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트 쇼다운/무기 및 도구

 


1. 개요
2. 대형(Large)
2.1. 산탄총
2.1.1. Romero 77
2.1.2. Caldwell Rival 78
2.1.3. Specter 1882
2.1.4. Crown & King Auto-5
2.2. 소총
2.2.1. Winfield M1873C
2.2.2. Nagant M1895 Officer Carbine
2.2.3. Sparks LRR
2.2.4. Vetterli 71 Karabiner
2.2.5. Mosin-Nagant M1891
2.2.5.1. Mosin-Nagant M1891 Avtomat
2.2.6. Lebel 1886
2.2.7. Springfield 1866
2.2.8. Martini-Henry IC1
2.2.9. Nitro Express Rifle
2.3. 쇠뇌
2.3.1. 산탄 쇠뇌
2.3.2. 쇠뇌
2.3.3. 폭발 쇠뇌
2.4. 특수무기
2.4.1. Bomb lance
3. 중형(Medium)
3.1. 소드오프 산탄총
3.1.1. Romero77 handcannon
3.1.2. Romero 77 hatchet
3.1.3. Caldwell 78 rival handcannon
3.2. 소드오프 소총
3.2.1. Mosin-Nagant M1896 Obrez
3.2.2. Winfield M1873C Vandal
3.3. 권총 카빈
3.3.1. Nagant M1895 Precision
3.3.2. Dolche 96 Precision
3.3.3. Bornheim No.3 Match
3.4. 쇠뇌
3.4.1. 손쇠뇌
3.4.2. 독쇠뇌
4. 소형(Small)
4.1. 권총
4.1.1. Lemat Mk.2 Revolver
4.1.2. Bornheim No.3
4.1.3. Caldwell Pax
4.1.4. Caldwell Conversion Pistol
4.1.5. Nagant M1895
4.1.6. Dolch 96
4.2. 근접무기
4.2.1. Combat Axe
4.2.2. Machete
4.2.3. Cavalry Saber
5. 도구
5.1. 근접무기류
5.1.1. Knife
5.1.2. Dusters
5.1.3. Heavy Knife
5.1.4. Knuckle Knife
5.1.5. Quad Derringer
5.1.6. Sledgehammer & Wood Axe & Shovel & Pitchfork
5.1.7. Throwing Knives
5.2. 함정류
5.2.1. Alert Trip Mine
5.2.2. Concertina Trip Mine
5.2.3. Poison Trip Mine
5.3. 회복
5.3.1. First Aid Kit
5.3.2. Vitality Shot
5.3.3. Antidote Shot
5.3.4. Stamina Shot
5.4. 보급
5.4.1. Ammo Box
5.5. 조명
5.5.1. Electric Lamp
5.5.2. Fusees
5.5.3. Lantern
5.5.4. Flare gun
5.6. 디코이
5.6.1. Decoys
5.6.2. Blank Fire Decoys
5.6.3. Decoy Fuses
5.7. 폭발물
5.7.1. Fire Bomb
5.7.2. Hellfire Bomb
5.7.3. Frag Bomb
5.7.4. Dynamite Stick
5.7.5. Dynamite Bundle
5.7.6. Big Dynamite Bundle
5.7.7. Concertina Bomb
5.7.8. Flash Bomb
5.7.9. Poison Bomb
5.7.10. Hive Bomb
5.7.11. Chaos Bomb
5.7.12. Sticky Bomb
5.7.13. Choke Bomb
5.8. 정찰
5.8.1. Spyglass
6. 특수탄
6.1. 소총/권총용
6.1.1. 덤덤탄Dumdum
6.1.3. 고속탄High Velocity
6.1.4. 독성탄Poison
6.1.5. 소이예광탄Incendiary
6.1.6. 스핏저Spitzer
6.1.7. 고폭탄Explosive
6.2. 산탄총용
6.2.1. 플리셰트Flechette
6.2.2. 페니Penny
6.2.3. 슬러그Slug
6.2.4. 드래곤브레스Dragonbreath
6.2.5. 스타쉘Starshell
6.3. 석궁용
6.3.1. 독성 화살Poison Bolt
6.3.2. 고폭 화살Explosive Bolt
6.3.3. 산탄 화살Shotbolt
6.3.4. 혼돈 화살Chaos Bolt
6.3.5. 소방 화살Choke Bolt


1. 개요



'''1.0 정발 패치로 인해 인게임 상점의 수치들이 드디어 모두 실 수치[1]

대로 표기되었다. 상점의 데미지 수치는 몸샷 최대데미지를 뜻하며 사거리 수치는 헤드샷 한방 거리를 뜻한다.[2]'''

1.0 정발 패치로 인해 장비의 언락 시스템이 대대적으로 개편되었다. 레벨만 달성하면 언락되었던 이전과는 다르게, 특정 무기 트리중에 첫 무기만 레벨 언락제고 바리에이션 무기는 '''해당 총기 트리'''의 무기를 아무거나 사용해서 '''그 무기'''로 경험치를 쌓아서 해금해야 한다. '''따라서 아래 내용중에 "바리에이션으로 @@@는 몇 레벨에 해금된다~"하는 내용은 전부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미처 수정 못한 부분들이 아직 있으므로 필히 참고바람'''
쉽게 예를 들어보자. 컨버전 피스톨은 22렙때 열리게 된다. 컨버전의 바리에이션인 체인피스톨을 쓰기 위해선 컨버전 종류에 해당하는 "컨버전 기본형/체인/어퍼컷 셋중 아무거나를 쓰되, 그 총으로 헌터를 잡던 몬스터들을 잡던지 해서 경험치를 쌓아 언락을 해야한다. 체인피스톨을 언락하게 되면 그 다음 바리에이션인 어퍼컷을 언락할 수 있게 되는데, 이도 마찬가지로 해당 바리에이션중 아무거나 하나를 들고 또 경험치를 쌓아 해금하는 식이다.
따라서 원하는 바리에이션을 해금라기 위해선 일부러 구석에서 몹만 사냥해서 언락하고 튀는 플레이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중. 굳이 이러기 싫다면 게임 진행 도중애 필수로 잡아야하는 이몰, 머드나 하이브같은 몹들을 너클로 적당히 친다음 해당 무기의 개머리판이나 손잡이로 마무리해서 경험치를 먹는 식으로 벌자.'''
헌트 쇼다운의 장비들은 대형(Large, 주무장이다. 소총과 산탄총이 속함), 중형(Medium, 소드오프류 무기들과 스톡 피스톨로 이루어짐), 소형(Small, 권총과 근접무기가 속함) 무기, 소모품, 도구의 5종류로 나뉜다. 각 무기마다 대미지 타입이 다르고, 특성에 영향을 받는 무기들이 많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FPS게임인 헌트 쇼다운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니만큼, 무기 밸런스에 대한 이해도를 갖추고 있으면 더욱 좋다. 헌트 쇼다운의 무기 밸런스를 설명하는 하나의 단어는 바로 '''가성비'''이다. 레벨을 올릴수록 상위 티어의 총기들이 언락이 되는데, 높은 레벨대의 총기들은 하위 티어의 총기들에 비해 훨씬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물론 레인보우 식스 시즈 같은 게임처럼, 헤드샷에는 한방[3]이라는 시스템이 이러한 차이를 메꿔주는 변수로 작용하긴 하지만, 동실력이라는 가정 하에는 상위 티어의 총기 유저를 하위 티어의 총으로 이기기 쉽지 않다는 것. 그러나 고 레벨대의 총기들에게는 단점이 있는데 바로 '''가격'''. 좀 비싼 정도가 아니라 기본 총기들의 수배에서 수십배에 달하는 가격차이를 자랑한다. 한마디로 상위 총기들은 성능은 분명 좋으나 가성비가 매우 떨어진다는 것. 킬을 아무리 많이 해봤자 킬 자체로는 얻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4]게임의 특성상 비싼 가격의 총기들은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온다. 즉 쉽게 말해 개발진의 밸런싱 의도는 '''무기 밸런스를 가격으로 맞춘다'''는 것. 2018년 5월 5일 테스트 서버에 적용된 대규모 패치는 이러한 밸런싱 의도를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데, 상위 티어의 총기(소총의 모신나강, 샷건의 오토 5, 권총의 돌체와 어퍼컷 등)들의 가격이 기존의 '''2~2.5'''배로 올라가서 정말 말 그대로 정신 나간 가격이 되어버린 것. 그러나 하위 티어의 총기들은 오히려 대미지 상향을 받았다 [5]. 따라서 더욱더 '''강력하진 않지만 값싸고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저렙 총기들 vs 강력하긴 강력한데 눈 돌아가게 비싸서 가성비가 쓰레기인 고렙 총기들'''의 구도가 된 것이다. 해당 패치는 본 서버에 2018년 5월 12일 적용되었다.
본 총기들은 당연하게도 탄약이 필요한데, 탄약은 총 5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필드 여기저기에 널려있는 탄약 갑[6]이나 탄약상자[7]에서 보급받을 수 있다. 5종류의 탄은 각각 컴팩트, 미디엄, 롱, 스페셜, 샷건이며 샷건을 제외한 앞 4개는 쓰인 순서대로 더 강력한 상위 티어 총기에 사용된다. 또한 탄종마다 탄속이 모두 다른데 무기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컴팩트 < 미디엄 < 롱 순서이며 롱은 컴팩트보다 1.5배정도 빠르다. 그외 스페셜 탄종의 경우 무기 종류에 따라[8] 고유의 탄속을 가지고 있다. 지나치게 빠른 롱탄의 탄속 때문에 1.0 패치에서 롱탄 탄속이 너프를 먹게 되었다.

