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금
1. 개요
'''합금'''(合金)은 두 가지 이상의 금속을 녹여 첨가한 물질의 총칭이다.
다만 꼭 금속끼리만 합치는 건 아니고, 금속에 비금속 불순물(탄소, 규소, 인, 붕소 등)이 섞인 것도 넓은 의미에서 합금으로 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탄소+철 합금. 정확히는 인류의 제련 기술이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던 시점에서 강철은 합금이라 보기 애매하였다. 완전히 제거하기 못한 불순물에 탄소가 포함되어 있어 그 자체로 강철이었기 때문. 그러나 제련기술이 더 발달한 현대에는 불순물을 최대한 제거한 이후 추가로 탄소량을 조절하므로 합금으로 친다.
우리 주변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금속 재료는 대부분 합금이다. 어떤 물건이건 100% 한 종류 금속으로만 만드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순수한 알루미늄이나 철은 재료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강도가 형편없다. 보통 철은 탄소를 조절해 강철로 만들어 쓰고, 알루미늄은 두랄루민으로 만들어 쓴다. 탄소까지 완전히 제거된 철은 순철이라 부르며, 전기 분해를 거쳐 일반 제련보다 복잡한 생산과정을 요구하므로 특수한 용도로만 쓴다.
그중 예외는 구리로 만든 전선으로, 미량의 불순물을 제외하면 거의 순수한 구리다. 순금(24k)은 100%에 가까운[1] 금이지만 너무 비싸고 쉽게 손상되므로 장신구 제작에도 잘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장신구 제작시에는 금이 질량의 24분의 14(순도 58.5%) 함유된 14k, 또는 질량의 18/24(순도 75%) 함유된 18k 금을 많이 사용한다. 순은도 은괴에 사용하는 정도이며 너무 물러서 장신구 제작에는 순도 92%의 은인 스털링 실버 합금을 사용한다.
2. 상세
합금은 합치는 데 사용한 두 금속의 성질을 다 띄거나, 새로운 성질이 나타나거나, 이미 있는 성질이 크게 변하는 등 합금마다 특성이 다 달라 인류는 예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합금을 제조했다. 워낙 금속의 종류가 많고 섞을 수 있는 조합도 많아서, 2002년 기준으로 발표된 합금 종류는 128,540여 가지에 달한다.
물론 합금이라고 다 성질이 같은 건 아니다. 예를 들어 땜납은 녹는점이 내려가는 반면, 텅스텐 합금은 핵반응 장치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녹는점이 매우 높다.
합금을 할 경우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선 좋지 않고, 특정 원소의 경우 인체나 환경에 유해하기도 하다. 때문에 경제성을 충족 시키는 범위 내에서 합금원소의 단순화, 재활용이 용이한 원소로 대체, 합금 없이 추가 가공처리 등을 통해 기존과 같은 성질을 유지하면서 합금을 대체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추세.
대체적인 분류는 가융합금, 각형이력자성합금, 게터합금, 고도자율합금, 내산합금, 내식합금, 내열합금, 모합금, 발화합금, 비결정성합금, 수소저장합금, 자성합금, 초경합금, 초전도체, 형상기억합금 등이다.
3. 합금 목록
(가나다순)
- 갈린스탄: Galinstan(Gallium, Indium, Stannum의 합성어). 이름처럼 갈륨, 인듐, 주석을 섞어서 만든 합금으로 상온에서 액체이다. 독성이 적은 갈륨, 인듐, 주석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은에 비해 독성이 적어 수은 대신 가지고 놀 수 있다.
- 나크#s-4: 나트륨과 칼륨의 합금으로 상온에서 액체이다. 고속 증식로의 냉각재로 쓰인다.
- 노르딕 골드: 유로화 등 일부 주화에 사용.
