보일때마다 알아서 자동적으로 사격을 하긴 하지만 박격포병들처럼 지정한 위치에 포탄을 쏠 수 있으므로 위협이 될만한 적이나 최우선적인 목표를 타격할때는 필수나 다름없는 기능. 단 박격포와는 다르게 재사용 대기시간이 길다는게 흠.
  • 백린탄 포격(25뮤니) : 1베테런시 달성시 사용이 가능하며 목표지점에 백린탄 4발을 발사한다. 착탄시 데미지를 주는 폭발이 일어난 뒤 화염을 동반한 연막을 일으키며 상대의 시야를 가림과 동시에 도트 데미지를 준다. 적의 중화기가 밀집되어 있거나 엄폐물 뒤에 숨어있는 적을 걷어내기에 좋지만 연막의 데미지만으로는 적을 죽일 수 없고 동맹 유닛 또한 백린연막에 피해를 입는다.
  • 대전차 고폭탄 : 2베테런시 달성시 사용이 가능하며 대전차라고 쓰여있어 대보병 능력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고 낚이기 쉽지만 폭발 범위는 그대로에 데미지(80->160)와 관통력(85->300)만 크게 상승해서 오히려 이전보다 보병을 효율적으로 박살내고 관통력과 데미지가 오른 만큼 경차량이나 전차에게도 직격시 꽤 아픈 데미지를 우겨넣을 수 있다. 게다가 건물에는 데미지가 추가적으로 들어가므로 건물 철거시에도 효율이 좋은 편.

1.3.4. M15A1 대공차량


  • [image]M15A1 대공차량
[image]
긴 사거리(기관포 40, 공축기총 45)
★ : ​가속도 +15%. 기관총 명중률 +10%
★★ : 최고속도 +20%. 선회속도 +20%. 가감속도 +30%. 기관총 명중률 +15%
★★★ : ​​​관통력 +30%. 전 무기 명중률 +30%. 체력+40(320->360). 명중률 +15%.
Combination Gun Motor Carriage M15A1. 전작의 M3 반궤도 장갑차의 수송칸에 37mm 기관포 1정과 50구경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을 장착한 대공차량. 전작과 본작에 모두 등장하는 '미트쵸퍼'와 같은 포지션의 차량이나, 37mm 기관포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화력은 더욱 더 강력하다. 다만 원래는 수송 유닛이었던 전작의 M3나 본작 소련군의 M5와는 달리, 애초부터 화력지원용 차량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보병 수송은 물론, 보병 충원도 불가능하다. 또한 360도 전방위 사격이 가능한 M3나 M5와는 달리, 후방으로 약 300도 정도의 사격 각도 제한이 있어서 항상 측후면을 적에게 노출시켜야하는 위험부담이 따른다.(위험부담이 아니다. 이 차량 후면 장갑이나 정면 장갑이나 큰 차이가 없다.) 대신에 별도의 자원 소모나 업그레이드 시간을 기다릴 것 없이 바로 전투에 투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37mm 기관포 덕에 장갑차 정도는 쉽게 상대하면서 '''보병은 그냥 갈아버리는''' 절륜한 화력을 갖추고 있다.
베터런시 스킬로 방공 모드로 변경하여 적의 항공기를 격추할 수 있다. 후면으로 싸우는 차량이라서 다른 차량과 달리 후방장갑이 두꺼운 편이지만 전면장갑보다 얇다는 사실은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무작정 들이대면서 싸우다가는 순식간에 대전차화력에 얻어맞아 터져버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어차피 주 화력인 37mm 기관포는 차량이 정지해야만 발사하므로 바퀴달린 기관포라는 생각으로 아군이 교전할 때 슬그머니 후방에서 나타나 화력지원해주는 용도로 사용하고, 견재와 추적에는 유틸카를 사용하는 편이 좋다. 그리고 운용시 항상 전선에 후면이 바라보도록 하여 위기상황에서 바로 도망갈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좋다.
다른 것은 둘째 치고 체력이 빈약한데, 그만큼 화력이 보장된 유닛도 아니고, 기름은 50이나 먹는다.. 총은 엉덩이로만 쏴대서 컨트롤이 어려운 점은 덤. 동독의 경우는 222 두대만 있어도 어렵지 않게 잡고, 서독의 경우는 라케텐 암살에 쉽게 죽는다. 서독의 비슷한 위치에 있는 대공차량과 비교하자면, 서독 대공차량은 2초 거치시간이 있지만 연막이 있어서 생존이 상당히 좋다. 반면 미국 대공차량은 관통력이 아주 조금 높고, 이동사격이 가능한 점인데,, 관통력은 어쩌피 의미가 없다. 두 대공차량 모두 경전차까지는 관통이 가능하기 때문, 이동 사격도 연막에 비하면 메리트가 좀 떨어진다. 말했다 싶히 엉덩이로 사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숙련되지 않으면 이동도 상당히 꼬이는 경우가 많다.
3베테런시까지 명중률 보너스를 미친 듯이 받는 것은 숨겨진 장점이다.

1.4. 대대 지휘본부(Battlion Command Post) (3티어)


전작의 '전차공장'에 해당하는 기지로, 지휘관 호출 유닛을 제외한 미군의 모든 최종 기갑 유닛이 여기서 제작된다. 해금하기 위해서는 1티어나 2티어, 둘 중 하나를 먼저 해금한 상태여야하며, 다른 티어 건물과 마찬가지로 해금시 소령 분대가 등장한다.

1.4.1. 소령분대


최초 생산 비용 인력 190 기름 120 인구 3
재생산 비용 인력 150 인구 3
생산 조건 : 중위와 대위를 모두 전장에 배치, 소대 본부 기계화 지원 업그레이드, 중대 본부 기계화 지원 업그레이드의 3가지 중 1가지를 달성하면 생산 가능해진다.
[image]
★ : ​Increases weapon accuracy, and increase duration of the Recon Flight
★★ : Increases survivability of the squad, and increases number of shells dropped during Rapid Barrage and adds a Fake Barrage ability
★★★ : Increases movement speed of the squad, and Establish Retreat Point will lock down frendly
전투병으로 써먹는 중위나 대위분대와 달리 이쪽은 비전투 서포트 분대로 콜트 M1911 권총을 들고 있는 소령 본인과 M1 카빈으로 무장한 후방부대 호위병 둘이 끝이다. 당연하지만 주위 아군의 경험치를 같이 받으며 다른 유닛들과 마찬가지로 무기고에서 추가적인 무장을 장비시켜줄 수... 있지만 일단 우선순위에서 한참 밀리는지라 뮤니가 썩어돌때 바주카를 쥐어줘서 제한적인 대전차병으로 운용하지 않는 이상은 굳이 무기를 쥐어줄 필요는 없다.
기본적으로 자신의 지점을 퇴각지점으로 지정하는 능력과 외부 맵 포격, 정찰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베터런시 스킬로 페이크 포격 연막을 던질 수 있다. 외부 포격은 처음에는 6발의 포격이 떨어지고 2벳을 달성하면 9발이 떨어진다. 정확도가 높아서 고정타켓이나 속도가 느린 유닛을 처리할때는 나름 유용하다. 스킬 시전후 첫 포격이 떨어지는 시간이 좀 걸리며 탄 간격도 2초정도로 띄엄 띄엄 떨어진다. 정찰스킬은 1벳을 달성하기 전까진 달랑 한대만 좁은 시야로 금방지나가서 효율이 떨어지지만 1벳달성후 2대가 정찰을 하므로 상당히 쓸만해진다, 페이크 포격은 2벳 달성시 스킬이 언락되는데 포격스킬이 있는 중대라면 낚시가 어느정도는 먹히니 적절하게 쓰자. 3벳 달성시 전력질주가 가능하다. 최전선에 가장먼저 도착해서 상대방에게 좋은 경험치 공급원으로 바뀔수가 있으니 조심하자.점령시에는 누구보다고 빠르게 달려가서 먼저 점령하니 후방에서 무력화된 점령지를 점령할때 나름 요긴하다.
퇴각지점 능력이 쓸만한데, 최전선에 구급차랑 같이 간이 본진을 설정하면 마음 편하게 리트릿 후 충원하고 치료하고 신속하게 전선 복귀가 가능하며, 설치한채로 정찰기를 호출하면 2대의 정찰기가 교차 정찰을 하므로 더욱 더 넓은 정찰 시야를 확보 할수가 있다, 3벳 달성시 퇴각지점 지역에 있는 자원을 적들이 점령이 불가능해진다. 주의할점은 3벳 달성후 자원 언락된 지역을 상대방도 점령하다보면 알수가 있으며(대신에 자원 점령 견제가 확실히 되고 특히 대형 자원 지역에 배치해서 지역잠금 시키면 상대방 유저가 점령을 하지못해서 성질이 뻗치는 장면을 볼수가 있다.)퇴각지점이 어디에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아버리니 (하지만 찾는게 더힘들다.) 자주 옮겨 다니자. 그리고 본진이 퇴각 지점이 아니게 되면 엄한 루트로 뛰어서 퇴각하는 경우가 있기에 이럴땐 다시 설정할 것. 소령은 노벳일시 잉여유닛처럼 보일수 있지만 벳을 쌓이면 쌓일수록 서포트 활용에 효율이 증가한다.
2벳만 달성하더라도 소령을 공격적으로 쓰는 유저에겐 스킬이 2개나 추가적으로 획득하거나 다름이 없어서 중후반전에선 도움이된다. 방어적으로 쓰는 유저라면 3벳 달성 이후 자원 거점 방어가 되면서 동시에 향샹된 정찰스킬 능력 이용한 외부폭격스킬, 거점방어에 주력 할 수 있으니 방어선을 굳힐때 중요한 유닛으로 바뀐다.즉 처음에 나올시에는 잉여처럼 보이지만 공격적으로 쓰거나 방어적으로 사용해도 벳을 달성하면 할수록 그진가가 발휘되는 유닛이니 잘활용하자.
  • 포격 요청(60뮤니) : 붉은 연막탄이 지정된 위치에 떨어지고 105mm 곡사포 6발 가량이 떨어진다. 2벳 달성시 9발로 변경된다. 위력 하나는 60뮤니라는 싼 가격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강력하지만 스킬 발동 이후 포격시까지의 텀이 너무 긴데다가 포탄 자체도 띄엄띄엄 떨어져서 움직이는 표적을 상대로는 맞추는게 거의 불가능하지만 벙커나 진지,포대, 건물 등의 고정 표적을 박살내는데 있어서는 상당히 특효약인 스킬.
  • M23 연막총류탄 :중위나 대위에게도 있는 그 스킬. 나름 급할때 효용성이 좋다.
  • 퇴각지점 설정 : 소령이 움직일 수 없는 대신에 소령이 서 있는 지점 주변이 퇴각 포인트로 설정된다. 엠뷸런스와 조합되면 정신나간 복귀 능력을 보여줄 수 있으며 맵이 크면 클수록 그 효율이 올라가지만 엠뷸런스나 소령이나 둘다 물몸인 탓에 퇴각포인트가 적에게 발각돼서 포격이라도 날아오면 단체로 떼몰살당하는 대참사가 벌어질 위험이 있고 그런게 아니더라도 한번 해제하면 쿨타임이 상당히 긴 탓에 위치선정은 신중하게 하는 것이 좋다.
  • 가짜 포격 (20뮤니) : 전작에서도 나왔던 페이크성 기술. 붉은 연막이 떨어지지만 포격이 떨어지지 않는 낚시포격으로 적과의 심리전 등으로 낚을때 사용한다.
  • 정찰기 호출 (50뮤니): 정찰기가 일렬로 훅 지나가면서 시야를 밝혀주고 간다.