2. 대형(Large)



2.1. 산탄총


근접 상황에서 범용성이 높은 총들이 포진해있다.
샷건 특성상 중거리만 넘어가도 쓸모가 없지만, 게임의 특성상 나무가 우거진 숲 속이나 건물 안이라던지, 특히 보스 구역 근처 건물이나 지하통로 등에서 싸움이 벌어지는 일이 매우 잦다. 이러한 장소에서 대인전을 할 때 매우 좋은 총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샷건-어퍼컷/돌체는 정석 조합 취급을 받을 정도이다.
사실상 이 게임의 '''비대칭 전력'''이자 '''제식 무기'''이다. 5월 12일 자 패치로 저 레벨대 무기(컴팩트 탄종 무기)들의 대미지가 상향되었다지만, 여전히 근거리 이상의 싸움에서는 동 실력상 하위 티어의 소총으로 상위 티어의 소총을 이기기가 매우 힘들다.[9] 그러나 산탄총은 다른데, 각종 특성들을 빵빵하게 두르고 온갖 좋은 총기와 도구들로 무장하고 있는 만렙 헌터라도 저 레벨 헌터의 더블 배럴 샷건 근거리 기습 한방에 골로 갈 수 있다는 것. 운이 나쁘게 근거리에서 제대로 직격 당하면 그 쓰레기 취급받는 르멧권총의 샷건탄에도 한방에 뻗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게임 샷건의 위력이다. 장비가 좋지 못한 저 레벨대의 유저가 고 레벨대의 유저를 대등하게 상대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건물 내부나 좁은 지하 통로 등지에서 근거리 샷건으로 싸움을 유도하는 것.
추가로, 예전엔 모든 산탄총들은 10미터 내에서는[10] 출혈 상태 이상을 걸었다. 그래서 확정 킬이 불가능한 근거리 이상에서도 일단 견제용으로 대충 한발 맞춰놓아서 출혈을 걸고 들어가는 경우도 있었지만 지금은 출혈기능이 없어졌다.
지금의 로메로는 그나마 상향을 받아 근거리 죽창의 위력을 조금이나마 보여준다. 5.0 패치 때 있었던 산탄총 버프 때 탄 퍼짐 버프를 많이 받아 해칫(hatchet)보다 탄착군이 작다.
더블 배럴=Spencer 1882 Bayonet<Spencer 1882=Crown & King Auto-5<Romero

2.1.1. Romero 77


[image]
고전적인 단발, 단신 산탄총입니다. 적당한 위력과 빠른 장전 속도를 갖추어 제값을 합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12발
'''사거리'''
15m
'''공격력'''
200
'''조준도'''
92%
'''연사력'''
30rpm
'''재장전'''
3초
'''총구속도'''
45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1
'''구매가'''
34$
'''모티브'''
Stevens Arms single barrel shotgun(스티븐-암즈 싱글 배럴 샷건)
'''바리에이션'''
Romero 77
Handcannon

26$
중형 무기
데미지 140()
사거리 8m()
조준도 86%()
Romero 77
Talon

59$
대형 무기
강공격 120()
강공격 출혈 유발
Romero 77
Hatchet

62$
중형 무기
데미지 85()
사거리 7m()
조준도 86%()
약공격 60()
강공격 120()
단발(싱글액션) 중절식 산탄총이다. 단발총인 데다 수치상으로 표기된 높은 대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초보들의 죽창'''이다. 단발총이라서 유지력이 당연히 끔찍하지만 샷건중에는 대미지 모델이 가장 뛰어나다. 단발인 대신 높은 한발 대미지를 보유한 무기. 정조준해서 사격[11] 시 정확하게 꽂으면 15미터까지도 원킬이 나버린다.총 탄약휴대량은 13발. 근접전에서 쓰는 단발총이라는 특성상 1대1 상황에서 명중시키지 못하면 경험이 많은 적은 높은 확률로 재장전을 노리고 푸싱을 하므로 부무장은 범용성이 좋은 장비로 챙기는 것이 좋다.
과거에는 고작 4딸라라는 가격답게 단발총 주제에 대미지도 매우 구린 초보자들의 함정카드급 무기였으나 패치 이후 날아오르게 된 스타팅 무기이다.
바리에이션으로는 세 가지가 있다. 탈론을 제외한 핸드 캐논과 해칫은 중형 무기로 분류된다. 중형 항목에 후술.
여담이지만 로메로 77이란 이름은 좀비 영화의 아버지 조지 로메로와 그의 생전 마지막 나이 77세에서 따왔다.

2.1.2. Caldwell Rival 78


[image]
근거리에서 가장 강력한 목표물을 제외한 모든 것을 파괴할 수 있는, 튼튼한 수평쌍열 중절식 산탄총입니다. 적에게 출혈을 유발합니다.
'''장탄량'''
2발
'''탄약량'''
8발
'''사거리'''
10m
'''공격력'''
175
'''조준도'''
87%
'''연사력'''
90rpm
'''재장전'''
4초
'''총구속도'''
40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18
'''구매가'''
100$
'''모티브'''
Colt M1878 Coach gun(콜트 M1878 코치 건)
'''바리에이션'''
Rival 78
Handcannon

1000XP, 85$
중형 무기
데미지 85()
사거리 7m()
조준도 84%()
18랭크에 해금되는 쌍총신 산탄총이다. 단발 화력은 대형크기의 샷건중 가장 낮지만 이 총도 유효 사거리 이내에선 몸샷 정조준 한방이 보장된다. 한 발이 빗나가면 재장전을 해야하는 두 산탄총과는 다르게 차탄을 딜레이 없이 발사 할 수 있어서 두 발까지는 화끈한 화력을 보장한다.1.0패치 이후 31랭크에서 18랭크로 언락 랭크가 엄청나게 낮아져서 초반부터 떱배의 손맛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적당한 반동으로 2발까지 빠르게 발사할 수 있다는 특성을 활용하여 샷건으로 한방에 잡기엔 다소 거리가 먼 적에게 연속2발을 빠르게 꽂아서 킬을 따낼 수도 있다.
소소한 단점으로는 대형크기 샷건중 탄 휴대량이 제일 적다(10발), 그러나 탄약박스 루팅시 2~3발 가량 들어오며 재수없게 연속으로 여러팀을 상대하는게 아니라면 보통은 10발안에 승부가 나므로 크게 체감되진 않는다.
'''파생형'''
  • Caldwell Rival 78 Handcannon : 소드 오프 버전으로 중형 무기로 분류된다. 중형 항목에 후술.

2.1.3. Specter 1882


[image]
혁명적인 펌프 액션 샷건으로, 5발을 연속적으로 빠르게 발사 할 수 있습니다. 투박하고 정제되지 않은 장전과정 덕분에, 탄창을 재장전 하는 데는 시간이 걸립니다. 적에게 출혈을 유발합니다.
'''장탄량'''
4발+1발
'''탄약량'''
10발
'''사거리'''
12m
'''공격력'''
185
'''조준도'''
85%
'''연사력'''
40rpm
'''재장전'''
14초
'''총구속도'''
425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58
'''구매가'''
188$
'''모티브'''
Spencer 1882 pump Action shotgun(스펜서 1882 펌프액션 산탄총)
'''바리에이션'''
Specter 1882
Compact

164$
중형 무기
장탄량 3발+1발()
데미지 85()
사거리 7m()
조준도 80%()
Specter 1882
Bayonet

223$
대형 무기
강공격 112()
데미지 175()
사거리 10m()
조준도 81%()
55 랭크에 해금되는 미제 펌프 액션식 산탄총이다. 해금하는 데에 55 랭크라는 다소 높은 랭크를 요구하며 한 발당 대미지 기대치는 모든 산탄총중 2위이다.[12] 6.0 패치로 인해 샷건의 사지 대미지와 거리별 대미지 감소량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십 미터 전후에서 정조준 한방 컷을 내버리는 훌륭한 샷건. 5 발이라는 장탄량과 대형크기 샷건중 가장많은 15발의 탄약휴대량 또한 높은 유지력을 보여준다. 로메로와 더블배럴에 비교하자면 첫 1~2발까지는 다소 밀리지만 5발까지는 지속화력이 좋은 편이므로 상대적으로 트리오에 어울리는 무기.
1.0 패치로 인해 가격이 188달러로 비싸졌다. 워낙 훌륭한 성능이라 어쩔수 없는 너프인듯.
원래 과거에는 샷건 중 가장 약한 대미지를 가진 주제에 266달러인 반자동 샷건이라는 완벽한 상위 호환이 존재하여 선택률이 바닥을 기는 샷건이었으나, 빅 업데이트 3에서 더블 배럴과 같은 수준으로 대미지 상향[13]을 먹고는 날아오르게 되었다.
특징이자 단점으로는, 장전할 때 약실에 있던 멀쩡한 총알 한 발을 그냥 버리고 장전을 한다.[14] 만약 약실이 비어있는 전탄소모 상태라면 5발이 아니라 4발까지만 장전을 한다. 스펜서 1882 펌프액션 산탄총의 특성인 약실이 총기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구조+상부 탄피배출구라는 고증을 지키기 위해 이런 식으로 디자인된 듯한데, 안 그래도 장탄량이 넉넉지 않은 산탄총을 한 번씩 장전할 때마다 멀쩡한 탄약이 하나씩 날아가는 것은 다소 아까운 일이다. 이는 68레벨에 해금되는 bullet grubber(탄 아끼기)라는 스킬로 해결 가능하다.[15] 스킬 포인트 요구치는 6포인트로 높아서 가성비가 떨어지지지만 장전할 때마다 유실되는 탄을 아끼게 해주는 좋은 특성이다. 68레벨 이상에 스펙터를 사용한다면 해당 특성은 배우도록 하자. 스펙터뿐만 아니라 모신나강, 르벨, 돌체 96 등 여러 총기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특성이라 범용성도 나쁘지 않다.
'''파생형'''
  • Specter 1882 Bayonet
    • 장탄량 : 4+1발
무려 총검이 부착된 산탄총. 그런지라 그런트를 잡는 데에 괜히 탄환 낭비하지 말고 총검으로 끝낼 수 있으며, 적 플레이어와 적당히 근접했을 때에도 총검으로 찔러 죽이는 게 가능하다.
그러나 원본보다 총신이 조금 짧아서 집탄율이 조금 떨어진다.(10미터에서 적 상체 조준시 기대값이 185에서 175로 떨어졌다.)때문에 원본으로 한방컷을 낼 거리에서도 실패하는 일이 잦기 때문에 선택률은 떨어지는 편. 샷건으로써의 성능 그 자체에 집중하고 싶다면 원본을, 나이프 대신 너클을 들었는데 나이프 또한 챙기고 싶다면 총검 버전을 선택하자.
  • Specter 1882 Compact
    • 장탄수 : 3+1발
스펜서 펌프액션 산탄총의 개머리판과 총열을 잘라내고 포어 그립을 장착한 중형 무기, 그래서 중형 무기를 두 개 들거나 퍽을 달아서 저격수의 보조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2.1.4. Crown & King Auto-5


