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터키 관계

 



[image]
[image]
'''터키'''
'''폴란드'''
1. 개요
2. 역사적 관계
3. 문화 교류
4. 대사관
5. 관련 문서


1. 개요


양국은 오스만 제국폴란드-리투아니아 시절부터 수교했다. 터키내에도 폴란드계 터키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2. 역사적 관계


양국 모두 역사상 국력의 절정을 누렸던 16-17세기 근세에는 현대 우크라이나 남부 평원 일대를 둘러싸고 각각 크림 칸국과 자포로제 카자크를 대리 봉신 세력을 내세워 서로 치열하게 전쟁하던 아치라이벌 격인 사이였다. 봉신국 크림 칸국과의 전쟁 이외에 직접 맞붙은 전쟁만 해도 1443년 불가리아 바르나 십자군, 폴란드-오스만 전쟁(1485–1503) , 몰도바 전쟁으로 시작해서 17세기에는 1620년부터 1621년까지, 1633년에서 1634년까지, 또 1672년부터 1676년까지, 뒤 이어 1683년에서 1699년까지 사실상 수십년 내내 전쟁을 벌이던 적국 관계였다. 1683년의 빈 공방전이 유명하긴 해도 실질적으로 헝가리가 무너진 이후 오스만 상대로 탱킹하던 주력 육상 세력은 종교개혁의 여파로 인한 독일 문제로 바쁘던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보다 폴란드-리투아니아에 가까웠다.
결국 2차 빈 공방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폴란드군에게 궤멸적인 타격을 입고 유럽 영토 상당수를 오스트리아에 빼앗기면서 양국 간 전쟁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18세기로 넘어가며 두 나라 모두 국운이 쇠퇴하고 프로이센, 러시아 같은 신흥 열강에게 시달리는 입장으로 바꾸면서 동병상련이라도 들었는지, 결정 당시 큰 영향은 못주었지만 오스만 제국은 일부러 17세기 중반 이전 프로이센이 폴란드의 봉신이었던 시절 그대로인 마냥 외교적 자리에서 프로이센 대사를 하석에 배치하는 등 의도적 결례까지 보이며 폴란드 분할에 큰 불만을 표시했다.
이후로도 19세기 낭만주의적 민족주의 혁명의 시대에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의 압력에도 불과하고 일부로 폴란드, 헝가리 민족주의 혁명가 망명객들을 받아들이고 우대하는 등 러시아 견제 차원에서 직간접적으로 폴란드 독립 운동을 종종 지원했다. 18 ~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 귀화한 폴란드인의 수는 수만명에 달했으며 1차 세계대전 이후 폴란드가 독립하면서 대부분은 폴란드로 돌아갔지만 일부는 터키에 남는것을 선택, 수천명 정도의 폴란드계 터키인들이 현재까지 터키에 거주하고 있다. 이스탄불외곽에 폴로네즈쾨이(Polonezköy)라는 과거 폴란드 망명자들이 살던 마을도 남아있다. 때문에 양국 모두 종교적 대중주의에 기반한 우파 정권이 장기집권하고 있는 현대에서 의외로 양국간 관계는 교류도 많은 편이다.

3. 문화 교류


오늘날 터키가 저렴한 물가와 풍부한 볼거리로 유명해지면서 공산권 해체 이후 폴란드 경제가 회복된 이후 폴란드인들의 인기 관광지로 각광받았고 있다.

4. 대사관


폴란드 바르샤바에는 주 폴란드 터키 대사관이 있으며 터키 앙카라에도 주 터키 폴란드 대사관, 이스탄불에 총 영사관이 있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