1.4.2. 셔먼 중형전차


[image]
★ : 패시브 스킬 [무전 통신] 해금
★★ : 최고속도 +20%, 선회속도 +20%, 명중률 +30%, 가감속도 +20%
★★★ : ​​​포탑 선회속도 +30%, 재장전시간 -20%
340맨파워 110연료 인구 12
Medium Tank M4A3(75). 대전 당시 서유럽 전선에 배치된 미 육군 기갑 전력의 중심축.[11] 전작에 등장했던 그 중(中)전차 셔먼이다. 76mm M1 전차포 연구가 사라져서 4호 전차를 상대로도 버거운지라 기갑전에서 활약을 펼치기 어렵지만, 포탄을 고폭탄/철갑탄으로 갈아낄 수 있다는 것 하나로 재발견된 차량. '''셔먼은 대전차가 아니라 보병과 진지에만 올인하면''' 된다. 보병을 갈아버리는 화력 하나는 무지막지한데다가 다른 대보병 전차와 달리 셔먼은 철갑탄으로 교체할 경우 대보병 전차와 퓨마 정도는 무리없이 해치울 수 있기 때문에 대전차는 대전차포, 바주카, 잭슨에게 맡기고 나머지들을 열심히 잡으면 된다. 탑재 기관총인 50구경 기관총의 뛰어난 화력은 덤이다. 숙련도에 따른 특별한 스킬은 가지고 있지 않으나, 숙련 레벨 1에 달성하고나서 아군 미군 차량과 가까이 있으면 '''무전 교신'''이라는 패시브 스킬이 발동되어 유닛의 시야와 주포 장전속도가 약간씩 개선된다. 최대 3단계까지 버프가 중첩되는 것 또한 특징. 이 밖에 연막차장 스킬이 있는데, 탄약수가 포탑 내부의 배치된 연막탄 발사기를 조작하여 지정된 지점에 연막탄 3발을 발사하는 것으로, 시전 즉시 차량 주위로 살포되는 것이 아니라 방향을 지정해줘야하며, 시전하는 순간 차량이 정지하기 때문에 빠르게 연막을 뿌리고 달아나려면 연습이 조금 필요하다. 2015년 9월 17일 패치로 철갑탄의 관통력이 증가되면서 완전 대보병 전차에서 평균은 치는 견실한 중전차가 되었다. 근중거리에서는 4호 전차보다 관통력이 좋아서 막상막하이지만 원거리에서는 관통력이 같아 밀린다.
다른 진영의 중형전차들과는 다르게 스노우볼을 굴리는데 최적화되어 있는 중형전차이며, 일반 중형전차 굴리듯이 굴리면 가장 구리다. 철갑탄은 전차전에는 일반 전차 등과 동등한 수준인데, 보병전에서는 다른 전차의 주포의 80% 수준의 폭발 범위를 가진다. 대신 고폭탄이 160%의 폭발 범위로 늘어나면서 보병전에 확실히 강해지긴 하지만, 이 경우는 전차전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 이 때문에 적 전차가 없을 시, 보병한테만은 정말 강력한 전차지만, 바꿔 말하면 적 전차가 존재한다면 중형전차로서 역할을 영 하기 힘든 셈. 사실 보병을 잘 잡는 점도 큰 메리트가 되기 힘든 점이, 4호전차가 보병을 못잡는 게 전혀 아니기 때문,, 4호 전차 역시 같은 상황이라면 스노우볼을 굴리기 매우 좋다. 따라서 같은 상황이면 셔먼이 아주 조금 더 좋을 뿐이지라 셔먼만의 큰 메리트를 없다..
간단히 말해 보병이나 경차량 앞에서는 깡패지만 비슷한 체급의 중형전차 이상부터는 한 없이 약해진다는 것.
이외 차별된 점으로는 미국 전차 모두의 공통된 점이지만, 이동사격보정이 높고, 연막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과, 1벳 라디오 효과 때문에 3대 이상 스팸하면 효율이 제법 나온다는 점. 하지만 연막은 즉발이 아니라 투척 시간이 제법 걸리기 때문에 어지간한 고수가 아니면 제대로 활용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
라디오 효과도 마찬가지다. 일단 3벳을 단 셔먼이 라디오 넷 효과를 풀로 받으면 재장전이 매우 빨리지긴 한다. 문제는 3대를 모으는데 등골이 휘는 일이며, 셔먼만으로는 미국의 돌파력이 그다지 좋지 못해서, 오히려 활용도 제대로 못하고 대전차포에 다 터질 수도 있다. 팀전에서는 나름 유용해지는데 아군 전차 옆에 있어도 발동이 된다. 팀전 후반대에 아군 전차와 같이 뭉쳐 다닐때 1벳 달린 셔먼이라도 살리자.
이런 점 때문에 셔먼은 유리할때 쐐기를 박는 용도가 아니라면 피하고, 아예 잭슨과 쿠쿠 조합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은 편,
  • 고폭탄/철갑탄 전환 : 토글형 스킬로 셔먼은 기본적으로 고폭탄과 철갑탄을 오갈 수 있다.
  • M2 중기관총 : 70뮤니를 소모해서 상부에 50구경 중기관총을 달아줄 수 있다. 데미지도 명중률도 나름 괜찮아서 양념치는데는 좋으며 이걸 달고 고폭탄을 빵빵 쏴대면 보병들이 무더기로 죽어나가는 광경을 볼 수 있지만 적과의 전차전에서는 쓸모가 없는데다 안그래도 뮤니 쓸 일이 많은 미국 입장에서는 70뮤니는 꽤 부담스러운 편.
  • 불도저 업그레이드 : 기계화 중대 혹은 도심강습 중대 지휘관을 선택시 50인력 20기름에 불도저 날을 달아줄 수 있는데 체력이 80, 장갑이 전면 56. 후면 28(35%) 상승하여 160/80에서 216/108이 되고 중간 장애물 파괴가능 판정에서 무거운 장애물 파괴가능으로 크러시 등급이 올라가 대부분의 장애물을 밀어버릴 수 있다. 그리고 깨알같이 충돌 크기가 커져서 로드킬이 잘 되는건 덤. 체력 증가에 메리트가 있는 만큼 달아주는게 좋으나 이것도 뮤니 부담으로 인해 우선순위는 밀렸다. 하지만 인력과 기름으로 소모 자원을 바꾸는 패치 이후 매우 적극적으로 쓰이는 편. 이걸 달아주면 장애물 생성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 연막탄 발사 (30뮤니) : 지정위치에 연막탄을 4발 발사한다. 연막이 탱크 주위를 뒤덮는 독일군의 전차와는 달리 먼거리에 연막탄을 날리는 형식으로 멀리서 대전차포나 기관총 등을 연막으로 가리고 치고 들어가는 등의 공격적인 운영에 사용된다.
  • 라디오 통신 : 1벳업시 생기는 패시브 스킬로 주변에 다른 전차가 있을 시 연사력과 시야에 버프를 얻는데 이게 또 중첩이 되는만큼 많으면 많을 수록 버프 효율이 극대화된다.
  • 장애물 생성 : 불도저 업그레이드가 선행되어야 하며 사용시 달고 있는 불도저 날로 흙을 파내서 엄폐물을 생성해낸다. 모래주머니처럼 완전 엄폐가 가능하고 보병들이 타 넘어갈 수 있다.
  • 철거 : 장애물 생성 스킬로 만들어낸 흙더미를 없앨 수 있다.


1.4.3. M4A3 셔먼 76mm


[image]
★ : 패시브 스킬 [무전 통신] 해금
★★ : 포탑 선회속도 +35%, 재장전시간 -30%최고속도 +20%, 선회속도 +20%, 명중률 +30%, 가감속도 +20%
★★★ : ​​​최고속도 +20%, 선회속도 +20%, 관통력 +25%, 가감속도 +20%
기계화 중대 지휘관을 선택하면 대대지휘소에서 380맨파와 125기름을 주고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의 셔먼이 고폭탄의 존재로 보병은 잘 잡는데 반해 75mm라는 애매한 주포탓에 어지간한 중형전차 이상으로 넘어가면 영 아니올시다였지만 이쪽은 주포를 76mm로 바꿔달면서 관통력이 크게 상승했다.
일반 철갑탄과 고속 철갑탄을 번갈아가면서 쓸 수 있으며 보병은 이지에잇보다는 잘잡지만 셔먼보다는 아니고 대전차는 통상탄은 이지에잇에 밀리지만 연사력이 매우 빨라 셔먼보다는 훨씬 잘 잡는다. 즉. 통상탄은 딱 중간지점. 허나 고속철갑탄은 이지 에잇보다 미묘하게 빠른 연사력과 더 높은 관통력을 지니고 있기에 부족한 방어력을 빼어난 대전차 능력과 기동력으로 메우는 모양새다.
하지만 연사력이 기본 셔먼이나 이지에잇에 비해 훨씬 빠르며 3벳을 찍으면 잭슨이 필요없을 관통능력을 자랑하기에 사실상 취향에 따라 갈린다.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장착 : 다른 전차에도 있는 상부 포탑 기관총이다. 특히나 76mm 셔먼의 경우에는 대보병이 영 시원치 않은 편이라 필수로 장착해줘야 하는 편. 소련 랜드리스 전술의 셔먼을 복붙해서 70뮤니를 주어야 하는 다른 셔먼들에 비해 10뮤니 적은 60뮤니에 장착 가능하다.
  • 연막탄 투하 : 30뮤니를 소모하여 먼거리에 연막탄을 4발 투하한다. 독일처럼 도망칠때 쓰기보다는 적 대전차포나 기관총을 가리고 개돌가는 식의 공격적인 운영으로 사용되는 편.
  • 라디오 통신 : 셔먼과 동일

1.4.4. M4A3E8 셔먼 '이지에잇'


[image]
★ : 패시브 스킬 [무전 통신] 해금
★★ : 최고속도 +20%, 선회속도 +20%, 명중률 +30%, 가감속도 +20%
★★★ : ​​​포탑 선회속도 +30%, 재장전시간 -20%
소총병 중대를 선택시 해금되며[12]가격은 380 맨파워 140 기름 14 인구.
셔먼 76mm와 비슷한 전차에 화력도 엇비슷하지만 맷집으로는 이지에잇이 앞선다.
미국의 T34/85라는 느낌으로 미디움급 이상의 강력한 장갑과 주포의 관통도 높은데다가 셔먼 특유의 강력한 기동성과 더불어 명중률이 높아 고폭탄이 없음에도 기존 일반 셔먼만큼은 아니지만 보병도 어느정도 잡는다. 대보병도 대전차도 둘다 필요한 상황에 뽑아쓰면 좋은 유닛.
다만 현 미군 전술 체제가 만능인 미디움 탱크를 굴리기 보다는 보병 킬러인 고폭탄 장착한 일반 셔먼이 처리하고 전차를 잭슨이 처리하는 식으로 양분되면서[13] 이지에잇의 위치가 애매해져 대보병,대전차가 어느정도 필요하지만 셔먼이나 잭슨을 뽑기엔 애매한경우나 상대가 중전차를 뽑기 힘든 환경일때 쐐기를 박기용으로 쓰인다.
이후 환경이 바뀌면서 오히려 더 쓰기 좋아졌는데, 중전차들이 일제히 1대 제한이 되면서 중형 전차의 시대가 오고 있는 가운데 탑티어급 성능이기도 하고, 소령을 뽑아야지만 생산할 수 있는지라 이지에잇으로 답이 안나오는 그림일 경우 잭슨이나 모터 캐리지 같은 차량으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강제로 부여받게 된 셈. 초반부터 기름을 많이 모았거나 자원우위에 있다면 기존보다 빠른 타이밍에 뽑는게 가능해졌다.
중전차들도 뻥뻥 뚫는데다가 체력이 720이 되면서 한대는 더 버틸 수 있게되어 더 굴리기 좋아졌지만 결국은 비싼 가격과 생산 전환으로 인해 먹튀. 76셔먼이 대폭상향되면서 입지가 상당히 애매해졌다. 탄을 교체해야한다고는 하지만, 76셔먼이 고속철갑탄이 생기면서 관통력도 높고, 벳 효과도 더 좋아서 연사속도도 더 빠르다. 그렇다고 이지에잇이 보병을 엄청 잘 잡는 편도 아니라서 애매한 전차가 되었다.
이래저래 소총병 중대 지휘관이 인기가 적은데다 76mm보다 기름을 15, 인구를 2 더 먹는 주제에 성능상으로 크게 앞선다는 느낌이 없어서 나쁘지 않은 성능임에도 잘 쓰이지 않는 비운의 전차.
  • M2 중기관총 장착 : 70뮤니를 소모해서 M2 중기관총을 상부 해치에 달아줄 수 있는데 특히나 셔먼 시리즈중에서 대보병이 가장 부실한 이지에잇에게는 우선순위가 더 높은 업그레이드.
  • 연막탄 투하 : 다른 전차들과 동일.
  • 라디오 통신 : 베테런시 패시브 스킬로 다른 아군 전차들과 인접해 있을 시 그 수에 따라 재장전 시간과 시야에 보너스를 받게 된다.