[image]
4발들이 탄창과 약실 1발을 가진 프로토타입 반자동 샷건입니다. 높은 파워와 발사속도를 가졌지만, 대가로 강한 반동과 짧은 사거리를 가졌습니다.
'''장탄량'''
4발+1발
'''탄약량'''
6발
'''사거리'''
12m
'''공격력'''
185
'''조준도'''
89%
'''연사력'''
120rpm
'''재장전'''
10초
'''총구속도'''
425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82
'''구매가'''
600$
'''모티브'''
브라우닝 Auto-5
가성비는 떨어지지만 성능은 매우 강력한 반자동 샷건.
실제 역사에서 최초의 반자동 산탄총인 브라우닝 오토-5이다. 라이선스를 얻진 못했는지 브라우닝의 스펠링 'Brown'과 'ing'을 적당히 패러디한 Crown 앤 king이란 이름으로 나온다.
예전에는 최고 티어의 샷건답게 근중거리까지도 연사력과 대미지로 적을 갈아버리는 미친 샷건이었지만, 지금은 폭탄 너프와 버프를 번갈아가며 겪은 후 그냥 비싸고 쎈 무기가 되었다.
1.0 패치로 한 발당 대미지가 스펙터와 동급이 되었다. 6.0 패치 정조준시에는 반동이 거의 사라진 이후 그냥저냥 쓸만해졌다가 지금은 다시 샷건의 최강자 자리에 올라온 상태. 그러나 여전히 크킹과 동 거리에서 한방컷을 내는 스펙터가 188달러인[16]만큼 가성비는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성능만으로 따지면 샷건중 가장 강력한 위력을 지니고 있다. 쉽게 설명하자면 스펙터의 화력,장탄수+더블배럴의 연사력.
스펙터와 비교하자면 화력,장탄수는 같지만 빠르게 쏠 수 있고, 더블배럴과 비교하자면 발당 대미지가 다소 높으면서 2발이 아닌 5발까지 쏠 수 있으며 로메로와 비교하자면 1발 대미지는 다소 낮지만 5발의 장탄량과 사격속도로 충분히 커버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총 탄약휴대량 11발은 반자동샷건에게 다소 부족할 수도 있으며 탄 수급도 탄약갑에서 1발,탄약박스에서 2발로 타 샷건에 비해 적은 편이다.그리고 막강한 화력만큼이나 반동도 강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초탄 이후 차탄 발사시 이리저리 튀는 에임때문에 맞히기 다소 어렵다.

2.2. 소총


기본 소총인 윈필드를 제외한다면 [17] 여타 게임들의 소총류답게 중~원거리전에 특화된 무장이다. 권총류 또한 정밀사격이 가능하나. 권총류는 100% 대미지를 줄 수 있는 유효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이 게임에서 일어나는 중거리 이상의 사격전/대치전은 거의 무조건 소총으로 하게 된다. 샷건과 더불어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무기류.
총기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배율을 가진 스코프가 장착된 버전이 하나씩 존재한다.

2.2.1. Winfield M1873C


[image]
장탄량 7발의 가벼운 연사 소총입니다. Compact 탄환을 발사합니다.
'''장탄량'''
7발+1발
'''탄약량'''
28발
'''사거리'''
95m
'''공격력'''
110
'''조준도'''
89%
'''연사력'''
50rpm
'''재장전'''
10초
'''총구속도'''
40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1
'''구매가'''
61$
'''모티브'''
윈체스터 M1873
'''바리에이션'''
Winfield
M1873

랭크 42, 100$
장탄량 15발+1발()
조준도 87%()
Winfield
M1873C Marksman

82$
조준도 83%()
중거리 조준경 부착
Winfield
M1873 Talon

125$
장탄량 15+1발()
조준도 85%()
강공격 120()
강공격 출혈 유발
Winfield
M1873 Swift

153$
장탄량 15+1발()
조준도 70()
재장전 8초()
스피드 로더 사용
Winfield
M1873 Aperture

랭크 42, 100$
장탄량 15발+1발()
조준도 79%()
핀홀 기계식 조준경 부착

가장 초기 버전인 M1873C(컴팩트)가 게임을 시작하자 마자 바로 해금된다.
정발기준 가장 기본버전인 윈필드c도 예전의 떱배 이상으로 비싸진데다 다른 소총들처럼 레버를 당길때 조준이 풀리게 되고 조준 유지기능이 아이언 리피터라는 스킬로 분리가 되었다. 무엇보다 윈필드의 장점이었던 연사속도가 대폭 너프가 되어서 쓰레기가 되어버린 비운의 총.(하지만 레버링이 있다면 어떨까?)
서부극을 많이 봤다면 익숙할 그 윈체스터 레버 액션 소총이다. 라이선스를 얻지는 못했는지 본 게임에선 윈필드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나온다. 이 무기의 포지션은 어느 게임에나 있을법한 ''언제 들어도 중간은 가는 무난한 무기''이다. 5월 12일 패치 이후 콤팩트 탄종 무기들의 대미지가 상향되어 60에서 80이 되었다. 즉 근거리라면 '''두방 컷'''이 가능해졌단 소리. 그러나 거리별 대미지 감소율은 오히려 너프 되어 거리가 조금만 멀어져도 사살에 필요한 탄 수는 예전처럼 3발 이상으로 늘어난다. 몇십 미터만 떨어져도 몸샷으로는 못써먹을 대미지가 나오는 건 여전하고... 즉 개발진들의 의도답게 '''근거리에서는 쪼렙 총기답지 않게 강력하여 초보들에게도 기회를 줄 수 있되, 거리가 벌어진다면 준수한 에임 실력 없이는 고급 상위 티어 총기들에게 함부로 비비기 힘든 가성비 좋은 초보 소총'''이었다.
그렇게 이전까지만 해도 최강 가성비의 소총으로 취급되었으나, 상술한 대량의 너프를 때려맞은 덕분에 이제는 옛말이 되었다. 무엇보다도 게임을 조금만 하면 바로 도달하는 초창기 레벨인 6레벨에 카라비너가 해금되며 16레벨대에 롱탄 라이플인 마티니가 언락되는데, 굳이 저런 총들을 놔두고 윈필드를 쓸 이유가 더더욱 없어졌다. 1.0 고무줄 밸런스 패치의 최대 수혜자가 스파크라면 최악의 피해자인 셈.
허나 패치를 통해 데미지가 110으로 상향을 받고 1.3버전 패치를 통해 추가된 Levering을 통해 근접전에서 강력한 위력을 낼수있게되었다. 또한 소소한 장점은 정조준시 가늠좌 하단이 v모양으로 파여있어 목표조준시 시야확보에 다소 도움이 되며 핸들링 수치가 높아 흔들림이 적다.
1.4.3 업데이트로 중형크기 바리에이션인 Winfield Vandal과 그 Deadeye 버전이 출시되었다. 자세한 설명은 중형무기 칸에
특징이자 단점이라면 재밍이 있'''었'''다. 레버 액션인 총의 특성상 한 발을 쏘고 나서 레버를 끝까지 당기기도 전에 급하게 발사 버튼(마우스 왼 클릭)을 눌러대면 일정[18] 확률로 탄피 재밍에 걸려서 발사가 되질 않는다 . [19] 현재는 버그가 수정되었다.

2.2.2. Nagant M1895 Officer Carbine


[image]
제정 러시아 시대의, 현대적인 더블액션 리볼버 파생무기 입니다. 이 모델은 더욱 긴 배럴과 개머리판으로 개조되어, 효과적인 소형 속사 라이플입니다.
'''장탄량'''
7발
'''탄약량'''
21발
'''사거리'''
92m
'''공격력'''
104
'''조준도'''
89%
'''연사력'''
100rpm
'''재장전'''
12초
'''총구속도'''
36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선행무기 언락
'''구매가'''
80$
더블액션형 장교용 나강 권총에 연장 총열과 소총 개머리판을 장착한 리볼버 카빈이다.
나강 오피서의 빠른 연사력에 엄청난 조준 안정성과 적은 반동 그리고 롱배럴로 인한 사거리 향상 데미지 소폭증가 로 1.0업데이트 이후 꽤 쓸만한 총이 됐다 윈필드c와 데미지도 5밖에 차이가 안 나고 사거리도 비슷한데다가 이젠 없어진 윈필드의 기본 속사마저 가지고 있기에 상대적으로 우승자(?)가 된 총이다.
하지만 권총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거리 교전은 그냥 포기해야 하는 수준이지만(...), 윈필드보다 단 두 가지 좋은 점인 더 빠른 속사 능력과 레버 액션이 아니기에 사격 중에도 조준선 정렬이 흩트러지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 근접전에서 헤드라인을 맞추고 마구 총알 스패밍을 하여 헤드샷을 빠르게 따버리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그런데 문제는 그러기에는 또 7발의 조루 같은 장탄수가 발목을 잡아버린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고르면 될 듯 하다.
컴팩트탄이 버프되었을때 가장 혜택을 많이 받은 무기로서 다른 컴팩트 탄종 무기에 비해 훨씬 더 이전보다 성능이 좋아졌다.
버프를 받아도 대미지가 74라 최소 3발의 명중이 필요한 본헤임,매번 코킹을 해야하거나 패닝특성이 필요한 싱글액션 컴팩트 리볼버, 연사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정조준이 불가한 레버링의 윈필드에 비해 별다른 특성이 필요없고 높은 핸들링 수치와 낮은 반동,거기에 저렴한 가격(80달러)에다가 더블액션 특유의 빠른 사격속도로 근~중거리에서 빠르게 2발을 맞혀 킬을 따낼 수 있기 때문.

