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해저터널
1. 개요
한국 서해안과 중국의 웨이하이 사이를 지하터널을 파서 잇자는 구상안. 구체적 안으로 여러 가지가 거론되고 있다.
- 인천 - 웨이하이 (364km)
- 평택 - 웨이하이 (375km)
- 서산 - 웨이하이 (325km)
- 옹진반도/장산곶 - 웨이하이 (200km): 그나마 가장 경제적이지만 통일이 안 된 상태에서는 사실상 불가능.[1]
[2]
이 중 한일 해저터널을 빼고는 공교롭게도 '''2008년 2월 이후'''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되었다.
경기도에서 내린 자체 분석에 의하면 위 4안 중 두번째 평택안의 경우 공사비 '''80조원'''에 20년 정도 걸려야 완성될 것이라고 한다.(평택안을 미는 경기도에서 내린 분석임을 유념할 것)
이런 큰 규모의 터널 뚫기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부작용이나 재앙이 닥칠지 전혀 검증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 그러나 황해안의 지질은 대륙붕 지질로 수심이 얕은 것이 특징이고[3] , 단층대도 없어 비교적 안정적이다. 따라서 공사는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침매터널 방식[4] 도 고려할 만하다. 다만 침매터널 방식은 물의 흐름이 안정적인 연안에서만 건설이 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어려움이 있기는 마련이다. 무엇보다 한중해저터널을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점은 '''거리'''다. 거리가 무려 300km를 넘는데, 돈이 많이 안 들 리가 없다. 다만 기존의 해저터널이 아니라 해중터널 기술을 개발한 뒤 이 방식으로 짓는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도 있다. 해당 항목 참고. 또 다른 방안으로는 서해안에 여러 개의 인공섬을 만들고 다리를 연결한다는 방안도 있다.
또, 정부기관이 공사비를 발표할 때 실제보다 줄여서 내는 경향이 있다는 걸 보면, 위 공사비 규모는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운하 관련 공사비에 관한 정부기관 발표와 민간기관 발표 사이의 간격이 매우 컸다.
경기도가 내놓은 '한중 해저터널의 공사 착공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동북아 단일경제권의 가시화
- 강력한 정치 지도자의 장기 집권
- 전문가 그룹의 지속적인 지지
- 국민적 합의
경제적 효과의 경우 한국이 볼 피해보다는 이득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 관련기관의 사업성 분석은 정부의 손을 들어주기 위해 과장이 횡행한다는 것이고, 정부기관과 이해관계가 없는 민간단체 평가가 있기 전에는 사업성 조사는 믿을 수가 없다는 말이 있으나, 일단 나와있는 유일한 발표인 데다가,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정부는 생각보다 치밀하다. 정말로 이득이 클 수도 있는 것이다.
역발상 토론회가 2008년 초 있었는데, 도버해협 지하터널의 경우 공사비가 기존 예상치의 '''세 배'''가 들었으며 경제적 효과도 별로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는 의견이 제출되었다. 프랑스와 영국 사이 거리는 50 킬로미터로 한중 터널보다 훨씬 짧다.
건설 기간이 20년이므로 '''짓는 중 새로운 공법이 탄생할 것이기 때문에 기술적 문제는 없다'''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참고로 이런 식으로 기술 발전 믿다가 일이 커져 또다시 문제가 제기된 일은 전 세계에 수도 없이 많다.
토건 국가 지향성의 정부 출범 직후 '''분위기 타서''' 밀어붙여서 해보자는 양상이었으나, 이후 각종 시끄러운 사건사고들과 높아지는 반중 감정 분위기로 뒤숭숭해진 뒤 잠잠해졌다. 사회적으로 조용해지면 조만간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2008년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한중해저터널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다음과 같은 발언을 하였다. "한중해저터널 건설은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고 '''경비도 많이 안 든다'''." 물론 황해의 수심이 얕은 점과 침매터널 방식도 써볼 만하다는 점이 있어 아주 이상하게 볼 말은 아니지만 여러가지 난제가 산적한 것을 생각해보면 돈이 가외로 더 들 수 있다.