1.4.5. M10 울버린


[image]'''M10 울버린'''
긴 사거리(50)
★ : ​The unit can use HVAP (High Velocity Armor Piercing) shells, giving the tank destroyer better accuracy and armor penetration
★★ : Battle hardened crew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vehicles limits, improving turret traverse, and increasing accuracy
★★★ : ​​​Battle hardened crews operate the vehicle with ease, increasing mobility and rate of fire
300맨파워 80기름 10인구
기갑 중대를 선택했을 때에만 사용할 수 있는 구축전차로. 전작에서 뻥포로 유명했던 그 울버린이다. 다른 구축전차에 비해 싼 가격과 빠른 기동력을 이용해 보병을 밟아버리거나, 고가치표적을 암살 혹은 저격하기 위하여 던지는 데에 쓰이기도 한다.
특히 미국의 전차 특성상 이동사격의 효율이 좋으며 데미지도 나름 괜찮은 편이지만 주포가 폭발 범위가 좁은 철갑탄인데다 동축 기관총 하나조차도 없어서 보병을 상대로는 극악의 효율을 가졌으며 맷집도 약해서 대전차포한테 한대라도 얻어맞으면 상당히 치명적이고 대전차 데미지도 관통력이 오른 셔먼 수준이라 크게 기대할건 못된다.
국방군의 스터그처럼 급하게 대전차 전력이 필요할때 싼맛에 뽑아쓴다는 감각으로 생각하면 될듯.
기동력이 빠르다는 것을 이용해서 측면에서 적의 옆구리나 후방을 치거나 좁은 곳에선 과감하게 주포를 포기하고 적 보병들을 로드킬하는등 결국 파일럿의 센스가 중요한 유닛.
  • 측면돌파 : 30뮤니를 소모해서 이동속도와 가속도, 피격율 등에서 보너스를 얻는다. 안그래도 기동력이 빠른 울버린이 개활지에서도 카트라이더를 찍게 해주는 스킬로 상승한 스피드로 적의 전차를 농락하거나 아니면 적극적으로 적의 보병을 치어죽이는 등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해주는 흐킬.
  • HVAP M93 : 30뮤니를 소모해서 20초 동안 고속철갑탄을 사용한다. 관통력이 잭슨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57mm 대전차포와 비슷한 스킬. 물론 이쪽은 움직이거나 추격도 가능하니 운용은 한층 더 편하다.

1.4.6. M8A1 곡사포 탑재 차량


  • [image]M8 곡사포 탑재 차량
[image]
긴 사거리(50)
★ : ​은폐용 연막탄 살포 가능
★★ :산탄도 -20%, 스킬 재사용시간 -40%
★★★ : 사거리 +30%, 스킬 사거리 +30%
260인력 75기름 인구 10으로 생산이 가능한 곡사포 탑재 차량.
M5 스튜어트에 천장이 없는 오픈탑 포탑과 75mm M2/M3 곡사포를 탑재했으며 밥솥처럼 생겼다고 해서 일명 '쿠쿠'라고 불린다.
포병계통 유닛이라 그런지 가까이 붙은 유닛은 공격하지 못하며[14] 동축 기관총도 안달려있어 근거리에서는 취약하나 상당히 긴 사거리로 적 유닛들을 쪼아대는데 특화되어있다. 자동적으로 어택땅을 찍어놓으면 알아서 곡사포를 적에게 쏘아대지만 박격포처럼 파일럿이 원하는 지점에다 포를 사격하는 것도 가능.
비슷한 계통의 국방군 브룸베어가 보병은 무더기로 날려버리며 차량 또한 무시못할 묵직한 화력에 굼뜬 속도가 특징이라면 이쪽은 가격도 상당히 싼 편이고 빠른 기동성에 회전포탑이 달려있어 여기저기 싸돌아다니며 대전차포의 사거리 바깥에서 쿡쿡 쪼아대면 적 보병들이 두들겨 맞다 집에 가는 걸 볼수 있다.
후반부 적의 보병 물량 공세와 성가신 중화기 라인을 효율적으로 두들겨주기 때문에 얼마나 안 잃고 모으느냐와 얼마나 많은 잭슨과 함께 서로를 잘 지켜주느냐갸 게임의 승패를 가르는, 다루기 어려운 유닛. 의외로 생존력이 좋은 편으로, 대전차포 3방을 맞아야 죽고 1베터런시 달성시 연막탄 사용이 가능한지라 판터나 4호가 난입해도 연막치며 아군 진영으로 도망치면 살아갈 수 있다. 동독보다는 서독을 상대할 때 좋은 유닛으로, 라케텐베르퍼가 사거리가 짧은지라 은신 암살만 조심하면 일방적으로 견제가 가능하다. 셔먼보다 값이 싸므로 조합에 끼워넣기도 편해서 잭슨과 조합하는 쿠쿠잭슨은 미국의 중후반 주력 조합.
  • 75mm 포격 : 박격포처럼 지정한 위치에 4발가량 발사하는데 최대 사거리가 일반 공격보다 길다. 박격포와는 다르게 연사력에 보너스를 받는 폭이 거의 없어서 최우선 목표에 타격할 필요가 있거나 약간의 사거리 이득을 보기 위한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쓸 필요는 없는 편. 단, 기동하며 거점에 중장거리 포격을 손 덜 가고 갈길수 있다는 면에서는 좋다.
  • 연막탄 포격 : 박격포와 비슷한 스킬. 지정된 위치에 연막탄을 발사하며 적의 시야를 가리거나 중화기를 무력화 하는 등의 변칙적인 플레이를 할때에 큰 도움이
  • 은폐용 연막탄 : 1베테런시 달성 시 사용 가능. 30뮤니를 소모해서 차체앞에 연막탄을 하나 터뜨린다.

1.4.7. M36 잭슨 대전차 자주포


[image]
긴 사거리(60)
★ : ​고속철갑탄 스킬 사용 가능
★★ : 명중률 +30%, 재장전시간 -20%
★★★ : ​​​재장전시간 -15%, 관통력 +20%
400인력 145기름 인구 16에 생산이 가능한 미국의 대전차 자주포.
퍼싱과 같은 90mm포를 달고 있는 2차대전 미 육군 최고의 대전차 자주포답게 '''뛰어난 관통력''', 놀랄만한 사거리, 그리고 준수한 기동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베터런시 스킬로 고속철갑탄(HVAP)[15]을 발사할 수 있으며, M10 울버린과 동일하게 회전 포탑 형식이기 때문에 운용하는데 유연성도 좋아 엄청난 효율성을 자랑한다. 사실상 미국 대전차전에 있어서 꿈과 희망과도 같은 유닛.
대신에 회전포탑을 갖춘 대가로 타 구축전차에 비해 방어력이 꽤 떨어지는 편이니 카이팅과 거리 유지는 필수다. 다른 대전차 자주포와 달리 잭슨은 모자라는 장갑을 기동력으로 해결하는 차량이기 때문에 적과 싸울때 이쪽이 아예 공격받지 않고 이쪽은 적을 기습하는 방식의 플레이가 필요하게 된다.[16] 잘만 굴리면야 2~3대의 잭슨이 몰려다니며 야티고 티거 2고 간에 다 썰어제끼는 활극을 보여주지만 컨트롤에 미스가 나면 적의 화망에 걸리는 족족 나가떨어지는 날파리 신세를 면치 못하게 된다. 본래는 체력도 낮은데다 공격력은 높지만 관통력이 낮아 운빨에 기대는 사용하기 힘든 차량이었다. 하지만 패치로 반응성 조절 토글이 생겨 차량에게만 자동사격을 하고 보병은 쏘지 않게 되었고, 공격력이 일반적인 수준인 160까지 낮아졌지만 관통력이 대폭 올라가 사용하기 쉬우면서도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대전차 자주포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거기에 미국 진영 특성인 높은 이동사격 보정 75%를 가지고 있어 다른 구축처럼 정지사격을 할 필요성도 적으며, 3베테런시를 달성할 시 '''판터는 쉬르첸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피격 거리에 관계없이 반드시 관통당하게 된다.'''[17]
18년 9월 패치로 140기름에서 145기름으로 하향되었다. 정상보다 조금 많이 강하지만, 미국은 잭슨에 목을 메는 구조이기 때문에 성능을 건들 수는 없다는 확답과 함께 기름을 5 하향당했다.
20년 4월 패치로 장갑이 130/60에서 110/60으로 하향당했다. 이 패치가 치명적인 것이. 모든 거리에서 4호 전차에게 희박한 도탄 확률이 있던 잭슨의 전면장갑이 4호 전차에게 이제는 모든 거리에서 피탄 시 절대관통 당하게 된 것이다.
  • T30E16 고속철갑탄 : 1베테업시 사용 가능하며 57미리 대전차 포나 울버린과 비슷하게 관통력과 데미지를 증가시켜 주는 스킬. 30뮤니를 소모해서 20초간 철갑탄을 발사하는데 기본 관통부터가 남다른 잭슨인만큼 앞의 둘보다 훨씬 더 확실하게 200데미지를 쑤셔박아줄 수 있다.

1.5. 기타 유닛 및 건물


독트린 특화 유닛들은 지휘관 항목 참조

1.5.1. 차량 승무원


  • [image]차량 승무원
[image]
★ : '치명적 손상 수리' 스킬 획득
★★ : 수리속도 초당 +0.9
★★★ : ​​​피격률 -29% 보너스
WC 54 야전 구급트럭을 제외한 모든 미군 군용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보병 유닛. 4인 1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45구경 M3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있는 것이 특징. 하지만 체력이 낮고 인원수가 적은데다 가지고 있는 그리스건의 성능이 강습 공병의 절반도 못미치는 성능이므로 본격적으로 전투에 써먹기엔 무리가 있다. 승무원의 숙련 레벨은 차량의 전투 성능에 효과를 주지는 않지만, 고장난 모든 모듈을 3초 만에 뚝딱 고칠 수 있는 스킬을 얻어간다. 하차시 별도의 명령을 내리지 않는 이상 자동으로 손상된 차량을 수리하는데, 이 때 근처에 있는 차량 중 체력이 가장 많이 소모된 차량부터 자동으로 수리하러 가기 때문에, 자신의 차량만 수리하게 하고 싶으면 별도로 명령을 내려야한다. 차량중대는 승무원 2명에게 기본으로 45구경 M1A1 기관단총을 쥐어줄 수 있으나, 여전히 전투원으로 쓰기엔 너무 약하며 굳이 승무원을 하차시켜 전투시킬 이유도 없다. 잭슨 같은 대보병 능력이 전무한 전차의 경우 내려서 화기반을 내쫓는 정도로나 써먹을까.. [18] 잊지 말고 주워주자. 이 바주카는 처음 하차한 지역으로 워프되는 버그(?)가 있으므로 차량 승무원은 본진에서 한번 내렸다가 탑승해주자.

