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츠커상
1. 개요
'''Pritzker Architecture Prize'''
http://www.pritzkerprize.com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는 하얏트 재단에서 매년 "건축예술을 통해 재능과 비전, 책임의 뛰어난 결합을 보여주어 사람들과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한 생존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건축계 분야 인사에게 최대의 영광으로 인식되는 건축상으로, 근현대 건축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가들이 수상했다.
2. 역사
1979년, 미국인 사업가인 제이 프리츠커(Jay A. Pritzker)와 그의 아내 신디 프리츠커가 설립했다.
이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는 하얏트 재단에서 수상자를 발표하며,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 상인 RIBA 로얄 금메달이나 미국 건축가 협회 상인 AIA 금메달에 비하면 역사가 짧지만, 현재는 건축계 분야 인사에게 최대의 영광으로 인식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건축상이 되었다. 한편으로 2014년 이후부터는 수상자들의 경향이 공공 건축과 사회적 건축에 기여한 건축가가 수상하기 시작하면서 그 경향이 변했다.
3. 수상
수상식은 매년 5월에 개최된다. 수상식의 개최지는 매년 바뀌며, 건축적으로 유명한 장소에서 개최된다. 2020년애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첫 온라인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수상자의 국적, 인종, 교리, 이념과 상관없이 수여하고, 수상자는 10만 달러와, 1987년도부터는 시카고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Louis Sullivan)이 디자인한 청동 메달을 수여받는다. 그 이전에는 메달 대신 핸리 무어(Henry Moore)가 제작한 한정판 조각상을 각각의 수상자에게 수여했었다.
4. 한국의 상황
한국 건축가들은 한국인은 이 상을 못 받을 것이라고 한숨을 쉰다. 한국이 기본적으로 건축가들이 먹고 살기 어려운 환경인 데다가 몰개성한 성냥갑 아파트만 가득 넘치고 공공건물 설계는 대부분 외국 건축가들에게 맡기는 한국에서 과연 이 상을 받는 건축가가 나올 수 있겠느냐는 것. 땅콩집으로 알려진 건축가 이현욱은 '''일본이 단지 선진국이라 프리츠커상을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받고 일본 건축가들을 해외에서 알아주는 것일까''' 하면서, 한국 건축계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위 두 요소를 차치하고 한국 건축의 구조적 모순이 있다. 한국의 공공건축은 일정 규모가 충족이 되지 않으면, 건축가는 보통 수의 계약을 통해 일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 또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정치가의 욕망에 따라 외국 건축가가 상황에 맞지 않은 랜드마크를 짓고 떠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5. 역대 수상자
5.1. 연도순 정렬[5]
5.2. 국가별 현황[6]
5.3. 대학별 현황[7]
[1] 1988년은 10주년 기념, 2001년, 2010년, 2017년, 2020년은 파트너로 일하기 때문에 공동 수상이 되었다.[2] 후에 해당 국가 시민권을 얻은 수상자도 포함. (2명 이상만 기재)[3] 수상자의 학사, 석사, 박사를 취득한 고등교육기관의 합계. 같은 대학에서 여러 학위를 딴 경우는 한번만 카운트. (2회 이상만 기재)[4] 첫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필립 존슨이 설계[5] 1988년은 10주년 기념, 2001년, 2010년, 2017년, 2020년은 파트너로 일하기 때문에 공동 수상이 되었다.[6] 후에 해당 국가 시민권을 얻은 수상자도 포함. (2명 이상만 기재)[7] 수상자의 학사, 석사, 박사를 취득한 고등교육기관의 합계. 같은 대학에서 여러 학위를 딴 경우는 한번만 카운트. (2회 이상만 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