2.2.3. Sparks LRR


[image]
널리 알려진, 큰 몸집과 좋은 시야를 자랑하는 단발 라이플입니다. 평원 너머의 물소를 일격에 사살할 수 있습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20발
'''사거리'''
250m
'''공격력'''
'''149'''
'''조준도'''
73%
'''연사력'''
38rpm
'''재장전'''
3초
'''총구속도'''
533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26
'''구매가'''
130$
'''모티브'''
sharps 1874 (샤프스 1874)
'''바리에이션'''
Sparks LRR
Silencer

1000XP, 150$
사거리 144m()
총구속도 300m/s()
조준도 71%()
소음기 부착
Sparks LRR
Sniper

1500XP, 199$
조준도 70%()
장거리 망원조준경 부착
25랭크에 해금된다. 기본 소총인 윈필드 이후 스파크 - 카라비너[20] - 모신나강으로 이어지는 중거리~장거리 소총 트리의 그 첫 번째.
사거리 관계없이 [21] 몸통 한방만 맞으면 빈사상태로 만들어버리는 흉악한 위력을 자랑한다.
로메로처럼 1발만 장전되는 폴링블록식 단발소총이며 재장전시간이 길지만 게임에 익숙해지고 나서 실력이 점점 올라갈수록 그 진가가 발휘되는 총이다. 예전에는 고티어 총기들의 가성비와 실성능이 상대적으로 매우 좋아서 스파크 따위를 쓸 일이 없어 묻혔던 비운의 총기였으나, 고티어/하이엔드급 총기들의 지속적인 너프와 유저들의 평균 에임 실력 향상으로 인해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소총이 되었다.
딘점은 단발에다가 풀피 헌터를 한방에 죽이지는 못하는 점이라는 고질적인 단점은 존재하지만 [22] 그것들을 커버하는 여러 장점들이 존재한다. 일단 상체 몸샷 한방에 149 대미지라는 수치는 얼핏 보기에 150hp를 한방에 죽이지 못해서 비효율적으로 보이지만, 다르게 말하면 생채기만 살짝 긁힌 상태라면 한방에 보낼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온갖 종류의 까다로운 괴물들이 우글거리는 데다 낙하 대미지나 화상도 자주 입게 되는 게임 특성상 피가 살짝 까여있을 상황이 은근 많이 나온다는 점, 그리고 탄종이 롱탄이라 탄속도 매우 빠른 데다 흔들림도 적당한 편이고 가늠자도 보기 편해서 맞추기 쉬운 총이라는 점[23]이 합쳐져서 대충 쏜 스파크 한방에 사망하는 경우가 매우 많이 나온다..이렇게 당한 사람 입장에선 현자 타임이 심하게 오는 것은 덤. 게다가 다른 모신나강, 돌체 같은 기타 하이엔드급 총기들이 가격이 비싸지고 성능이 너프 되어서 가성비가 구려진 현재 스파크는 상대적으로 상당히 저렴한 가격에 훌륭한 중장거리 견제 샷~운 좋으면 한방 킬까지 노릴 수 있는 훌륭한 성능의 총기이다. 게다가 1.0 패치로 인해 잔탄이 20발로 늘어서 굉장히 넉넉해졌다!
1.0 정발 패치로 인해 더욱 사기가 되었는데, 기존에는 본하임과 조합해서 적폐 소리를 들었다면 이젠 스파크 하나만 써도 훌륭한 적폐급 성능이 나오게 되었다. 가격이 130원으로 저렴해졌으며 잔탄이 20발로 뻥튀기된 희대의 고무줄 버프를 받은 것. 테스트서버 기간 내내 계속 지적을 받은 부분이지만 정작 버그들 고치는데 바빠서 일단 무기 밸런스 손대는 것은 뒷전이었나보다.[24]
'''파생형'''
  • Sparks LRR sniper : 모신나강과 같은 장거리 저격용 스코프가 달린 버전이다. 스코프 버전은 스나이퍼로 장거리용 스코프이다. 고배율이며 3종류의 스코프중 독보적으로 컨트롤하기가 지랄맞다(...). 이는 환경설정에서 스나이퍼 배율의 마우스감도를 설정하여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하다.
  • Sparks LRR silencer : 소음기 버전 이다. 총성과 총기 발사시의 빛을 없에 준다...지만 스파크의 장점은 생채기만 난 헌터라도 총알 한방에 보내버리는 흉악한 몸샷 위력이기 때문에 굳이 데미지가 구린 소음기 버전을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2.2.4. Vetterli 71 Karabiner


[image]
스위스 기병창의, 여섯발들이 볼트액션 카빈 소총입니다. 높은 신뢰성과 휴대성, 그리고 근거리에서의 강력한 위력을 자랑합니다.
'''장탄량'''
6+1발
'''탄약량'''
20발
'''사거리'''
167m
'''공격력'''
130
'''조준도'''
87%
'''연사력'''
42rpm
'''재장전'''
12초
'''총구속도'''
41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6
'''구매가'''
105$
'''모티브'''
Repetierstutzer-Vetterli, Modell 1871
(레페티어슈투처-베테를리 모델 1871 소총)
'''바리에이션'''
Vetterli 71 Karabiner
Deadeye

1500XP, 130$
중거리 망원조준경 부착
조준도 83%
Vetterli 71 Karabiner
Bayonet

XP, 155$
총검 부착
강공격 112
조준도 83%
옛날 스위스군의 제식 총기였다고 하는 볼트액션 소총이다. 외형은 카라비너(기병총)라는 이름답게 총기류들중에서 가장 짧은 편이다. 그러나 DMR 역할의 총기답게 최대 데미지를 낼 수 있는 사거리는 스파크, 모신나강과 같다. 애매하게 구린 성능의 스파크, 태생부터 괴물인 니트로 익스프레스를 제외하면 모신나강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저격소총의 역할이 가능한 총기이다. 모신나강과의 차이점은 위력인데, 모신나강이 어지간해선 거리불문 2방이라면 카라비너는 그보다 살짝 모자란 수준이다. 중~원거리에서 150는 두방, 데미지 낙차가 끝무렵에 달하는 원거리에서는 3방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3월 8일자 패치로 근거리에서 100hp를 한방에 보내버릴 수 있게 됨으로써(근거리 최대데미지가 90 → 100으로 증가) 애매한 근~중거리 성능이 조금 나아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헌터들의 hp가 150으로 통일된 이후 초보헌터 한방컷의 악명은 없어지긴 하였다.
컴팩트 탄종의 라이플보단 더 긴 교전거리를 갖고있지만 롱탄 라이플에 비해서 장거리 교전능력은 떨어지는 중간 포지션의 라이플. 10미터에서 상체를 맞힐시 대미지는 130이지만 거리가 멀수록 롱탄에 비해 대미지가 낮아지므로 롱탄2발로 잡을 거리에서 카라비너로는 3발 맞혀야 잡는 경우가 있다. 중거리 이하에선 윈필드와 비교하자면 킬에 필요한 기대명중수는 똑같이 2발이지만 레버링, 장탄수에서 밀린다.
하지만 반대로 장점을 보면 중거리에선 롱탄 라이플류와 똑같이 킬을 위해 필요한 명중탄의 수는 2발이며 윈필드로 3발 이상의 명중이 필요한 거리에선 그보다 적은 발수로 적을 잡을 수 있으며. 미디움 탄종이라 컴팩트탄에 비해 소위 '월샷'에 조금 더 유리하다. 결국 카라비너가 상대적으로 장점을 발휘하는 거리는 '컴팩트 탄보단 길고 롱탄보다는 짧은'교전거리이며 결국 중거리에 라이플이라는 셈.
'''파생형'''
  • Veterrli 71 Karabiner Bayonet : 대검을 장착하여 근접 강공격의 대미지 타입이 관통(Piercing)이 된다. 대신 거리별 데미지 감소율이 조금 나빠진 버전이다.
  • Vetereli 71 karabiner Deadeye : 근중거리용 스코프를 장착한 버전이다. 패치 이전의 기본 총기 배율과 비슷하여 가장 유저들에게 익숙할 뿐더러 배율이 너무 적지도 크지도 않아 가장 편한 스코프라는 평가를 받는 중.