1.5.2. 의무병


[image]
WC 54 야전 구급트럭에 탑승하고 있는 비전투원으로, 하차시 쿨타임 없이 주위의 보병 분대를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비전투원이기 때문에 무기슬롯도 없고 무장도 권총 뿐이므로 전투에 휘말리지 않게 조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막장 플레이용도로, 의무병만 데리고 싸울 수 있다. 게다가 이 막장플레이는 렐릭 공식 방송에서 한 적이 있다! 야전 구급트럭을 자폭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압권. #

1.5.3. 강습 공병


[image]
★ : 피격율 -10%, 건설속도 +50%, 치명적인 손상 수리, 엄폐물 파괴 스킬 사용 가능
★★ : 쿨다운 -25%, 피격율 -29%, 수리속도 초당 +1
★★★ : 명중률 +40%
기갑중대 지휘관을 선택한 뒤 280맨파로 0CP에서부터 생산이 가능한 콜인 보병.
전원 M3 그리스건으로 무장한 5인분대로 초반부 근접전에서는 끝내주는 화력을 자랑하는데다 0CP부터 생산이 가능하여 초반에 소총수와 택일이 가능한만큼 돌격공병이나 강습척탄병같은 근접전 보병을 견제하거나 시가지가 많은 맵인 상황에서 상당히 효과적이다.
기본적으로는 소총병을 때려잡으려고 닥돌해오는 돌격 보병이나 커버를 끼고 있는 보병을 상대로 변수를 만들어준다는 점이 좋으며 엄연히 공병인만큼 철조망이나 M5 지뢰를 설치하는게 가능하고 폭약 설치나 철조망 절단, 수리 등으로 후반까지 살려놨다면 유용하게 운용이 가능하다. 다른 유닛들과 마찬가지로 무기고에서 BAR이나 바주카 등을 들려줄 수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화염방사기를 달아줄 수 있어서 뮤니 남아돌때 가끔씩 달아주는 BAR을 제외하곤 사실상 낭비취급.
단점이라면 기관단총이 주무장이니만큼 원거리 교전이 상당히 구린데다 0벳시에는 강습척탄병과 동일하게 회피율 수치도 안달려있어서 개활지가 많은 맵일 경우에는 소총병이나 패스파인더가 더 유용하며 차량에 대응할 스킬이 로또성인 지뢰 매설밖에 없어 소총병과 적절히 조합을 해주는게 좋고, 초반에 가능한 많은 이득을 봐서 스노우볼을 굴려야한다.
  • M2 화염방사기 : 60뮤니를 소모하여 분대원중 한명에게 화염방사기를 들려줄 수 있다. 근접전으로 운용되는 만큼 화염방사기와의 궁합이 좋으며 미국의 공병 포지션인 후방부대가 화염방사기를 들지 않는만큼 건물이나 엄폐물이 많은 맵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염방사기를 단 돌격 분대가 되면 BAR을 추가장착해주는 것도 상황에 따라 고려할만은 하다. 단 그리스건과는 달리 이동 사격이 불가능한 무기인만큼 일정 범위에 접근하면 정지시켜준 상태로 전투를 해야한다.
  • 치명적 손상 수리 : 1베테런시를 달성하면 사용 가능하며 25뮤니를 소모하여 엔진 파괴같은 차량의 기능 고장을 순식간에 고쳐놓는다. 수리가 끝나면 일반 수리로 전환되며 피격 페널티는 일반 수리와 같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 엄폐물 파괴 : 마찬가지로 1벳 달성시 사용 가능. 철조망이나 차량 잔해등을 폭약으로 날려버리며 적에게 유리한 위치의 엄폐물이나 잔해를 날려버릴때 사용한다.
  • 폭약 설치 : 소련의 공병이 갖고있는 그 스킬로 65뮤니를 소모해서 지정 위치에 미친 위력을 자랑하는 폭약을 설치한다. 지뢰와는 달리 밟아도 터지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직접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며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생각만큼 잘쓰긴 힘든 스킬이나 건물을 한방에 무너뜨리는 미친 위력으로 한방 제대로 들어가서 보병 무더기를 날려버리면 상대방 멘탈에 상당히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특히나 대인 지뢰를 보기 힘든 미국 특성상 상대방이 지뢰같은 것을 크게 의식하지 않았다면 멘붕은 2배. 건물 사각이나 울타리 뒤쪽같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지점에다 설치해주자.

1.5.4. 패스파인더


[image]
넓은 시야(50)
엄폐물 및 깊은 눈에서 은신 가능
3베테런시 달성 시 저격수와 동일한 은신 판정 적용
★ : ​시야 +5
★★ : 쿨다운 -20%. 피격률 -29%
★★★ : ​​​사거리 +5. 명중률 +20%. 위장 상태로 이동 가능.
공수중대 지휘관 선택시 0CP에서 290맨파로 소환이 가능한 유닛이다.
설정상 공수부대가 강하하기 전에 미리 주변 지형을 살피고 공수부대의 강하를 돕는 부대.
2명은 M1카빈, 나머지 2명은 스코프를 장착한 M1개런드를 들고 있는 4인 지정사수 분대로 카빈은 그럭저럭 나쁘지 않은 성능이며 개런드에 달린 스코프는 폼이 아닌지 개런드는 원거리 명중률이 무려 92퍼나 된다. 사실상 원거리에서 쏘면 다 맞는다는 뜻. 게다가 40퍼 이하의 체력을 가진 적 보병 적중시 즉사시키는 효과도 있어서 원거리에서 콕콕 쪼아 대면 상당히 아프다.
하지만 개런드의 근접 명중률은 정말 한심한 수준이기 때문에 성능을 살리기 위해 최대 사거리를 잡고 후열에서 교전해주는 것이 좋다. 또 저격총임에도 불구하고 이동사격이 가능하지만 이동사격보정이 10%로 무조건 정지해서 사격하는게 좋다.
정찰 유닛답게 시야가 상당히 넓은 편이며 정찰지원 중대의 I&R 패스파인더와 불레틴을 공유하고. 중화기를 습득 시 통상적인 35시야가 아닌 넓은 50시야의 중화기 분대가 된다.[19]
또한 커버를 낄 경우 저격수처럼 자동으로 은신하며, 은신상태에서 공격할 때 정확도 2.5배 데미지 3.5배 2연발사격이라는 보너스로 때리므로 철저하게 커버를 끼면서 교전하면 된다. 패스파인더 분대는 안테나를 3개까지 설치가능하며 안테나 주변 적 유닛상화을 미니맵에 보여준다. 이 안테나 지역에서는 공수부대가 강하할때 걸리는 지형의 범위가 엄청나게 줄어들어[20] 공수하기가 편해지고 공수부대를 주변에서 현장충원 하며 싸울수 있다. 라인을 밀고 잘 공격받지 않는 건물뒤 같은 자리에 안테나를 건설하고 공수부대를 현장 충원하면서 싸우면 상대에게 극심한 출혈을 요구한다.
0CP에서 바로 불러낼 수 있는데다 재소환 쿨도 짧은 편이고 3벳을 찍고 무기를 들려주면 투자한 게 전혀 아깝지 않을 정도로 보병전에서는 살인 전차가 탄생하지만 초반부에는 적은 인원수와 딱히 전투에 도움되는 스킬이 없고 부족한 근접전 능력으로 특히 서독전에서는 돌격공병과 국척 블로빙으로 근접전으로 밀고 들어와서 큰 손해를 본다면 키워보기도 전에 초반부터 게임이 터지는 수가 있으니 허깅 방어와 대전차 총류탄용 라이플맨을 섞어주는 게 좋다.
이 녀석도 다른 미군의 유닛들처럼 무기고에서 무기를 들려줄 수 있는데 제일 효율이 좋은 건 브라우닝 자동소총. 장거리는 저격 개런드가 머리를 잘따주지만 근접전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근중거리 화력을 늘려주는 BAR은 주요 업그레이드. 바가 양념을 치고 개런드가 막타를 치면 3벳을 찍은 엠지 척탄병도 전혀 두렵지 않을 정도.
바주카는 보병전에서 활약하게 될 패파와는 영 인연이 없지만 시야빨이 있어서인지 완전한 잉여는 아니라서 은신효과와 더불어서 기습적으로 한방 먹여줄 수는 있다.
뛰어난 원거리 교전 능력을 갖고 있는 건 장점이지만 스코프 장착 개런드의 이동 중 사격 명중률이 형편 없고, 수류탄도 없고 카빈 2자루에 그나마 머릿수도 4명이라 이동 중 사격이나 근중거리 교전 능력이 너무나 부족하니 BAR 2자루를 들려주기 전에는 라이플맨 굴리듯이 유리한 교전 거리와 엄폐물로 파고 드는 유연한 기동과 측면 우회를 생각하고 굴리면 절대 안되고 동독 척탄병이 기관총 엄호를 받아 블로빙을 견제하면서 멀리서 콕콕 쪼는 것과 비슷하게 굴려야 한다. 그러나 미군은 '기관총' 이 늦게 나오는 진영이라 기본적으로 맞라인전에는 불리하고 기동성으로 승부를 봐야 하는 진영이니 어지간하면 뽑지 마라. 정 뽑을 거면 반드시 기관총의 지원을 받아라. 적 기관총 분대를 분삭내고 줍줍하든, 아군과 합을 맞추든, 수류탄 웨픈랙 구급차 다 생략하고 중위 테크를 최대한 빨리 올리든.....
  • 은신 : 기본적으로 엄폐를 한 뒤 잠깐 놔두면 은신이 되는데 넓은 시야와 더불어서 거점을 먹을때나 적을 기습할 때나 정말 효율적인 능력. 특히나 3벳을 찍으면 엄폐만 유지한다면 사격을 하지 않는 이상 움직여도 은신이 유지된다.
  • 신호기 설치 : 맵 곳곳에 무료로 신호기를 최대 3개까지 설치가 가능한데 일단 공수부대의 항로를 잡아준다는 컨셉에 맞게 신호기 근처로 공수부대나 지원화기가 낙하하면 좀더 안전하고 오차가 적게 낙하가 가능하고 공수부대는 여기서 충원도 가능하다. 게다가 공수부대를 쓰지 않더라도 설치범위에 있는 적을 탐지해서 미니맵에 표시까지 해주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맵 곳곳에 설치해두는 게 좋다.

