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버스 9202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하남시 직행좌석버스 9202번
기점
경기도 하남시 감일동(감일스윗시티1단지.단독주택1단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학동역)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5:50
막차
22:20
막차
23:10
평일배차
출퇴근 8분/평시 15분
주말배차
25~30분
운수사명
경기상운
인가대수
11대
노선
감일스윗시티1단지.단독주택1단지 - 감일스윗시티4단지.제일풍경채 - 감일스윗시티12단지 - 감일교차로 - 스타필드시티·위례스타힐스 - 위례중앙푸르지오·신안인스빌 - 플로리체위례 - 위례센트럴푸르지오·위례푸른초등학교 - 위례새초롱유치원 - 창곡교차로 - 위례터널 - 은곡마을·LH이편한세상 - 세곡푸르지오 - 헌릉IC교차로 - 헌릉로 - 청계산입구삼거리 - 코트라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 뱅뱅사거리 - 신분당선강남역 - 지하철2호선강남역 - 논현역 → 신사동사거리·신사역 → 신사사거리 → 신사동고개 → 강남을지병원 → '''_학동역(회차)_''' → 논현동사거리·학동역 → 영동시장 → 논현역 → 이후 역순

2. 개요


경기상운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감일, 위례신도시강남권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배차간격 단축을 위해 2017년 3월 15일에 '논현역 → 신사역 → 신사동고개 → 압구정역(3번 출구) → 신사중 → 신사역 → 논현역' 구간이 '논현역 → 신사역 → 신사동고개 → 학동역 → 논현역'으로 변경되었다. 하남시 공지사항 다만, 차내 노선도는 며칠 전부터 미리 노선변경 후의 것으로 바꿔 놓았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5월 14일에 위례중학교.엠코타운센트로엘 대신 위례중앙푸르지오.신안인스빌 경유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강남역에서 가로변 정류장이 아닌 중앙차로 정류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6월 18일에 기점이 위례동주민센터에서 스타필드시티 위례[1]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 29일을 기해 23:00였던 기점 막차시각이 22:20으로 40분 앞당겨졌다.
  • 2019년 12월 2일부터 운행대수가 1대 증차됐다.
  • 2020년 1월 23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면서 '세곡푸르지오 - 양재시민의숲' 구간을 무정차 통과하고, 번호도 9202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 2020년 3월 16일부터 코트라 정류소에 정차한다. 관련 게시물 가입 필요
  • 2020년 12월 24일부터 '스타필드시티위례 - 감일스윗시티1단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4. 특징


  • 원래 계획은 광역버스였으며 번호도 33번이 아닌 3400번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서울시에서 광역버스 인가를 허가하지 않았고, 세곡지구 대책을 명분으로 일반버스로 계획을 변경하자 개통이 성사되었다.
  • 440번과 'LH푸르지오 - 신사동고개' 구간이 겹친다. 하지만 헌릉로상 정류소들을 통과해서 9202번이 더 빠르다.
  • 위례신도시에 입주가 진행된 구역 중, 하남시 구역의 비중은 적어서 사실상 아웃하남 노선에 가깝다. 이 문제는 하남시 구역의 비중이 거의 절반에 육박하는 북위례 아파트들이 입주하면 노선 조정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 하남공영차고지에서 차량을 관리하고 있어 공차거리가 어마어마하다. 공차회송할 때는 '송파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중부고속도로 - 하남IC'를 이용하는데 요금소가 있어서 일일이 돈을 내고 공차회송을 하지만, 가스 충전은 사송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경기광주 500-5번 이후로 2번째로 강남역에 들어가는 경기도 일반 시내버스였으며, 최초로 서울 논현동, 신사동에 들어가는 경기도 일반시내버스 노선이었다. 그리고 이 회차구간은 남성교통 소속 구 66번(개편후 4421번)과 동일하며 현재는 이 방식으로 회차하는 유일한 노선이다.[2]
  • 33번 일반시내버스 시절에는 30번 출신 16년식 NEW BS106 디젤차량으로 운영했다. 대신에 30번에 NEW BS106 가스 신차가 투입되었다.
  • 9202번 광역버스로 전환된 현재는 9303번 출신 FX II 116 디젤차량과 대원버스 출신 FX116 하모니 디젤 차량으로 운행한다.
  • 위례터널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였으나 9200번이 개통하며 타이틀이 깨졌다. 그 외에도 밀리토피아부터 세곡푸르지오까지의 구간이 전부 일치한다.
  • 위례중앙푸르지오(서울)/신안인스빌(하남) 경유로 변경되면서 서울특별시와 하남시의 경계를 두 번 거치게 되었다. 이때 이후로 증차가 자주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30번에 마지막으로 남은 부산중고 대차분 2대[3]를 가져와 10대로 증차되었다. [4] 다만 위례중앙푸르지오/신안인스빌 경유로 운행거리가 더 길어져 배차간격은 개통당시에 비해 많이 좁혀지지 않았다. 이후 1대를 추가로 증차했다.[5]하지만 2019년 들어서 4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개통 초기 압구정역 회차 시절 수준으로 벌어졌다. 2019년 12월에 30번에서 1대를 가져와서 개통 초기 대수인 8대로 채워졌다.
  • 서울, 성남, 하남의 세 행정구역이 모두 존재하는 위례신도시 특성상 앞으로도 서울시와 하남시의 경계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이 계속 추가될 것으로 전망되는 노선이다. 현재도 2개 정류장이 서울과 하남에 겹쳐있는데, 하남시 구간인 북위례 구간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서울과 하남이 만나는 경계선이다. 굳이 따지자면 대체로 강남으로 나가는 방향 정류장의 행정구역은 서울이고, 위례로 들어오는 방향의 정류장은 행정구역이 하남이 되는 구조다.
  • 2020년 11월, 삼흥고속에서 운행하던 유니시티 디젤이 이 노선의 예비차로 투입되었다. 경기도 공공버스 신도색을 하고 투입되었다.[6]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인가상 기점이 위례신도시에서 감일스윗시티로 연장되었고, 2020년 12월 24일부터 실제 기점도 감일스윗시티로 연장되었다.
  • 9202번으로 전환된 이후 출퇴근시간이 아니면 공기수송을 하는 중이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A]
1,976
2019년[A]
2,245
△ 269
'''주말'''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A]
977
2019년[A]
944
▽ 33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당시에는 위례동이마트로 계획 중[2] 압구정역까지 경유하던 시절에는 개통 한 달전 폐선된 경기광주 6800번과 회차경로가 동일했다.[3] 8235, 8315호로, 광역버스 전환 이후 모두 30번으로 되돌아갔다.[4] 공백분으로 30번에 NEW BS106 가스 신차가 또 투입되었다.[5] 다만 이때도 실제 운행 댓수는 8~9대에 불과했다.[6] KD운송그룹 전체를 통틀어서 단 1대뿐인 유니시티로, 태화상운에서 출고된 차량이다. 태화상운은 선진고속에 시외부를 매각했으며, 선진고속이 노선을 매각할 때 같이 받아온 것이다. 청주(시외) - 조치원 - 봉암리 - 세종시 - 공주 - 부여 완행 노선에 집중 투입되었다.[A] A B C D 시내버스 33번 승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