2.2.5. Mosin-Nagant M1891


[image]
다섯발의 장탄수를 가진, 현대적인 러시아 볼트액션 라이플로 강력한 롱탄을 발사합니다.
'''장탄량'''
4+1발
'''탄약량'''
10발
'''사거리'''
250m
'''공격력'''
136
'''조준도'''
75%
'''연사력'''
34rpm
'''재장전'''
3초
'''총구속도'''
615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72
'''구매가'''
490$
'''모티브'''
모신나강 M1891
'''바리에이션'''
Mosin-Nagant M1891
Obrez

XP, $
중형 무기
Mosin-Nagant M1891
Bayonet

XP, $
총검 부착
Mosin-Nagant M1891
Sniper

XP, $
장거리 망원조준경 부착
Mosin-Nagant M1891
Obrez Mace

XP, $
중형 무기
둔기 부착
Mosin-Nagant M1891
Avtomat

XP, $
'''연사 가능'''
하단에 개별 설명
19세기 말 ~ 20세기 볼트액션 총기들을 대표하는 제정러시아~소련의 명작 총기. 2차대전 영화등을 보면 개떼처럼 몰려오는 소련군들이 마찬가지로 떼물량으로 들고나오는 그 총기이다. 그러나 이 시대에는 현대의 값싸고 구하기 쉬운 이미지의 총이 아닌 벨기에 제의 고급스러운 군용 총기였으며 게임에서는 저격소총 라인중 실질적인 끝판왕급을 담당하며, 앞서 기술한 500원에 달하는 가격때문에 개나소나 들고다니지는 못하는 총이다. 사실상 저격소총으로 국한시키지 않아도 전체 총기중 실질적인 끝판왕 라인에 들어가는 총기이다.
종합 성능은 훌륭한 소총. 장전할때 탄 유실을 막으려면 블릿그래버가 필요하고 재대로 쏘려면 아이언 샤프슈터가 필요하긴 하지만, 위력/거리별 뎀감/연사력/장전속도 등등 모든 면에서 훌륭하다. . 위력은 마찬가지로 앞서 카라비너 항목에서 설명했다시피 어느 거리 어느 hp건 대부분 두방에 끔살시켜버리는 강력한 데미지를 지녔다. 탄속이 있는 배틀필드같은 게임에서 DMR이나 저격소총을 많이 다뤄서 이런 류의 총기에 익숙하고 에임에 자신이 있다면 효율이 매우 좋은 무기이다. 그러나 헌트 쇼다운은 적 헌터를 아무리 많이 죽인다고 해서 돈을 주는게 아닌[25], 보스몹 단서를 찾고, 찾아내서, 죽여서, 전리품을 들고 탈출을 해야 돈을 받는 게임이므로 모신나강같은 비싼 총기를 다룰 때는 항상 신중하게 사격을 하도록 하자. 모신나강보다 더 비싼 총기들에게도 해당되는 말이지만, 훌륭한 성능에 힘입어 4~5킬씩 올리며 선전하다가 근거리에서 기습당해 한방에 손도 못쓰고 죽어버리면 정말 손해가 막심하다. 가늠좌 하단이 반원 모양으로 파여있어 정조준시 시야확보에 도움이 되며 가늠쇠가 매우 얇고 전탄소모시 5발클립으로 장전하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산탄총 항목의 스펙터 펌프액션 샷건처럼 장전시 약실에 있단 탄이 튕겨 날아가버린다. 이는 6포인트짜리3 불렛그러버 특성을 배워서 탄 유실을 막을 수 있다. 배우지 않았다면, 급한 상황이 아닌 이상 항상 전탄(4+1발)을 소모하고 장전하도록 하자. 총 탄약량이 고작 15발인데다 탄약박스로도 한번 보급에 3발밖에 들어오지 않으니까 정말 신중하게 사격하고 장전해야 한다.
스코프 버전은 스파크와 동일하게 '''스나이퍼'''. 감도 문제때문에 사용하기가 어려울경우 환경설정에서 스나이퍼 감도를 조절하자.
또한 모델은 보병형 모델과 저격형 모델 모두를 섞은, 현실엔 존재하지 않는 종류이다.

2.2.5.1. Mosin-Nagant M1891 Avtomat

[image]
'''바리에이션''' - Mosin-Nagant M1891 Avtomat
엄청나게 개조된 러시아의 '''전자동''' 라이플입니다. 내부 장탄수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장탄량'''
15발
'''탄약량'''
0발
'''사거리'''
250m
'''공격력'''
136
'''조준도'''
45%
'''연사력'''
400rpm
'''재장전'''
11초
'''총구속도'''
615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XP
'''구매가'''
1500$
'''모티브'''
Huot Automatic Rifle
본격 내가쓰면 적자총, 주워쓰면 사기총.
모신으로 꾸역꾸역 경험치를 모으면 마지막 트리에 해금되는, 모신나강을 휴오트 자동소총같이 개조한 소총,이름은 표도로프 자동소총에서 따온 걸로 보인다. 그러니까 '''자동소총 버전'''이다. 자동소총이라고 해서 저격소총 버전인 바닐라 모신나강보다 데미지나 사거리가 떨어지거나 하는 것도 아닌, ''모신나강의 스펙 그대로'' 자동소총으로 마개조해놓은 총기이다[26]. 15발이나 되는 정신나간 탄창용량은 원래 모신나강의 총 탄약량을 다 합친 15발과 동일하다. 단발사격은 불가능하며, 한번 클릭시 무조건 3점사로 쏘게 된다.
가장 큰 단점은 가격. 과거에도 2번을 듀오로 우승해야 얻을 수 있는 정도의 가격인 999달러라는 눈돌아가는 가격을 자랑했는데, 현재는 '''1250'''달러라는 미친 가격을 자랑한다. 이 게임의 제작진들이 고성능 총기를 하나 만들어놓고 대신 말도 안될정도로 비싼 가격으로 밸런스를 맞춘 총기이다.
물론 가격 말고도 단점은 있는데, 사용 난이도가 모든 총기들 중 가장 어려운 난이도에 속한다. 일단 컨트롤 수치가 바닥을 긴다. 조준하고 있으면 말 그대로 요동치는 조준점을 보게 될 것이며, 아무리 잘 조준을 해도 바로 비껴나가버리는 조준점과 큰 반동,3점사의 특성이 어우러져 중거리~원거리 교전은 힘들다. 예전 패치 이후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바닥을 기게 된 '''유지력'''. 탄창용량은 20발에서 15발로 줄었고, 그나마 있던 10발의 예비탄약이 모두 사라졌으며 필드상의 탄약상자를 열었을때 얻게되는 탄약의 양이 기존 5~7발에서 2~3발로 반토막이 나버리는 폭탄 너프를 먹었다. 이전에는 한번에 2~3파티정도는 넉넉히 상대하던 장탄량이 지금에 와서는 겨우 한파티정도를 상대하면 탄약부족에 허덕여야 하는 정도로 떨어져버린 것. 따라서 예비탄약 보충을 위해 부무기로 어퍼컷이나 오브레즈같은 롱탄을 쓰는 무기를 장비하는 것이 필수이다 . 최근패치 이후엔 어퍼컷을 보조무장으로 장비했을때 기준으로 탄약박스에서의 수급량이 기존 2~3발에서 4~6발로 늘어났지만 2점사에서 3점사로 바뀌고 반동이 이전보다 강해졌다. 예전엔 그래도 50미터가량의 중거리까지도 교전이 가능했지만 이젠 35~40미터만 되도 3점사 한번으로 잡기 힘들게 되었다.좋아진 점도 있고 반대인 점도 있지만 전체적인 평가는 너프.
이 게임의 유일한 완전자동무기라는 점, 그런주제에 컨트롤을 제외한 기타 스펙은 모신나강과 동일, 어느 거리건 박히는 한발당 140이라는 데미지, 그리고 1250달러의 가격이라는 상식 밖의 스펙때문에 다른 총기들의 성능 밸런스를 논할때 이 총기만큼은 논외로 하는 것이 암묵적인 룰.
깡패같은 화력은 여전하므로 아브토맛을 든 적이 있을 경우 최대한 정면승부를 피하여 기습을 노리자. 어차피 아브토맛은 스파크나 모신나강 상대로 원거리전에서 밀리며 샷건 상대론 근거리에선 비등비등한 총이다. 원거리전으로 상대하던지 샷건들고 근접 기습을 노리자.

2.2.6. Lebel 1886


[image]
Lebel 1886 소총은 난전속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획기적인 10발들이 라이플입니다.
'''장탄량'''
9+1발
'''탄약량'''
5발
'''사거리'''
250m
'''공격력'''
132
'''조준도'''
83%
'''연사력'''
34rpm
'''재장전'''
18초
'''총구속도'''
63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52
'''구매가'''
397$
'''모티브'''
르벨 M1886
'''바리에이션'''
Lebel 1886
Marksman

XP, $
중거리 조준경 부착
Lebel 1886
Talon

XP, $
강공격 120
무연화약 총기시대의 초창기 즈음에 등장하여 후대의 총기들에 많은 영향을 끼친 프랑스의 볼트 액션 제식소총이다.
롱탄을 쓰는 두번째 볼트액션 소총이며, 모신나강과는 상호호환 관계이다. 가격은 397달러로 모신보다 약 100달러 저렴하며, 데미지도 모신보다 4 낮고 연사력과 재장전 속도 모두 모신보다 느리다[27]. 대신 장탄량이 5/10인 모신과는 다른 10/5라서, 재장전없이 한발한발 맞사격하며 싸울때는 모신보다 더 나은 유지력을 보여준다. 게다가 알게모르게 모신보다 총구속도도 미세하게 빠르다[28]. 그리고 핸들링수치도 8%가 높아 흔들림이 조금 덜하다.
단점으로는 탄약관리가 어렵다는점. 모신의 경우 탄약박스에서 2~3발,탄약갑에서 1~2발이 수급되지만 르벨은 탄약박스에서 1~2발,탄약갑에선 거의 확정적으로 1발만 수급된다. 게다가 모신처럼 재장전시 약실밖으로 1발이 유실되는 특징이 있는데 전탄소모후 장전시 잃어버리는 탄이 없는것도 매한가지지만 10발이라는 많은 장전수가 발목을 잡는다. 이 때문에 탄 유실을 막는 불렛그러버 특성 또는 탄 수급량을 늘리기 위해 보조무장으로 어퍼컷을 선택하는것이 어느정도 강요된다.