1.5.5. 공수부대 분대


[image]
★ : Airborne training ensures the squad to always he ready, abilities recharge quicker as a result
★★ : Extensive training exercises improve grenade range, weapon accuracy, and enabled the squad to heal while out of combat
★★★ : ​​​Combat experyise increases squad survivability and weapon control while under fire
380맨파워 9인구수(6인+분대기본 인구 3)
'''경기관총으로 이동사격 가능'''
'''아군 영역 외에서도 추가무장 업그레이드 가능'''
공수중대 지휘관에서 380맨파워로 소환이 가능한 엘리트 유닛으로 M1A1 카빈으로 무장한 6인 분대이다.
소환시 전작처럼 낙하산으로 공수를 하는데 맵 어디에든 불러낼 수 있지만 신호기가 없다면 상당히 띄엄띄엄 떨어지는데다 강하 도중에는 피격율 2배의 페널티를 받기 때문에 기껏 적 후방에 떨궈놨더니 3~4명이 죽고 바로 리트릿하는 병맛사태가 벌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항상 공수지점 근처의 시야를 확보해놓는 센스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무빙사격이 불가능한 무기인 LMG류 무기들을 무빙하면서 사격이 가능하지만 이동 간 경기관총 명중률이 정지시에 비해서 75%인 오버졸다텐에 비해 공수부대는 25%이므로 엄폐물을 끼고 정지해서 적을 공격하는 것이 좋다.
기본 무장은 M1A1 카빈으로 자체 성능은 패스파인더와 동일하지만 기본 바닐라 상태에서는 가성비가 안좋기 때문에 뮤니를 들어서 무기를 들려주게 된다.
보통 개활지에서 적을 손쉽게 잡아낼 수 있는 그림이 나온다면 딜량이 높아지는 M1919A6 경기관총을 선택하며, 화력이 뛰어나면서 액티브 스킬로 적에게 제압을 걸 수 있기 때문에 보병전에 있어서 무지막지하게 강력해지며 적에게 쉽게 기습을 가할 수 있는 시가지나 숲에서는 톰슨 업그레이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바주카에 대한 버프가 있다. 기존 바주카 보다 관통력과 데미지가 증가 되지만 M1919나 톰슨에 우선순위에 밀리기 일쑤여서 바주카 공수부대 플레이는 보기 힘들다.
스킬로는 맵 곳곳에 시한폭탄을 설치할 수 있으며 소총수처럼 수류탄을 투척할 수 있는데 지연 투척이라고 해서 안전핀을 뽑고 수류탄을 살짝 늦게 던져서 일반 소총수의 수류탄보다 빨리 터진다.
단점이라면 맨파워를 380이나 먹으면서 기본 회피율이 없다. 더 심각한 문제는 회피율을 3벳을 달아야만 준다는 점이다. 때문에 다른 고급보병에 비해 방어,회피가 낮아 가뜩이나 사용에 주의를 해야하는 유닛이다.
물론 6인 분대, 충원비가 28정도로 비교적 저렴한 장점도 존재한다. 사실 공수부대의 기본 무장인 카빈은 근거리에 더 가깝기 때문에 피격률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톰슨이 더 좋긴한데, 보병 블로빙전이나 개활지에서는 이런 톰슨의 강력함을 제대로 활용해보지도 못하고 녹아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우회, 퇴로 차단같은 걸 잘 못한다면 1919를 장착하는게 더 좋다.
  • 톰슨 기관단총 업그레이드 : 90뮤니를 들여 분대원중 4명이 토미건으로 무장한다. 장교가 들고다니는 톰슨보다 성능이 좋은데다 4명씩이나 들고다녀서 근접전에 있어서는 깡패같은 성능을 자랑하지만 기관단총 특성상 개활지에서는 위력이 반감된다. 주의 할 점은 무기 하나라도 들려주면 업그레이드가 안된다.
  • M1919A6 경기관총 : 120뮤니를 들여 분대원중 2명이 M1919 경기관총으로 무장한다. 톰슨과는 정반대로 장거리전에 특화된 업그레이드로 제압사격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톰슨 업그레이드와 다르게 무기 하나 들려 줘도 60뮤니를 들여 한 정만 무장한다.
  • 지연 MK2 파편수류탄 : 35뮤니를 소모하여 사용 가능한 수류탄 투척 스킬로 일반 소총수가 사용하는 것에 비해 뮤니 소모가 더 들어가지만 본진 업그레이드가 필요없고 쿠킹 기술을 사용해서 더 빨리 터지기 때문에 대응이 어렵다는것이 특징.
  • 전술강습 : 톰슨 기관단총을 들려줬을때에 언락되는 스킬로 20뮤니를 소모하면 공수부대들이 모두 람보가 돼서 저벅저벅 걸어나가며 톰슨으로 불꽃같은 연사를 퍼붓기 시작한다. 명중률과 연사속도가 큰 폭으로 상승해서 그야말로 갈아버린다는게 뭔지 보여주지만 피격률과 이동속도에 큰 페널티를 받아서 일점사라도 당하면 순식간에 픽픽 쓰러져나가는 안습한 광경을 볼 수 있다. 공수부대는 동독의 스툼트루퍼와는 달리 은신이 없기 때문에 활용이 어렵다.. 머리가 비어 있지 않는 이상 톰슨 든 공수부대를 근접해주진 않을 테고, 스스로 붙어야하는데, 피격률이 없는 공수부대는 붙는 과정에서 한, 두마리 씩 죽을 확률도 높다. 붙더라도 역시 적이 멍청하지 않는 이상 전술강습을 쓰는 순간 리트릿을 할 테니 뮤니만 날릴 확률이 높다. 이 때문에 제일 좋은 활용법은 리트릿 하는 적 분대의 퇴로를 끊어서 전술강습을 사용하여 분대 삭제를 시전하는 것이 좋다.
  • 제압 사격 : 이쪽은 M1919A6로 무장했을때의 사용 가능. 20뮤니를 소모해서 지정한 적 보병분대를 제압시킨다. 중화기에는 사용이 불가하지만 지정된 적 주변의 유닛들에게도 제압이 걸린다는게 특징.
  • 시한폭탄 : 45뮤니를 소모하여 시한폭탄을 설치가 가능하다. 안그래도 뮤니소모에 쪼들리는데 45뮤니는 꽤나 부담스럽고 공병과는 다르게 폭파 시간도 컨트롤이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벙커도 한방에 날려버리는 절륜한 위력이 장잠. 움직이지 못하는 벙커나 서부전선군의 트럭등에게만 한정적으로 사용한다.
  • 정예보병 바주카 숙련(패시브) : 바주카의 발당 데미지가 20. 관통력이 전 거리에서 30 증가한다.

1.5.6. I&R 패스파인더


[image]
넓은 시야(50)
엄폐물 및 깊은 눈에서 은신 가능
3베테런시 달성 시 저격수와 동일한 은신 판정 적용
★ : ​시야 +5
★★ : 쿨다운 -20%. 피격률 -29%
★★★ : ​​​사거리 +5. 명중률 +20%. 위장 상태로 이동 가능.
정찰 지휘관 중대에서 생산이 가능한 유닛.
패스파인더와와 마찬가지로 가격은 290맨파지만 이쪽은 저격용 개런드를 1명만 들고있는게 특징. 때문에 순수 장거리전 화력 자체는 패파보다 떨어지지만 초반에 적이 공격적으로 밀어붙이면 잉여가 되버리는 패스파인더와는 다르게 카빈을 들고있는 분대원은 더 많기 때문에 붙으려는 적을 상대로는 견제를 더 잘해주고 꼴랑 신호기 하나 있던 패파와는 다르게 여러 스킬들의 존재로 인해 활용성은 더 높은편.
  • 위장 :패스파인더와 동일하다.
  • 신호기 설치 : 이것도 패스파인더와 동일하다. 맵 곳곳에 깔아주자.
  • 유인 포격 : 20뮤니를 소모하여 신호탄만을 떨어뜨린다. 소령에게도 있는 낚시 기술.
  • 곡사포 포격 요청 : 140 뮤니를 소모해서 곡사포 3문으로 지정 위치에 포격을 가하는 스킬로 IR 패스파인더가 그 지점까지 가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포격이 몇초 이내로 매우 빠르게 떨어지며 보병이나 중립건물 철거엔 크게 무리가 없고 많이 쏘는데다 폭발 범위가 제대로 미쳤기 때문에 붉은 연막탄이 떨어지는걸 보자마자 황급히 리트릿하는 진풍경이 벌어진다. 적 중화기분대가 중립건물에 들어가는 순간을 노려 사용하면 끔살확정. 적 전차가 이걸 맞는 경우는 거의 보기 힘들지만 맞기만 한다면 중전차조차 HP가 절반은 날아가고 스턴에 걸린다. 베테런시를 3까지 쌓으면 시야가 넓어져 포격요청을 사용하기 좋아진다.

1.5.7. 지원 공수부대


[image]
350맨파워 80뮤니션. 인구 9 (6인+분대기본 인구 3+운용병 없는 경야포 추가 투하)
'''경기관총으로 이동사격 가능'''
'''아군 영역 외에서도 추가무장 업그레이드 가능'''
정찰 지휘관에서 3CP까지 쌓은 후 공수강하 전투단 스킬로 350맨파와 80뮤니를 소모하여 경야포와 함께 소환이 가능한 콜인 보병. 기본적으로 공수부대 지휘관의 공수부대와 시한폭탄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큰 차이가 없지만 350맨파 + 80뮤니라는 싼 가격에 공수부대는 물론 경야포까지 던져주기 때문에 900인력이나 먹던 폐기물스럽던 이전과는 달리 가성비가 상당히 좋아졌다. 그래도 여전히 3CP라는 느린 타이밍은 여전하기 때문에 소총수나 패스파인더가 분삭되었을때 보충용으로 호출하는 편.
  • M1919A6 : 공수부대와 동일하다. 120뮤니를 쥐어주고 M1919A6 경기관총 2정으로 무장한다. 본격적인 보병전에 나서려면 필수적으로 달아줘야 할 무장이지만 호출 스킬 자체의 뮤니소모가 심한편인지라 초반에 지원 공수부대를 불러냈다면 뮤니에 쪼들려서 바로 못들려줄 확률이 높다.
  • M9 바주카 : 100뮤니를 소모해서 바주카 2정을 달아준다. 일반 바주카보다 위력이나 관통력이 앞서는데다 위장 스킬까지 생겨서 아무것도 모르고 지나가던 적 전차의 뒤통수에 크게 한방 박아줄 수 있지만 대보병 능력이 눈에 띄게 하락하기 때문에 들려주기 전에 고민을 해야한다. 350맨파나 되는 고급 보병에게 바주카를 들려주기에는 이미 바주카 셔틀로 후방부대나 중위가 있기 때문에...
  • 지연 MK2 파편 수류탄 : 라이플맨과 중위의 동일한 수류탄 투척 스킬에 5뮤니를 더 먹지만 업그레이드가 필요없고 쿠킹이라는 기술을 사용해서 착탄시 수류탄이 절반가량 더 빠르게 터진다.
  • 제압 사격 : M1919A6를 들려주면 생기는 스킬. 이것도 공수부대와 동일하며 20뮤니를 소모해서 지정한 적 분대는 물론 근처의 유닛까지도 제압에 걸리게 한다.
  • 위장 : M9 바주카를 들려주면 생기는 다른 위장 유닛들과 동일한 스킬. 엄폐물에 웅크리고 있으면 위장효과가 적용되며 위장상태에서 공격시 바주카에 데미지와 관통력 보너스가 붙는다. 무기고나 땅에 떨어진 바주카를 획득시 위력이 강화되는것은 동일하지만 위장 스킬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
  • 정예보병 바주카 숙련(패시브) : 바주카의 발당 데미지가 20. 관통력이 전 거리에서 30 증가한다.
  • M5 지뢰 : 30뮤니를 소모해서 지뢰를 설치한다.