- 니크롬: 니켈-크롬이 주가 되는 합금. 전기 저항이 커서 전열기나 드라이어기 등의 열선으로 쓰인다. 녹는점은 1400도 정도로 높은 편. NiCrA 가 80% Ni, 20% Cr, NiCrC 가 61% Ni, 15% Cr, 철로 이루어진다.
- 니티놀: 니켈-티타늄 합금의 금속. 반 영구적 형상기억합금으로 안경테, 인공위성 등에 사용
- 두랄루민: 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 항공기 재료
- 디디뮴: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 땜납: 납-주석 또는 주석-은-구리. 기판 납땜용[2]
- 배터리 합금: 납-안티모니. 납 축전지 전극용으로 사용. 경우에 따라 칼슘을 첨가하기도 한다.
- 백동: 구리-주석-아연-납. 화폐용
- 비정질 합금(리퀴드메탈)
- 수소저장합금
- 아말감: 수은-아르곤-주석. 치과 충전재.
- 양은: 구리-니켈-아연-납. 식기 등 여러 용도로 이용.
- 인바: 니켈-철. 불변합금. 자, 시계바늘, 계측기 등.
- 위상부도체: CdTe-HgTe, Bi2Se3, Bi2Te3 등 합금이지만 위상수학적 특징에 의해 반도체가 되는 합금.
- 인코넬: 니켈-크롬-몰리브덴. 내열성, 내식성이 뛰어남.
- 일렉트럼: 금을 중심으로 한 은 및 구리 등이 섞여서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합금. 고대부터 장식, 주화, 연금술 등에 사용하였다.
- 청동: 구리-주석.
- 초경합금: 위디아(Widia)라고도 한다. 탄소가 포함된 텅스텐-코발트[3] 합금으로, 내마모성과 내열성, 경도[4][5] 가 매우 높아 공구 용도로 널리 쓰인다. 한 예능에서는 드릴로 초경합금에 구멍 내기를 시도했으나 6번의 실패를 겪은 바 있다 영상 여기에 나온 금속은 이쪽 계열이다.
- 초전도체
- 초합금
- 하이망간: 철-망간-탄소-실리콘. 내마모성, 내충격성.
- 합금강: 철/탄소강에 다른 금속을 섞은 합금.
- 화이트 골드: 은빛 광택을 내는 백색금. 백금과는 다르다!
- 황동: 구리-아연. 공예품, 배관, 전기 단자 등에 흔히 사용. 특히 한국인 남성이라면 대부분 한 번은 주워보았을 탄피의 주 재료.
- 형상기억합금
3.1. 가공의 합금
- 건다리움 합금
- 건다늄 합금
- 발리리아 강철
- 우주합금 그렌
- 초합금
- 텔레킬 합금
- 메타[6]
- 토0 합금
- 초합금Z
- STM동
- 베스파 합금[7]
- : 일본에서 날조한 기록에 나온다. 항목 참고.
[1] 방사성 붕괴때문에 일정 이상 질량에서 100%를 만들 순 없다. [2] 유연납은 대략 주석이 60~63%, 납이 37~40%, 무연납은 소량(0.7~3%)의 은 또는 구리를 주석에 섞어서 사용. 녹는점을 낮추거나 기타 목적을 위해 비스무트, 인듐, 아연 등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3] 니켈, 티타늄, 탄탈, 니오븀 등이 들어가기도 한다.[4] 어느 정도냐면 모스 굳기계로 9를 아득히 넘어서는 보라존과 다이아몬드(!!)만이 흠집을 낼 정도. 다만 취성이 있어서 심한 충격을 받을 경우 깨져 버린다.[5] 경도와 강도의 차이점은 경도는 물체가 단단한 정도로 압력 등을 가해 물체의 형태가 변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 강도는 물체가 파괴(?)되는 정도(예를 들어 유리는 강도가 약하다)[6] 여기서 메타는 Mindustry의 메타다.[7] 스타워즈의 전투종족 만달로리안의 갑주에 사용되는 합금,블래스터와 라이트 세이버에 내성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