2.2.7. Springfield 1866


[image]

'''장탄량'''
1발
'''탄약량'''
25발
'''사거리'''
175m
'''공격력'''
132
'''조준도'''
80%
'''연사력'''
42rpm
'''재장전'''
2초
'''총구속도'''
49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1
'''구매가'''
38$
'''모티브'''
스프링필드 M1866
1.1.3 패치로 추가된 중형 탄의 대형 무기, 남북 전쟁 당시 사용되었던 플린트록 방식의 머스킷 소총들과 당시 유럽 전역에서 대세가 되어가던 무연화약 사용 후장식 소총의 사이에 걸쳐진 과도기적인 물건이자 트랩도어 방식의 단발장전식 소총이다. 당시 미합중국 육군의 제식 소총이었다. 중형 탄약을 사용하며 머스킷을 개조했단 설정답게 '''1 랭크'''에 해금되며 38 달러를 요구한다.
바리에이션은 저격 스코프가 달린 마크스맨, 중형으로 잘린 컴팩트, 중형 조준경이 달린 컴팩트 데드아이, 소켓식 총검[29] 이 달린 컴팩트 스트라이커로 총 4개이다. 최근 패치로 사거리가 150m에서 175m로 상향을 받았다

2.2.8. Martini-Henry IC1


[image]
대영제국의 주력 소총입니다, 마티니-헨리 소총은 단발식 브리치 로딩 방식 소총이며 힘과 단순함을 중시합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22발
'''사거리'''
250m
'''공격력'''
143
'''조준도'''
70%
'''연사력'''
45rpm
'''재장전'''
3초
'''총구속도'''
40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16
'''구매가'''
122$
'''모티브'''
마티니-헨리 소총
패치 1.1.3 패치로 윈체스터 1866과 함께 추가된 대형탄 소총이며 줄루 전쟁 등에서 쓰인 대영제국의 폴링블록 소총이다. 스파크 LRR과 유사하지만 총구 속도와 공격력이 약간 낮고 연사력이 조금 올랐다.
롱탄을 쓰는 무기치고 두드러지는 단점은 롱탄 라이플류중 탄속과 핸들링이 가장 낮다는 점. 장거리 교전에 유리한 롱탄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탄속은 윈필드와 똑같이 400m/s이며 이는 스파크의 533m/s와 600m/s가 넘는 모신,르벨에 비해 롱탄라이플 치고는 돋보적으로 낮다.
게다가 핸들링수치가 70%이며 총검이 달린 립소트 버전은 66%까지 떨어지는데 이는 아브토맛을 제외한 대형크기 롱탄라이플중 가장 낮다. 그렇게 때문에 장거리 교전에 유리해야할 롱탄 라이플임에도 낮은 탄속,상대적으로 높은 흔들림으로 인해 장거리의 목표를 명중시키기 힘들다.
대신 장점으로는 제일 먼저 해금되는(10랭크에 해금) 저렴한 롱탄무기인 점과 스파크 다음으로 높은 143의 대미지,빠른 장전속도, 그리고 롱탄이기에 관통력이 높다는 점이다. 저랭크에서부터 원거리 이하 교전거리에서 롱탄의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총.
탄약휴대량이 총 23발로 롱탄무기중 가장 많은 휴대발수를 지니고 있지만 다 사용할 정도로 교전을 오래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묻히는 장점.
바리에이션으로 중형 조준경이 달린 데드아이 버전과 총검이 달린 립소트 버전이 있다.

2.2.9. Nitro Express Rifle


[image]
대형동물 사냥을 위해 만들어진 이 압도적인 파워의 수평쌍열 라이플은 중거리에서 가장 거대한 목표물을 일격에 사살할 수 있습니다. 한정된 양의 탄약만을 보유합니다.
'''장탄량'''
2발
'''탄약량'''
4발
'''사거리'''
250m
'''공격력'''
'''364'''
'''조준도'''
41%
'''연사력'''
60rpm
'''재장전'''
4초
'''총구속도'''
55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랭크 83
'''구매가'''
1015$
'''모티브'''
엘리펀트 건
'''매우 적은 장탄량과 무식한 반동과 쓰레기같은 가시성을 이겨낸다면 원샷킬을 보장하는 근중거리용 소총'''
통칭 엘리펀트 건. 더블배럴 소총이다. 단발 위력만 보면 모신나강조차도 범접 불가능한 이게임 최고존엄이다. 사람은 50미터까지 몸샷 한방[30], 20미터까지 팔샷,하체는 한방킬이 안나지만 근거리서 맞으면 딸피가 되어버린다. 다만 후술되었듯 데미지 감소율이 엄청나기때문에 50미터 이상으로 멀어지면 적 헌터 몸샷 한방이 나오지 않으며, 특성상 탄 보급이 어려운 총기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50미터 이상의 적에겐 쏘지 않는 것이 좋다. 헌트 쇼다운의 모든 총들 중 가장 재밌고도 극단적인 성능을 지니고 있는데, 50미터 내라면 한방에 보내버리는 데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패널티로 갖고 있는 극단적인 반동과 더블배럴이라는 적은 장탄량과 예비 탄약(총 탄약수 겨우 6발!), 그리고 모든 총기들 중 가장 나쁜 거리별 데미지 감소율(damage falloff)을 가지고 있다. 심각할정도로 적은 탄약수를 봐도 알 수 있다 시피 어지간하면 절대 몬스터를 잡는데 낭비하지 말고 최대한 한발 한발 신중하게 아껴서 헌터를 원샷원킬 하도록 사용해야 한다.
몸샷을 맞출 수만 있다면 상대방을 확실하게 끝장낼 수 있다는 점에서 보면, 진정한 의미의 실력총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발자들이 공개한 탄종별 거리당 데미지 감소율 링크
정확한 정보가 공개되기 전까지는, 거리불문 한방의 끝판왕급 저격소총이라는 인식이 강했'''었'''다. 그러나 간간히 들려오는 '''니트로로 100미터정도 거리에서 몸샷을 맞췄는데도 한방에 안죽더라''' 같은 증언들에 따라 총기별 데미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싶다는 유저들의 요청이 많아졌고, 그에 따라 공개된 탄종별 데미지 감소율 그래프는 충격적이게도 니트로가 최악의 거리별 데미지 감소율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래프를 보면 (샷건탄환 제외) 컴팩트, 미디엄, 롱 탄종은 거리가 얼마가 멀어지던 최소데미지가 원래 데미지의 45~60% 정도지만, 니트로는 100미터부터 적용되는 최소데미지가 고작 원 데미지의 '''15%정도'''임을 알 수 있다. 즉 이걸 초장거리 저격소총인줄 알고 100미터 거리에서 쏴 맞춘 사람은 고작 40데미지 정도밖에는 주지 못했을 것이란 사실(...) 그래프를 보면 니트로탄이 데미지가 반토막나는 구간이 50~55미터정도이므로, 5~60미터 거리의 상대방은 몸샷을 하더라도 한방에 잡지 못한다는 것이 팩트로 밝혀졌다. 따라서 니트로 익스프레스는 사실상 저격소총이 아니라, 근~중거리의 죽창 단발총 개념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
사실 상기한 단점들 따위보다 가장 큰 문제는 '''쓸데없이 보기 어렵게 생긴 조준경'''[31]과 조준시 흐려지는 시야이다. 시력검사 눈가리개처럼 생긴 가늠자가 조준하는 부분의 주변부를 다 가려버리기 때문에, 어떤 위치를 감시하려면 총구를 그 위치가 아니라 옆으로 돌려놓아야 시야가 확보된다는 답답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최근 패치로 인해 정조준시 조준경의 작은 구멍을 제외한 모든 시야가 대폭 흐려지도록 너프되어서 가시성이 매우 떨어지는 총이 되었다.
빅업뎃2로 인해 지향사걱 명중률이 크게 너프를 먹고 탄약상자에서 탄 수급이 불가능하게 바뀌는 너프또한 먹게되었다. 그러나 거리불문 몸샷 한방에 사람을 보내버리는 끔찍한 데미지 버그로 인해 현재 고렙존에선 너도나도 들고다니는 개사기무기가 되었다. 애초에 게임 밸런스를 파괴하는 '''유효사거리 내 한방'''이라는 점도 심히 사기스러운데, 저런 끔찍한 버그까지 겹쳐져서 우주파괴무기가 된 상황. 다행이 개발진들이 버그를 조속히 고치겠다고 선언하였고 고쳐진 상황이다. 또한 빅업뎃3에서 사지에 대한 데미지 너프[32]가 가해져서 밸런스가 얼추 맞춰진 상황.

2.3. 쇠뇌



2.3.1. 산탄 쇠뇌



화살의 끝에 산탄을 엮은 수제 석궁 입니다.산탄은 화살이 착탄하면 발사됩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12발
'''사거리'''
45m
'''공격력'''
250
'''조준도'''
54%
'''연사력'''
10rpm
'''재장전'''
6초
'''총구속도'''
10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150$
석궁 해금 트리의 맨 마지막에 위치해있다.
쇠뇌의 화살에 뇌관과 산탄을 엮어내서 착탄시 산탄이 터지도록 만든 석궁이다.
실성능을 떠나서 헌쇼 제작진들의 재치있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재미있는 무기들 중 하나이다. 석궁 볼트 끝에 샷건쉴이 달려있기 때문에 맞추기만 한다면 '''영거리 산탄샷'''을 먹이는 것과 똑같아진다. 따라서 "맞추기만 한다면" 어느 부위를 맞추든 거의 100% 확정 킬이 뜨게 된다. 그러나 폭발석궁과 더불어서 한번 발사하면 볼트가 터져버리는 점 때문에 볼트 회수가 불가능하다는 것과, 일반 석궁보다 더 심한 낙차때문에 사용하기는 상당히 까다로운 무기이다. 게다가 일반 석궁의 장점인 조용하고 빠른 몹/동물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점이 상대적 단점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서 효율이 크게 바뀌는 무기이기도 하다. 어느 거리건 석궁 맞추듯 직격으로 맞추기만 하면 한방킬을 보장해주며, 벽 뒤에 숨어있는 적에게 먼 거리에서도 영거리 샷건 월샷을 때려박아주는 것이 가능하고, 적 기습시 빗나가더라도 적의 발밑 근처에서 터진 샷건쉘때문에 적을 잠시나마 혼란시킬 수 있는 등 여러가지 트릭키한 운용이 가능하다. 석궁 특유의 낙차와 탄속에만 익숙해진다면 재미있게 쓸수 있는 고수용 무장이다.