1.5.8. 레인저 분대


[image]
'''레인저 분대'''
★ : ​수류탄 재사용시간 -25%
★★ : 명중률 +25%. 수류탄 사거리 +25%. 야전구급품 패시브 적용
★★★ : ​​​쿨다운 -20%. 피격률 -29%
인구수 10(분대기본 인구 5 + 5인 분대)
'''경기관총으로 이동사격 가능'''
'''무기슬롯이 3으로 타 병종보다 하나 더 많음'''
중기갑 지휘관이나 도심 강습 지휘관에서 3CP를 쌓고 350맨파로 콜인이 가능한 미국의 정예보병이다. 전원 M1 카빈으로 무장하고 있는 5인 분대로 처음 무장인 카빈의 경우 공수부대와 판박이이지만 가격에 비하면 거의 창렬이나 다름 없는 성능이므로 최대한 빨리 톰슨 기관단총을 달아주자.
이렇게만 보면 사실상 공수부대와 큰 차이 없고 오히려 가격은 비싼 하위호환처럼 보이지만 장착 가능한 추가 무기칸이 3칸이나 되는데다 피격률 보너스가 27퍼나 붙어있어 돌격병으로서 차별화가 가능하다. 톰슨을 쥐어주고 적에게 달라붙으면 그야말로 파워레인저 급의 출중한 전투력을 보여주지만 3CP 타이밍이면 보병을 추가하기 애매한 시점인데다 생산비용이나 톰슨의 비용이 상당히 부담스럽고 유틸성 또한 350맨파나 먹고 나오는 유닛치곤 그 흔하디 흔한 돌진 스킬도 없이 꼴랑 수류탄 하나밖에 없는 그야말로 한심한 수준인지라 부담없이 사용하기엔 어려운 유닛이라 평가받는다. 대차량, 대전차 스킬도 전무.
사실상 소련 충격병의 하위호환으로 인식된다. 충격병은 2CP인데, 레인저는 3CP라 등장 타이밍도 더 느리고, 충격병은 연막도 쓸 수 있기 때문에 유틸성도 충격병이 더 위, 충원비도 레인저가 더 비싸며, 피격률도 레인저는 27%지만, 충격병은 0.5 장갑보너스를 가지는데, 이걸 피격률로 치지면 30%정도 수준, 다행스럽게도 근거리 화력 자체는 톰슨 4정이 파파샤 무장을 한 충격병보다 더 좋지만, 90뮤니라는 비싼 가격이 흠.
그나마 레인저가 좋은 점을 우겨서라도 뽑자면, 충격병은 무조건 근거리 유닛으로만 써야되는 반면, 레인저는 상황에 따라 중,원거리 유닛으로도 사용 할 수 도 있다는 점 정도, 특히 무기 슬롯이 많아서 운 좋게 LMG라도 하나 줍고 바 2정을 무장하면 원거리에도 막강한 유닛이 된다. 물론 레인저를 중, 원거리 유닛으로 굴리느니 차라리 페스파인더를 가거나 하다못해 소총수에게 M1919를 쥐어주는게 훨씬 더 싸게 먹힌다.
다만 가성비가 떨어지더라도. 중반 넘어 라이플맨이 갈렸을 때, 울며 겨자먹기로 노벳 라이플을 뽑는 상황에서 레인저로 대처할 수 있는 선택지가 주어진다는 장점이 있긴하다.
이렇게 잉여스러운 유닛으로 남나 했지만... 신지휘관 패치로 창렬스러운 가격이 내려가고 공수부대에게만 있던 바주카 강화 스킬이 레인저에게도 주어졌는데, 레인저는 무기슬롯이 세개라 아예 슈퍼 바주카 셋 들려주고 대전차보병으로 쓰는 선택지가 생겼다. 발당 피해량도 100에다 관통력도 올라서 중형전차 이상급에도 위협적인 딜을 뽑는다.
  • M1A1 톰슨 기관단총(70뮤니) : 분대원중 4명이 톰슨 기관단총으로 무장한다. 공수부대의 톰슨과 복붙이 수준이며 여전히 끝내주는 근접전 화력을 자랑하지만 뮤니소모가 심하다는건 마이너스 요소.
  • 지연 MK2 수류탄 : 레인저 부대의 유일하게 존재하는 스킬로 35뮤니를 소모하여 MK2수류탄을 투척하는데 공수부대처럼 핀을 놓았다 잡는 쿠킹이라는 기술로 폭발 방식을 앞당겨 일반 소총수의 수류탄보다 빨리 폭발한다.
  • 정예보병 바주카 숙련(패시브) : 바주카의 발당 데미지가 20. 관통력이 전 거리에서 30 증가한다.

1.5.9. 기계화 소총병(Cavalry rifleman)


[image]
'''아군 영역 외에서도 추가무장 업그레이드 가능'''

기계화 중대에서 1CP까지 쌓으면 280맨파에 콜인이 가능한 근접전 보병.
강습공병과 마찬가지로 전원 M3 그리스건으로 무장하고 있어서 근거리 화력이 막강하며 추가적으로 톰슨을 쥐어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타이밍에 적 보병들을 갈아제끼는 학살자가 될 수 있다. 같은 지휘관에서 생산이 가능한 WC51과도 궁합이 굉장히 좋으며 복붙이라는 악평과는 별개로 강력한 근접 전투력과 여러 쓸만한 스킬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방면으로 상당히 유용하다.
다만 강습공병과 비슷하게 근접전 전용 유닛이란점이 발목을 잡아 맵과 사용 타이밍을 잘 체크했다가 콜인하는게 좋다. 게다가 근접전 유닛치고는 수류탄 스킬이 없어 건물 청소나 중화기팀 소탕 등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편.
  • 톰슨 기관단총 : 70뮤니를 소모해서 2명이 톰슨 기관단총으로 무장한다. 2정에 70뮤니라 가성비가 좀 안 나오는거 아닌가 싶은 감은 있지만 그리스건보다 끝내주는 화력으로 뽑은 값은 충분히 해낸다.
  • M23 연막 총류탄 : 장교와 동일하게 15뮤니를 소모해서 연막 총류탄을 발사하는데 적의 중화기를 우회할때 유용하다.
  • 대전차 사첼 : 형벌이 가지고 있는 그 대전차 사첼의 복붙이이다. 사거리가 짧아 붙이기는 힘들지만 어마어마한 관통력과 깡데미지로 적의 차량의 피를 훌러덩 날려버릴 후 있다. WC51과 조합해서 적 전차를 추격한 다음에 사첼을 븥이고 튀는 등 매드 맥스를 찍는 식의 유저들도 있을 정도.
  • 엄호 사격 : 후방부대가 가지고 있는 제압 사격과 비슷한 스킬. 적 보병을 찍으면 25뮤니를 소모하고 사용이 가능한데 스킬 발동시 분대원들이 기관단총을 마구잡이로 난사해대며 이때 기계화 소총병의 명중률은 처참할 정도로 떨어지지만 적 보병 분대의 명중률과 이동속도를 대폭 감소시키기 때문에 급할때 중기관총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킬.

1.5.10. M8 그레이 하운드


[image]
넓은 시야(50)
★ : ​Recon training increases field awareness of the unit, enabling greater sight range
★★ : Battle hardened crews improve main gun accuracy and rate of fire
★★★ : ​​​Elite crews navigate the battlefield with ease and have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ir surroundings
정찰중대 지휘관에서 280맨파와 60기름을 주고 생산이 가능한 콜인 장갑차.
전작의 포지션은 스튜어트에게 넘겨주었으며 이쪽은 콜인 유닛으로 넘어왔다.
성능은 기존 M20 유틸카에서 차량전이 좀 더 상향된 정도로, 업그레이드로 달아줄 수 있는 중기관총의 성능이 타차량보다 좋아서 보병은 무난히 잘 녹이며, 37mm주포로 차량에게도 어느정도 타격을 줄 순 있다. 유틸카와는 다르게 연막을 쓸 순 없지만 대신 체력이 더 높다.
근데 정작 그레이하운드가 나오는 4CP 타이밍엔(스튜어트보다도 더 늦다.) 경전차라거나 대전차포같은 제대로 된 대전차 수단이 이미 나와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차량전은 그럭저럭 장갑차량이나 2호 경전차를 견제 할 정도의 체력과 관통력은 턱걸이 수준으로나마 나오지만 어느정도 데미지를 입히는게 가능한거지 주포가 원체 약하다보니 대등한 교전이 가능한 차량은 거의 없다. 당장 222 스카웃카도 제대로 잡기가 힘들다.
때문에 그레이하운드는 정직하게 돌격시키기보다는 거리를 벌려가면서 깔짝대면서 인력소모를 유도하거나 정찰차량이라는 컨셉에 맞게 거점 빈집털이를 하는 소수의 보병에게 달려가서 내쫒거나 적의 중화기 라인 뒤쪽으로 돌아가서 때리고 튀기식 테러를 한다던가 식의 운영이 필요하다.
  • M2 중기관총 장착 :60뮤니로 상부에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달아줄 수 있다. 철갑탄은 쓸 수 없지만 사거리도 길고 명중률이나 데미지가 좋아 보병을 잘 잡기 때문에 중장거리에서 쪼아대면 상대 입장에서는 혈압이 오른다.
  • M2 산탄사격 : 전작에선 영국군측 스튜어트가 가지고 있었던 스킬이다. 40뮤니를 소모해서 적에게 산탄을 한방 꽂아주는데 과거에는 한방만 쏘면 말그대로 적 보병들을 순식간에 인수분해시켜버리는 op스킬이었지만 너프로 인해 그저그런 스킬로 변했다.

1.5.11. M21 자주 박격포


[image]
★ : ​M56 지연신관 고폭탄 포격 스킬 사용 가능
★★ : 모든 스킬 재사용시간 -40%
★★★ : ​​​포격산탄도 감소 -20%
보병중대 지휘관과 기계화중대 지휘관에서 200맨파와 30기름을 주고 3CP에 불러낼 수 있는 콜인 유닛. 자체적인 방어 무장은 없고 박격포 하나를 탑재하고 있는데 대전차 무기 몇방에 허무하게 박살날 위험이 있지만 차량 특유의 빠른 기동력과 거치나 해체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게[21] 가장 큰 장점.
  • 박격포 포격 : 보통 박격포 운용 유닛들은 어택땅을 누르면 알아서 적을 포착하고 쏘기 시작하지만 표적을 지정해줘야 할 필요가 있을때 쓰는 스킬.
  • 연막탄 포격 : 지정한 곳에 연막탄을 3발 발사하며 연막탄에 가려진 보병이나 차량은 조준되지 않기 때문에 중화기 라인을 돌파하거나 도주할때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백린탄 포격 : 착탄시 주변에 도트뎀을 주는 백린탄을 지정한 위치에 포격하며 연막탄처럼 적의 공격을 막지만 이동속도도 느려지고 데미지도 입는다는게 차이점. 적의 중화기를 걷어낼때 상당히 효율적이다.
  • M56 고폭탄 포격 : 25뮤니를 주고 고폭탄을 6발 쏠 수 있는데 지연신관이라 떨어지고 터지는데 약 2초 정도 걸리지만 특유의 똥파워와 1000이라는 높은 관통력으로 적을 단체로 폭사시키는 것이 가능.