이에 대해 항공업계와 선박업계 등은 반대와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의 입장에서는 터널로 인해 이용객 및 화물운송의 절반을 터널에게 빼앗길 것을 우려하여 적자 및 경제적 타격을 입게 될 손실과 우려가 발생하는 입장에서 해저터널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시선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알고보면 한반도라는 지리적인 위치에서 하늘과 바다를 통해서 인파 및 물자수송이 이루어지는 편이었기 때문에 해저터널이 뚫릴 경우 이들의 절반 이상 또는 반 이상은 모두 해저터널로 돌려버리기 때문. 그 외에 한국이 반도국가이지만 중국과 지리적으로 격리된 것은 북한 때문인데 장기간의 터널 공사 중 갑작스런 북한 정권의 변동으로 북한이 개방된다면 철도와 도로망 연결로 터널이 순식간에 잉여가 될 위험이있다는 의견도 있다. 건설비가 워낙 천문학적이기 때문에(일단 추정치는 20년에 80조원인데 이 두세배가 들어갈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예를 들면 15년동안 열심히 만들고 있었는데 갑자기 북한이 개방된다면, 5년/20조원을 더 들여서 완성하느니 매몰비용 60조는 그냥 갖다버리고 북한 쪽으로 철도와 도로망을 놓는 것이 넘사벽으로 싸게 먹힐 것이다.. 혹은 완공 직후 북한이 개방되어버리는 캐안습 시나리오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나마 북한 지역을 경유해서 멀리 돌아가는 것보다는 '조금이나마' 더 가까울 테니 수요는 있겠지만, 선박/비행기와 경쟁할 때와는 차원이 다르다. 톨비로 터널 유지보수 비용이 나올지조차 의문인 상황일 테고 당연 공사비용 회수 가능성은 안드로메다로.
건설 규모상으로는 한중 해저터널보다 작으나 떡밥의 규모는 큰 것으로 한일 해저터널과 제주 해저터널이 있다. 이 둘은 한중 해저터널보다 거리가 짧아서 실현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떡밥의 규모가 더 크다고 봐야 할 듯하다.
이와 연계되어 나온 것이 인천-충청 해저터널 건설이다. 물론 두 지역은 육로로 멀쩡히 잘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엄청난 뻘짓인 것은 당연하다.
인천광역시나 서울특별시가 아닌 경기도에서 추진했기 때문에 한국 쪽 입구가 평택으로 나와 있다.
2011년 현재 국가 정부 기관의 연구 결과 한중 해저터널과 한일 해저터널 모두 경제성이 없다고 발표했다. # 망했어요.
한편 한중해저터널은 아니지만 실제로 황해를 가로지는 해저터널을 중국 정부가 구상중이다. 보하이 만을 가로질러서 랴오닝성 다렌과 산둥성 옌타이를 연결하는 길이 약 123km의 해저터널을 뚫은 다음에 시속 220km급의 고속철도를 부설한다는 "발해만 해저터널" 사업이다. 중국정부는 이 터널 건설로 화중 지방과 동북(만주) 지방 사이의 물류 운송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서, 침체에 빠진 동북삼성의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다. 늦어도 2020년 까지는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으로 공사비는 대략 3000억 위안(약 52조원), 공사 기간은 19년(!)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中, 세계최장 보하이 해저터널 건설 사업 내년 본격 추진 (2015년 기사) China Mulls Next Super Project: The Longest Undersea Tunnel (영어 기사) (2019년 기사)
2. 관련 문서
[1] 통일이 된다면 바로 중국과 국경을 맞대게 되는데 이런 터널을 짓는다는 건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보하이만을 빙 돌아가는 것에 비해 단축은 되겠지만 이 역시 경제성이 높다 볼 수가 없다. 그 보하이만도 발해만 해저터널이 구상되고 있어 더 짧아질 것이다. 베이징행은 발해만 해저터널도 필요없이 그냥 발해만 북쪽 경로로 가면 된다.[2] 규슈는 일본열도를 이루는 '''섬'''으로, 규슈 내에 7개 '''현'''이 있다. 또한 가라쓰는 '''사가현'''에 위치한 도시다.[3] 황해의 평균수심은 50m대로, 최고수심도 80m가 안 된다.[4] 해저 지반에 터널을 뚫어 통과하는 방식이 아닌, 해저 지반 위에 터널 시설물을 건설하여 통과하는 방식. 거가대교의 구간 중 하나인 가덕해저터널도 해당 방식으로 건설되어 현재 도로 터널로 사용 중이다.[5] 그러나 이는 일당독재국가가 아닌 이상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정치적인 문제를 보면 꼭 필요한 조항이다. 세계 어느나라건 보수/진보를 가리지 않고 스탠스가 다른 당으로 정권이 교체되면 당연하게도 스탠스랑 이념이 달랐던 이전 정권이 추친한 사업을 다 갈아 엎어버리는게 다반사기 때문이다. 영국의 브렉시트나 이전 FTA를 다 뒤집고 다니는 도널드 트럼프 항목을 보면 선진국이라고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만약 막대한 돈을 들여서 시작한 사업이 정권이 바뀐다는 이유만으로 흐지부지 된다면 결국 경기도만 막대한 손실을 떠안을 뿐이다. 여기에서 강력한 정치 지도자라는 말은 독재자의 출현이 아니고 여/야의 공동합의를 이끌어내서 설령 정권이 교체되더라도 사업을 지속시킬 정치적 수완이 있는 지도자의 출현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