2.3.2. 쇠뇌



강력한 화살을 발사하는 수제 석궁 입니다.조용한 임무와 잠입 플레이때 유용합니다.긴 재장전 시간을 가지고 있으며,발사된 화살은 회수가 가능합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12발
'''사거리'''
47m
'''공격력'''
260
'''조준도'''
54%
'''연사력'''
10rpm
'''재장전'''
6초
'''총구속도'''
15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73$
석궁 해금 트리의 3번째에 위치해있다. 손쇠뇌(레벨언락제) - 독 손쇠뇌 - 쇠뇌 순서.
업데이트#2.1 에서 유저들의 성원에 결국 추가된 죽창무기. 유효사거리 내에서 몸샷 한방이라는 아름다운 데미지와 무소음 무기라는 장점이 한대모인 무기. 문제라면 역시 로메로를 능가하는 끔찍한 재장전시간과 움직이는 타겟을 맞추라는 건지 알 수 없는 탄속이있다. 해당무기가 추가되면서 관련 특성도 두개 생겼는데 하나는 장전속도를 비약적으로 빠르게 해주고 하나는 발사돼서 박힌 볼트가 희미하게 하이라이트돼서 회수하기 쉽게 해준다.
추가적으로 pve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근접무기로 소리를 안내고 보스를 순삭하듯이 소리없이 보스를 녹여버릴 수 있다. 근접무기처럼 엄청나게 빠른속도로 녹여버리지는 못하지만 원거리무기인 만큼 훨씬 안정적이고 장전속도를 줄여주는 특성을 익힌다면 근접무기에 준하는 속도로 보스몹을 빠르게 녹일 수 있다.
발사된 볼트는 가까이가서 회수가 가능하며 이 외에도 필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보라색 스페셜탄약갑을 루팅시 4개의 볼트가 수급된다.

2.3.3. 폭발 쇠뇌




'''장탄량'''
1발
'''탄약량'''
9발
'''사거리'''
33m
'''공격력'''
200
'''조준도'''
54%
'''연사력'''
10rpm
'''재장전'''
6초
'''총구속도'''
6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130$
쇠뇌 트리의 끝판왕인 샷볼트 바로 전에 위치해있다.
유탄을 발사하는 석궁이다. 거리별 데미지감소가 없는 유일한 무기이지만, 애당초 데미지감소 라는 것이 적용될 만큼의 사거리가 나오지는 않는다. 탄속이 기가막히게 느리고, 50미터 정도가 최대 사거리다. 탄 낙차가 매우 크므로 최대 사거리를 쏘려면 45도 각도로 발사하여야 한다. 이 무기의 범위 데미지로 적을 사살하려면 2방은 맞추어야 한다. 엄폐물 뒤의 적을 공격 가능 하다는 것이 존재의의로 폭발 범위는 지름 2미터 정도이다.
적을 맞추는것 보다 적의 이동방향, 엄폐위치로 발사하여 폭발 범위에 적이 들어가게 만들어서 적을 죽이는게 좋다.
이 무기를 활용할 방법은 아주 많다.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그리고 돈값을 못하는 성능때문에 문제지. 사실 가장 큰 단점은 데미지인데, 맞추기도 끔찍하게 힘든주제에 폭발물인데도 직격시 데미지가 125라서 한방컷을 내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이다.

2.4. 특수무기



2.4.1. Bomb lance


[image]
육상에서의 전투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발사된 폭발 작살은 짧은 거리를 비행하여 직격시 무서우리만치 거대한 대미지를 입힐 수 있습니다. 다섯 개의 작살을 보유하며, 또한 백병전에서 창날의 위력은 가히 가늠할 수 없습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4발
'''사거리'''
25m
'''공격력'''
'''150'''
'''조준도'''
%
'''연사력'''
15rpm
'''재장전'''
4초
'''총구속도'''
60m/s
'''약공격'''
'''180'''
'''강공격'''
'''360'''
'''해금'''
랭크 78
'''구매가'''
199$
2019년 5월 초에 적용된 6.0 패치에서 추가된 신무기이자 설정상 헌터들을 고용한 샤냥 협회가 특수 제작한 무기이다. [33] 78 랭크에 해금되며, 이 게임에서 가장 특이한 무기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폭발 작살을 발사하는 기계 장치가 [34] 내장된 총창인데, 이름인 밤 랜스 답게 발사하는 작살 볼트가 무려 폭탄이 달린 작살이다. 폭발 작살은 단발식이며 예비탄약은 4발로 총 장탄량 5발, 장전하는 데는 약 4초 정도가 걸리며 착탄 후 폭발까지 약 2초가 걸린다. 또한, 폭발 작살의 데미지는 직격시에만 입으며, 범위데미지는 가지고 있지 않다.
일단 성능이나 가성비를 떠나서, 끝장나게 화끈한 남자의 로망을 담은 무기라는 게 중론. 발사가 가능한 폭발 작살은 보스인 Butcher를 4번의 직격으로 보낼정도로 강력하기에, 만약 적 헌터의 몸에 박기만 한다면 단 한방만으로 적을 메인화면으로 사출시키는 남자의 로망 그 자체를 실현할 수 있다. 몬스터는 종류를 가리지 않고 직격 폭발로 사망시 육편이 튀는 소리와 함께 시체가 말그대로 폭발한다[35]. 폭발 작살의 직격데미지만큼이나 무서운 것은, 베이스 자체가 육중한 창답게 근접 공격의 대미지가 현존하는 모든 무기들 중 가장 강력하다는 점이다. 아머드가 강공 한방, 미트헤드가 강공 두방인데다, 제일 압권인 것은 '''헌터를 약공 한방'''[36]에 주님 곁으로 보내버린다는 것. 스태미나를 절반이나 써버리는 강공격과 달리, 약공은 약 15%밖에 소모하지 않는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리치를 따진다면 창답게 총검이나 기병도와 엇비슷 하거나 조금 더 긴 정도로 길쭉길쭉한데, 두개의 무기는 주 공격 모션이 찌르기인 반면 밤랜스는 약공, 강공 둘다 큼직하게 휘두르는 횡베기라 맞추기도 훨씬 쉽다. 가히 근접무기의 끝판왕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그러나 이런 독특한 무기들이 그렇듯 단점도 만만찮은데, 첫 번째는 폭탄 작살의 애매함이다. 폭발피해를 줄여주는 불워크 특성을 찍은 적을 상대로는 작살이 직격해도 한방이 아니거니와, 무척이나 느린 탄속과 끔찍한 낙차 때문에 사실상 근거리가 아니라면 작살을 맞추는 것은 운에 맡겨야 하는 수준이다. 문제는 폭발 작살을 어느 정도 맞히기 수월한 거리가 보통 10미터 전후인데, 이는 이 게임에서 샷건의 유효사거리 내라는 것. 코너에 숨어있다가 근접 공격으로 때려잡지 않는 이상 샷건에 완벽히 밀리게 된다. 반대로 소총을 상대로 근중거리 이상부터는 맞출 수가 없어서 밀리게 된다. 정리하자면 밤 랜스로 적을 압도할 수 있는 상황은 소총이 주 무기인 적을 근거리에서 기습하는 상황인데, 이는 샷건이 더 잘한다. 더군다나 그 소총을 든 적이 부무기로 리볼버 패닝이라도 갈겨댄다면 밤 랜스 입장에서도 잘해봐야 동귀어진인 상황이 나오게 된다.
게다가 착탄하자마자 터지는게 아니라 착탄하고 잠시후 터지기 때문에 그사이에 적이 죽기를 각오하고 반격하면 머저 맞혀놓고도 같이 죽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절대적인 성능을 떠나 190달러라는, 성능에 비해 싼 가격과 더불어 재미있는 폭탄 작살의 메커니즘과 강력한 근접 공격력 덕분에 충분히 매력적인 무기라는 평가를 받는 중이다. 보조무기로 충분한 화력이 나오는 어퍼컷이나 돌체를 든 후에 근접무기의 개념으로 쓴다면 훌륭한 무기.

3. 중형(Medium)


카빈형 권총(권총에 개머리판이 달린 모델)과 소드오프류 무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5월 12일자 대규모 패치 이전에는 '''쿼터마스터''' 특성이 대형 무기만 두개를 들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중형 무기는 버려졌다. 그러나 5.12 대규모 패치 이후 쿼터마스터 특성이 대형+중형으로 너프를 먹고, 쿼터마스터 스탯이 없다면 중형+중형 혹은 대형+소형만 되도록 바뀌었다.

3.1. 소드오프 산탄총



3.1.1. Romero77 handcannon



소드오프,중절식의 싱글배럴 샷건입니다.좁은 공간에서 다루기 쉬우며,원본에 비해 명중률이 낮지만,핸드캐논 무기들중 사거리가 가장 깁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10발
'''사거리'''
10m
'''공격력'''
140
'''조준도'''
86%
'''연사력'''
30rpm
'''재장전'''
3 초
'''총구속도'''
375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26$
소드 오프 버전의 로메로로 중형 무기 슬롯에 장착가능하다. 재대로 정조준하면 7~8미터까지도 한방컷을 띄울 수 있으나 안그래도 단발인 로메로 베이스에 집탄률까지 좋은편이 아닌지라 운용하기가 어려운 무기. 랜덤큐를 돌려 잡힌 팀원이 이걸 들고있으면 저절로 한숨부터 나오게 만드는 장난감같은 도구. 로메로 태생인지라 그래도 소드오프류 샷건중 1발 대미지는 가장 높지만 한방컷을 기대할 수 있는 7~8미터거리에서 행여나 빗나가면 매우 곤란한(...)상황이 벌어지는지라 운용난이도가 높다.