1.5.12. M5 수송 반궤도 장갑차


[image]
★ : ​Unlocks the 'Overdrive' veteran ability
★★ : Advanced vehicle training improves mobility and reinforcement radius
★★★ : ​​​Battle hardened crews improve vehicle sighting and reinforcement radius
전술지원 중대(Tactical Support Company)를 선택하면 240맨파와 30기름으로 호출 할 수 있다.
드디어 소련에게만 공여하던 물건을 가져왔다.
소련에 있는 M5와 완전히 같은 물건. 기본적으로 주변에서 보병 충원이 가능하다.
치료는 안되지만 종이짝같은 엠뷸런스에 비해 2배 이상 튼튼하고 [22] 소총탄에도 어느정도 내성이 있어서 전선에 노출되면 터지기 쉬웠던 앰뷸런스를 대신하여 안정적으로 전선충원이 가능하다. 베테업시 충원 거리 또한 늘어나는게 장점. 다만 미트쵸퍼를 달지 않는다면 나오는 타이밍상 베테업이 힘들고, 미트쵸퍼를 업해버리면 충원을 못한다는건 약간 아쉽다.
초반 경차량들보다는 체력이나 장갑이 꽤 튼튼한 편이기 때문에 안에 보병을 탑승시켜 적 보병에게 근접전을 거는 식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또한 100뮤니를 주고 대공 패키지를 장착하면 이름이 M16으로 바뀌고 4연장 50구경 미트쵸퍼 포탑이 달린다. 보병이나 경차량을 제압하는데 매우 좋고 특히나 대공 성능이 엄청나게 뛰어나다. 팀전에서 있으면 적 공격기나 정찰기를 족족 떨궈줘서 좋긴 하지만 소속된 지휘관이 문제라 보기가 힘들다. 어차피 M5는 소련 기본유닛이기도 하고.
패치후로 CP 타이밍이 낮아졌는데, 이덕에 대위생산후 소령 생산 타이밍 전에 뽑아 굴려먹기 좋다. 3CP에 소총수 하나를 집으로 돌려보내 경기관총을 집어주고, 하프트랙에 태워주면 LMG를 기동사격하며(...) 보병 제초기로 굴려먹을수도 있으나 차량이기에 AT건에 매우 취약하며, 혹여나 허무하게 잃어버릴경우 매우 치명적이기에 혼자 굴리기보단 보병들을 앞세워주며 보조용으로 굴리는게 좋다.
  • 오버드라이브 : 소련의 그 부스터 스킬 복붙이다. M3는 잘만 고유스킬이 있는데 어째서 그런지는 불명. 10뮤니를 소모해서 이동속도와 피격율에 보너스를 얻는다.
  • 대공 패키지 : 마찬가지로 복붙이. 90뮤니를 소모해서 4연장 50구경 중기관총을 얹는다. 충원과 수송능력을 잃는 대신 막강한 보병 제압능력을 얻지만 역시 진가는 소련과 마찬가지로 거의 지대공 미사일 수준의 초월적인 대공능력.


1.5.13. 105mm 불도저 셔먼


[image]
★ : ​The Sherman has access to Radio Net, which increases the Sherman's rate of fire and line of sight range when allied tanks are nearby
★★ : Veterans improve the tank's durability, reload times, and the vehicle's rotation speed
★★★ : ​​​Battle hardened crews further reduce reload times, turret traverse speed, and have increase vehicle acceleration
기갑중대 지휘관에서 380맨파와 140기름으로 호출이 가능한 미국의 탱킹겸 보병 지원용 전차.
105mm 고폭탄을 얹어놓아 동독의 브룸베어처럼 몰려다니는 보병에게 강하며 곡사포격을 가하므로 적당한 엄폐물 뒤에 숨어서 적 보병을 갉아먹기 좋다. 대신 고폭탄 특성상 대전차 능력은 거의 없는편이기 때문에 보병 상대로만 설치는 편이 좋다.
불도저의 존재로 인해 전면장갑의 갑빠가 좀 단단한걸 제외하면 체력 자체는 일반 셔먼보다 약간 나은 수준에 화력도 브룸베어에 비하면 부족한 수준이지만 빠른 연사속도와 회전포탑의 특성상 움직임이나 운용이 상당히 유연한 편이다. 그리고 미국 특유의 승무원 하차 시스템 또한 피해를 입었다싶으면 빠른 스피트로 전장에서 이탈한 뒤 바로 수리해서 투입하는 등 큰 장점인 편.
그리고 불도저는 그저 장식이 아니라 스킬로 흙을 밀어서 장애물을 만들거나 없앨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흙더미는 보병에게 엄폐물을 제공하고 차량의 이동을 방해한다. 모래주머니나 전차장애물이 짓거나 없애는데 시간이 오래걸려서 후반엔 짓다가 공병이 떼몰살 당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지만 이쪽은 잠깐 슥슥하면 만들거나 부술 수 있다는게 큰 장점.
후반으로 넘어가면 적의 기갑전력 상대로는 샌드백에 불과한데다 지휘관 자체가 기름 소모가 심해서 팀전이나 어지간치 유리한게 아니면 잭슨을 뽑을 기름이 남아나지가 않으므로 미리 대전차를 분담해줄 유닛 준비는 필수로 대전차포나 같은 지휘관에서 나오는 M10 울버린 등으로 대전차을 커버하다 여유가 생기면 잭슨으로 갈아주는게 좋다.
  • M2 상부 기관총 : 70뮤니를 소모해서 50구경 중기관총을 달아준다.
  • 라디오 통신 : 다른 셔먼들과 동일한 효과로 다만 이쪽은 3대 이상이 빠글빠글 모일 일은 거의 없다.
  • 연막탄 투하 : 30뮤니로 지정된 위치에 연막탄을 4발 발사한다.
  • 장애물 건설 : 불도저로 흙을 밀어서 장애물을 생성한다.
  • 장애물 철거 : 장애물 건설로 만들어진 흙더미를 없앤다.

1.5.14. M7B1 프리스트 자주포


[image]
★ : ​Unlocks the 'Creeping Barrage' ability
★★ : Improved battlefield surveys increase shell accuracy and rate of fire
★★★ : ​​​Experienced forward obsevers improve max range
보병 중대 지휘관을 선택하면 9CP 타이밍에 480맨파와 115기름으로 호출 할 수 있는 미국의 자주포.
다른 이동형 포격유닛들인 카츄샤,판저베르퍼와 다르게 로켓형 포격유닛이 아닌 105mm 곡사포를 얹었으며 지정한 위치에 몇발을 포격하는 형식인 유닛이다. 장전시간과 차탄 발사 시간이 미묘하게 길며 인구수를 많이 잡아먹고 생산 비용도 비싸지만, 기본적으로 발사 가능한 105mm 포탄은 보병을 무더기로 날려버릴 수 있으며 명중률이나 관통력 또한 발군이기 때문에 가만히 멍때리고 있던 적의 차량이나 전차들에게도 상당히 아픈 피해를 때려박아줄 수 있다. 특히 고정형 진지나 서부전선군의 트럭을 두들겨줄때도 효과적인 편.
보통 게임 스피드가 빠른 1대1이나 소규모 팀전보다는 대치전이나 서로 전선이 고착화되는 판이 많은 대규모 팀전에서 자주 튀어나오며 포격 한번에 105mm 곡사포를 7발씩 쏘아대는데 이 포격 화력이 상당히 강력하기 때문에 적 방어선을 걷어내는데 특효약이다.
게다가 이리저리 돌아다닐 수 있는 자주포인데다 전차포 한방에 바로 고철이 되는 다연장과는 다르게 그래도 차체가 셔먼이라고 2대 맞아야 터지므로 대포병 사격이나 테러에 조금은 더 버틸 수 있다. 대신 그 대가로 고정형 진지에 비해 자체 포격의 폭발범위나 사거리는 밀리는 편. 그래도 포격 산탄도를 줄이려면 전선 가까이까지 가서 사격하는게 좋으므로, 잘 보호하고 사격이 끝나면 바로 뒤로 빼주는 것이 안전하다.
  • 105mm 곡사포 포격 : 지정 위치에 포탄을 7발 발사한다. 발사 도중에는 움직일 수 없고 도중에 움직이거나 하는 식으로 취소되면 쿨타임이 생각보다 뼈아프므로 위치를 잘 잡고 쏘는 것이 좋다.
  • 이동 탄막 포격 : 50뮤니를 소모해서 일직선상의 범위에 포탄을 순차적으로 떨어트린다. 위력 자체는 뮤니를 잡아먹는 것과는 다르게 일반 포격과 동일하고 워킹 슈투카의 그것과는 달리 한방한방이 상당히 느리게 떨어져서 대박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산탄도가 좁아져서 명중률이 올라가고 연사력도 일반 포격에 비해 빨라지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후려쳐야 할 대상이 있거나 적이 유닛들을 일직선상으로 좌악 펼쳐놓은 상태라면 이쪽이 더 나을 수도 있다.

1.5.15. 셔먼 칼리오페


[image]
★ : ​Improved mobility and increase rate of fire
★★ : Improved weapon range and rate of fire
★★★ : ​​​Reduce scatter and improved rate of fire
전술지원 중대나 도시강습 중대 지휘관을 선택하면 380 맨파워와 115연료로 호출할 수 있는 다연장 로켓. 셔먼 위에 다연장로켓을 얹은 물건이라 장갑이나 체력이 좋다.
경야포나 프리스트와 같은 기존의 미국 포병자산이 주기적으로 적을 공격하는 타입이라서 첫방을 먹이지 못하거나 하면 건물이나 진지 같은 고정자산 외에는 효과적으로 보병과 차량에 타격을 주기 어려웠는데, 그것을 보완해줄 수 있는 유닛이다. 후반 서로간에 우주방어 + 포격전에서 오프맵 폭격에 의지하면 미국의 포격력을 크게 보완해줄 수 있는 유닛. 도탄 데미지도 있어 전차에도 약간 이지만 데미지가 들어간다.
카츄샤와 비슷하게 3번에 걸쳐 포격하며, 카츄샤에 비해 큰 탄두를 좀 더 많이 발사하는데, 마지막 3번째 사격에서는 현저히 적은양의 탄을 발사한다. 다른 로켓포 차량들과 비견되는점은 셔먼차체라 '''더럽게 튼튼하다.''' 물론 일반적인 중형전차 수준이지만 이녀석은 일단 자주포이다. 카츄샤나 판저 베르퍼가 대전차화기 한두방, 심지어는 딱총에 맞고 그대로 가는것에 비해 칼리오페는셔먼과 똑같은 장갑/맷집을 갖고있어, 심지어는 독일군이 판터를 우겨넣어 잡으려고 시도해도 AT건과 바주카 세례에 판터가 먼저 터져버린다.
포격지원 차량이 튼튼해봤자 어디쓰냐고 물을수도 있겠지만, 이런 무식한 방어력은 소규모 우회병력들에게서 지원이 올때까지 살아남거나 대포병 사격의 위협을 줄여준다. 게다가 전차취급이고, 차체 동축 기관총까지 달려있어 여차하면 맨크러쉬를 시도하며 발악도 가능하다.
다만 이번작에서도 주포가 장식이라 동축기관총 하나 빼면 적에게 저항은 못 한다. 전술지원 중대가 택티컬 서렌더라고 욕을 얻어먹는 이유의 주범으로 거듭된 너프와 단점 때문에 보기가 힘들어 졌다. 체력이 480으로 줄어들고, 2회 포격에서 3회 포격으로 변경으로 인한 화력 집중도 하락. 타 진영의 다련장포보다 작은 폭발범위(칼리오페 4, 카츄샤,판처 베르퍼,랜드 매트리스 6, 워킹 슈투카 8) 성능에 비해 비싼 연료비용 등등 여러 단점들의 시너지 때문에 사용 하기가 힘든 유닛. 랜드 매트리스의 로켓 크기보다 2.4배 정도 큰데도 폭발범위가 작다. 심각할 정도로 쓰기가 힘들어서 유저들의 버프 요청이 많다. 하다 못해 주포라도 사용하게 해달라는 버프 요구안도 있는 편.
다른 다연장에 비하면 40~50기름은 비싼데 전혀 밥값을 못하는게 문제. 183mm 로켓을 7발-7발-4발 순으로 쏟아붓는데 로켓의 범위가 좁은데다 연사속도가 느려터져서 살상력이 매우 떨어진다. 승무원 승하차가 불가능하다.[23]
비인기 유닛으로 남는가 했는데 패치로 크게 상향 되면서 평가가 달라졌다. 체력이 400으로 줄었지만 로켓 18발을 연속으로 쏘게 바뀌었고 원거리 보정 증가, 폭발범위 증가, 가격 하락등 많은 버프를 받아서 보병을 잡는 모습이 전과 다르다는 것을 바로 느낄 정도다. 다만 폭발범위는 증가 되어서도 타 다련장 유닛보다 1정도 낮기 때문에 시야 밖에 있는 유닛을 잡을 때에는 미묘하게 약간 못잡는 느낌이 들지만 유저들은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는 평가.
  • 183mm 로켓포격 : 해당 위치에 183mm 로켓을 18발 발사한다. 특성상 적의 방어선을 한번 갈아엎어줄 때 효과적이며 판저베르퍼나 카츄샤보다 발사 횟수가 많고 발사 소음이 작아서 멋모르고 보병들을 뭉쳐다니다가 단체 떼몰살을 보여줄 수 있다.

1.5.16. M26 퍼싱 중전차


[image]
★ : ​Improved acceleration
★★ : Improved training increases vehicle mobility, The crew will defend the tank with grenades and improve reload times
★★★ : ​​​Improved weapon accuracy and rate of fire
중기갑 중대를 선택하고 12CP를 달성시 630맨파와 230기름으로 외부지원으로 호출할 수 있는 중전차.
다른 헤비탱크와 마찬가지로 두대이상 호출 불가능하다.
일단 명칭이나 포지션이나 중전차에 해당하지만 다른 진영의 중전차와는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지는데, 다른 연합군 중전차인 처칠과 IS-2가 떡장갑에 굼뜬 탱커라면 퍼싱은 코멧이나 판터같은 딜탱형 고속기동 극딜러로 포의 연사력과 관통력 이동사격 보정, 장갑, 가속도와 최대속도 다 훌륭하지만 체력은 960으로 중전차치곤 그저 그렇다는게 큰 단점.
즉 '''미군의 중전차는 미군의 특성을 발휘해서 낮은 체력을 대가로 뛰어난 화력과 유연성을 손에 넣었다.''' 체력이 워낙 허약해 판터와 붙어도 승리를 장담하기 힘들고 티거급 이상의 중전차와 정면승부를 하면 매우 불리하므로 다른 일반적인 중형전차보다 긴 사거리와 특유의 기동력을 살려 치고 빠지는 식으로 조심스럽게 다뤄야 한다. 제병연합을 킬 경우 사거리가 길어져 더욱 활용하기 좋다.
그래도 3베터런시에 재장전이 -50%나 붙기 때문에 3벳 퍼싱의 화력은 티거도 씹어먹을 정도로 막강해진다.
그외에 상부 기관총을 장착할 수 없지만 기본 스킬로 '''고속철갑탄(경심철갑탄)'''을 가지고 있어 50 뮤니로 강력한 일격을 먹일 수 있다.[24] 2 베테런시 부터는 '''자동으로 주위에 수류탄을 까서''' 적 보병의 접근을 원천봉쇄한다.
해치에 용접이라도 해놨는지 승무원 승하차가 불가능하다.[25] 그래서 미국 기갑의 최대장점인 빠른 수리 및 전장 투입이 어려운 편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후방부대를 오래 살려놓거나 다른 전차 승무원을 이용하는등의 번거로운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원래는 3벳 주포 한방에 보병 떼거지를 순식간에 날려버렸으나 체력 상향을 대가로 너프를 골고루 먹고 사실상 공격력, 관통력, 전면장갑이랑 대보병 능력이 늘어난 대신 미친듯이 늦게 나오고 비싸지고 인구수 늘어난 이지에잇이 되버리면서 버프가 요원해진 상황.
동급으로 취급되는 타 중전차에 비해 불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생존력
IS-2 : 전면장갑 340/1040HP
티거 : 전면장갑 300/1040HP
퍼싱 : 전면장갑 270/960HP
화력
IS-2 : 폭발 범위 5. 2베테런시에 사거리 40에서 50으로 증가, 재장전 30% 감소.
티거 : 폭발범위 3.5. 2베테런시에 사거리 45에서 50으로 증가. 재장전 30% 감소
퍼싱 : 사거리 증가 '''없음'''. '''3베테런시에''' 재장전 30% 감소.
기동력
IS-2 : 최고속도 5. 3베테런시에 기동력 전반 20% 증가.
빙판 속도보정 60%
티거 : 최고속도 5.2. 3베테런시에 기동력 전반 20% 증가. 빙판 속도보정 60%.
퍼싱 : 최고속도 6. 1베테런시에 '''가속력만''' 30% 증가. 빙판 속도보정 '''15%'''
여담으로 포 발사 할 때 2초 후에 포탑 좌측에서 탄피 배출구가 열리며 탄피가 버려진다. HVAP 탄 스킬도 동일시로 탄피가 버려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M93 고속철갑탄 사격 : 50뮤니를 소모해서 지정위치에 고속 철갑탄 1발을 발사한다. 잭슨처럼 버프용이 아닌 파이어플라이의 튤립 로켓에 가까우며 사거리가 길고 장애물을 관통한다는 특성으로 도망치거나 벽 뒤에서 수리중인 딸피 전차를 저격하거나 재장전 단축시간을 이용해 급할때 주포 한방쏘고 극딜기로 추가타 한방 더 박는 용도 등의 활용도가 높다. 단 1방 쏘는데 50뮤니는 부담스러운 편.
  • 승무원 수류탄 투척 : 2벳 달성시 생기는 패시브 스킬로 코멧처럼 주기적으로 주변 적이 감지되면 해치를 열어서 수류탄을 투척한다. 코멧보다는 던지는 구간이 긴 편이지만 사거리는 긴 편.

1.5.17. 전투 진지


후방 분대나 보병중대의 소총수 분대가 150맨파를 주고 건설할 수 있는 방어 진지로, 1개 분대가 주둔할 수 있는 간단한 원형태의 참호다. 단, 서부군의 참호와는 달리, 화기 운용반은 주둔할 수 없다.
탄약 60을 지불하여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을 탑재할 수 있으며, 다른 기관총 진지처럼 NPC 1명이 이를 조작한다.
특이하게도 후방 분대가 주둔하게 되면 M7 총류탄 발사기가 달린 M1 개런드 소총 한자루를 사용하게 되는데, 사거리는 조금 짧지만 적 보병에게 제법 쏠쏠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덕분에 M2 기관총 진지로 변환한 후에는 기관총이 제압을 걸면, 후방 분대가 그 자리에 총류탄을 쏘는 효율적인 전투가 가능하다.
타 진영의 진지와 마찬가지로 단순한 참호기 때문에 곡사무기나 폭발물에 굉장히 취약하며, 장갑차나 대전차포는 물론 우회해서 돌아온 화염방사병에도 쉽게 박살날 수 있으니 주의.[26] 미군 특성상 병력을 나누기가 쉽지 않고 깃돌이로 돌아다니는 후방분대가 너무나도 약하기 때문에 손 많이가는 후반에 주요거점 알박기로 건설하여 상대방의 신경을 긁는데 사용하는 편.
혹은 적 기관총이 주둔하기 쉬운 건물들이 많은 맵에서 적의 공격이 애매하게 닿지 않는 담벼락 뒤에 지어놓고 총류탄을 쏘아대서 건물을 두들겨대는등의 활용도 충분히 가능하다.

[1] 사실 유일하게 모든 보병이 이동사격을 할 수 있는 추가무장 자동화기다. FG42는 팔쉬름야거만 장착할 수 있으며 경기관총은 극히 일부병종만 이동사격이 가능하다.[2] 창문이 3개만 되도 근거리에선 서독 돌격공병이 후방부대에게 높은 확률로 발린다[3] 서독전에서 미군의 가장 큰 초반 문제는 소총수는 특정 커맨더를 선택해야만 샌드백을 쌓을 수 있는 반면, 국척은 샌드백을 제약 없이 쌓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근접전에서 질 가능성이 높은(근접하면서 데미지를 입기 때문에 기습이 아닌 이상 거의 분대원 하나를 잃고 시작한다고 보면 된다) 소총수가 샌드백 쌓고 버틸 수도 없으니 미군 플레이어 입장에선 답답할 노릇.[4] 중위나 대위를 뽑고 업그레이드를 마친 상태, 혹은 쌍장교를 뽑았거나[5] 소령은 호출하지 않아도 된다.[6] 통상탄은 +4 로 16->20. 철갑탄 장전 시 +5로 20->25[7] 팍이나 라케텐보다 약 20%정도 더 빠르다[8] 모 게임에서 APCR이라고 표기하는 그 탄종으로, 관통성능 향상을 위해 탄심에 텅스텐을 섞어넣은 포탄이며, 미국의 '고속철갑탄(HVAP)'에 해당하는 탄종이다.[9] 단, 데미지나 모듈 파괴 확률을 늘려주는 것은 아니니 주의할 것.[10] 300 관통력으로 직격 시 4호 전차(180~234/90), 4호 구축전차(230/80)는 물론이고 판터(260/90)와 티거(300/140)까지 직격 시 100% 관통시킨다. 데미지도 상당히 들어간다. 보병에 대한 데미지까지 증가된다. 다만 탄속이 느리다는 것이 문제[11] 실제 태평양 전선이나 북 아프리카 전선에는 M4A2가 배치되었었으며, M4A3가 배치된 것은 서유럽이 전부다. 태평양 전선에서 싸웠던 미 해병대 또한 M4A2를 가져갔다.[12] 2015년 7월 22일 패치로 콜인 전차에서 0cp 일반 생산 전차로 바뀌면서 소총 중대여도 반드시 소령찍어야 이지에잇을 사용할 수 있다.[13] 사실 이지 에잇이 나빠졌다기 보다는 잭슨이 반응성 패치를 비롯한 다양한 편의성 패치로 굴리기 편해진 것도 한 몫 했다.[14] 원래는 일정 거리 이하면 '''직사로 쏴버려서''' 더욱더 무서웠는데 패치로 곡사포 계열은 직사가 안되도록 바뀌었다.[15] 앞서 57mm 대전차포 쪽에서도 설명했지만, APCR과 같은 탄이다.[16] 때문에 기동해야하는 공간 역시 필수적. 구석에 몰리면 죽는다.[17] 단, 판터가 추가 장갑 불레틴을 장착하고 2베테런시를 달성해 쉬르첸을 장착하면 3베테런시 잭슨의 최소관통력인 286보다 전면장갑 수치가 높아져 최대사거리에서는 절대관통을 당하지는 않게 된다.[18] 장교 밸런스패치라는 미명 하에 미국 죽이기의 일환으로 몰수당했다.[19] 패스파인더의 시야 불레틴을 추가로 장착하면 52.5시야의 중화기 분대가 된다.[20] 장갑차 한개 크기 수준으로 줄어든다[21] 단 차체는 돌려야한다.[22] 320이며, 일반적인 대전차포 2방이나 판져슈렉 3방에 터진다.[23] 어밴던된 뒤 재탑승 시에는 승하차가 가능하다.[24] 이 지형 관통탄은 튤립로켓 짭이다. 기본 공격력보다 강력한 240의 데미지 탄을 발사하며, 적 건물과 차량을 제외한 모든 것을 통과한다. 이 스킬은 '''주포의 쿨다운과는 무관'''하므로 연속공격으로 순식간에 240+160의 데미지를 먹일 수 있다.[25] 어밴던된 뒤 미군이 재탑승 시에는 승하차가 가능하다, 버그가 아니라 소환 시 승하차 불가능 트리거가 어밴던으로 중립화 시 지워지기 때문이다.[26] 다만 서독의 라케텐베르퍼는 베터런시가 없으면 사거리가 짧아서 재수 나쁘게 역으로 털릴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