3.1.2. Romero 77 hatchet



많이 개조된,중절식의 싱글 배럴 산탄총 입니다.소드오프화 되었고,근거리 전투를 위해 추가적으로 날을 부착했습니다.
'''장탄량'''
1발
'''탄약량'''
10발
'''사거리'''
10m
'''공격력'''
85
'''조준도'''
80%
'''연사력'''
30rpm
'''재장전'''
6초
'''총구속도'''
375m/s
'''약공격'''
90
'''강공격'''
150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62$
위에서 말한 핸드캐논 버전에 손도끼를 달아놓은 버전이다. Talon버전보다 근접공격이 더 강하고 사용시 딜레이가 거의 없어서 후술할 마체테나 기병도같은 전문 근접무기의 역할을 맡게 된다. 로메로 핸드캐논보다 대미지가 다소 낮아졌지만 달려있는 손도끼가 쓸만한지라 '''근접 무기'''로 보는 것. 가끔씩 잡몹 처리나 보스 사냥시의 유용성 또는 밤맵에서의 효율성때문에 전문 근접 무기를 애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37] 이런 경우 가장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근접무기들중 쓸만한 데미지이기도 하고[38]. 즉 쉽게 말해 전문 근접 무기인데 출혈을 일으키는 샷건탄환을 어설프게나마 덤으로 발사가능한 혜자 무기로 생각하면 된다. 근접한 적에게 사격했을때 적이 죽지 않았을경우 바로 손도끼로 찍어버리는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본 로메로 핸드캐논보다 근거리전투의 안정성이 더 높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3.1.3. Caldwell 78 rival handcannon




'''장탄량'''
2발
'''탄약량'''
6발
'''사거리'''
7m
'''공격력'''
85
'''조준도'''
84%
'''연사력'''
90rpm
'''재장전'''
4초
'''총구속도'''
350m/s
'''약공격'''
13
'''강공격'''
31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85$
더블배럴 샷건의 소드오프 버전이다. 훌륭한 가성비의 일반 더블배럴을 쓰다가 이걸 쓰게되면 로메로 핸드캐논급의 산탄도에 실망하게 되지만, 그래도 2연발이라 초근접시 살상력은 기대할만 한 편. 사실 울며 겨자먹기지만 쿼터마스터 특성 개편 의 덕을 가장 많이 보고 있는 무기인데, 이제는 (오브레즈를 제외한 모든 대형)소총과 샷건을 조합하고 싶다면 쿼터마스터를 배운 후 이놈을 드는게 효율적인 선택이 되었기 때문이다. 일단 근거리에서 한놈만 잡자는 각오로 1명에게 2발을 쏘면 다른 소드오프에 비해 안정적으로 1킬을 따낼 수 있다.

3.2. 소드오프 소총



3.2.1. Mosin-Nagant M1896 Obrez




'''장탄량'''
5발
'''탄약량'''
10발
'''사거리'''
250m
'''공격력'''
136
'''조준도'''
71%
'''연사력'''
34rpm
'''재장전'''
3초
'''총구속도'''
550m/s
'''약공격'''
13
'''강공격'''
31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290$
통칭 오브레즈. 실제 역사에서도 같은 형태와 이름으로 쓰였던 모신나강 소총의 소드오프 버전이다. 소드오프여도 일단은 꼴에 소총 베이스인지라 모신나강과 기본 스펙은 거의 동일하다. 거리별 데미지 감소율만 살짝 늘어난 성능이지만 그래도 어지간한 교전거리에서 모신나강의 최대 140데미지를 박아줄수 있다.
그러나 사실상 거의 쓰이지 않는데, 문제는 미칠듯한 흔들림때문. 총열뿐만 아니라 개머리판도 싹둑해버려서 그런지 앉아쏴 자세에서도 조준시 조준점이 이리저리 흔들린다. 흔들림을 제어하기는 커녕 오히려 사용자가 흔들림에 몸을 맡겨야 하는 수준(...). 게다가 기본 모신나강에 비해 한층 굵어진 가늠쇠로 인해 원거리 조준이 더 불편해졌다. 그래도 중형무기 치고는 원거리전투력이 높다는 특징은 변함없는 무기.
빅업뎃 5로 인해 더 근접 공격력이 강한 오브레즈 메이스가 추가되었다.

3.2.2. Winfield M1873C Vandal




'''장탄량'''
6+1발
'''탄약량'''
28발
'''사거리'''
95m
'''공격력'''
110
'''조준도'''
71%
'''연사력'''
50rpm
'''재장전'''
8초
'''총구속도'''
370m/s
'''약공격'''
13
'''강공격'''
31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35$
1.4.3 패치로 출시된 윈필드의 중형무기 버젼. 기존 M1873C의 장탄량에서 한발을 줄인 7발을 장전할 수 있으며, 다른 윈필드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조준이 지속되는 아이언 리피터와 레버링 퍽이 적용된다. 해금은 기존 윈필드 C 시리즈를(silenced, marksman) 다 해금해야 해금하고 구매할 수 있지만, M1873C 시리즈가 저티어 헌터용 무기이기 때문에 초반 1티어 헌터들에게서 심심찮게 볼 수 있고, 사용해볼 수 있다.
바리에이션으로 Deadeye 버젼이 있다. 가격은 45$.

3.3. 권총 카빈


권총에 개머리판을 단 형태의 무기. 양손무기로 분류되긴 하나 베이스가 권총이라 특성없이도 한손무기 슬롯에 장착가능하다. 안그래도 가벼운 권총에 개머리판까지 달려있으므로 control 수치가 모든 총기류중 가장 높다. 컨트롤 수치는 조준하고 있을 시 총기의 흔들림 정도를 뜻하는데, 심하면 조준점이 8자댄스를 추는 다른 총기들과는 달리 조준 유지시에 총기가 거의 움직이지 않는 매우 안정된 모습을 보여준다.

3.3.1. Nagant M1895 Precision




'''장탄량'''
7발
'''탄약량'''
21발
'''사거리'''
73m
'''공격력'''
91
'''조준도'''
86%
'''연사력'''
rpm
'''재장전'''
13초
'''총구속도'''
33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22랭크
'''구매가'''
29$
나강 리볼버에 개머리판을 달아놓은 형태. 원래 형태에서 조준 시 총기 떨림이 크게 감소했다. 기본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강 리볼버 항목으로.
5월 12일 자 패치로 스코프 바리에이션이 추가된 5개의 총기들 중 한 종류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기대반 우려반으로 예상하였던 니트로 익스프레스 대신 나강 리볼버에 붙게 되었는데, 반응은 대체로 좋다. 19세기 말 배경에 권총 스코프라서 신선하기도 하고.
패치 이후 필요에 따라 많이 쓰이는 총기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실 성능은 이전의 나강 리볼버에 [39] 스코프를 달아놓은 것뿐이지만, 이 총기 또한 쿼터마스터 특성 너프의 덕을 톡톡히 받고 있는 것. 일반(대형) 샷건을 든 상태에서 추가로 중거리 이상의 교전에도 대비하기 위해 싼 가격에 정밀 화력을 챙기고 싶다면 이 총이 [40] 실질적으로 유일한 선택이기 때문이다. 상술된 오브레즈는 물론 강력하긴 하지만 너무 비싼 데다 지랄 맞은 스윙 때문에 써먹기가 힘들다. 게다가 기본 배율이 없어져서 더 써먹기 힘들어지기도 하였고... 이래나 저래나 샷건 애용자들에겐 약방의 감초 같은 나강 프레시전 데드 아이이다.
기본 나강에 비해 사격속도가 조금 더 빠른 장점이 있다.
데드 아이가 아니라 기본 버전 또한 많이 쓰이게 되었는데, 패치를 통해 반동이 사라졌기 때문. 그냥 반동 자체가 없어졌다.

3.3.2. Dolche 96 Precision




'''장탄량'''
10발
'''탄약량'''
10발
'''사거리'''
86m
'''공격력'''
110
'''조준도'''
80%
'''연사력'''
164rpm
'''재장전'''
4초
'''총구속도'''
44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790$
돌체 96에 개머리판을 달아놓은 형태. 원래 형태[41]에서 조준 시 총기 떨림이 줄어들고 재장전속도가 조금 더 빨라졌다. 기본 돌체보다 40달러뿐이 차이가 나지만 대형무기와 같이 장착하려면 쿼터 마스터가 필요하다. 돌체가 강력한 무기임은 맞지만 태생이 권총인지라 교전거리가 길어봐야 중거리이하인것을 감안하면 총기떨림이 영향을 크게 받는건아니니 쿼터마스터를 찍고 프레시전을 들지, 아니면 그냥 기본 돌체를 들지는 본인의 스타일에 맞게 선택하자.
소소한 장점으로는 중형무기다 보니 날 죽인 적이 쿼터 마스터가 없다면 무기를 루팅할때 고민의 길에 빠지게 만든다(...)
개머리판이 없는 기본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Dolch 96 항목으로.

3.3.3. Bornheim No.3 Match




'''장탄량'''
5+1발
'''탄약량'''
10발
'''사거리'''
60m
'''공격력'''
74
'''조준도'''
85%
'''연사력'''
210rpm
'''재장전'''
3초
'''총구속도'''
400m/s
'''약공격'''
27
'''강공격'''
54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224$
기존 본하임에 총구 길이를 늘리고 개머리판을 붙인 중형 무기. 위의 돌체 프레시전처럼 조준시 총기 떨림이 줄어들었다. 돌체 프레시전과 마찬가지로 사용하기에는 애매한 무기. 하지만 성능만큼은 좋다.

3.4. 쇠뇌



3.4.1. 손쇠뇌




'''장탄량'''
1발
'''탄약량'''
12발
'''사거리'''
45m
'''공격력'''
195
'''조준도'''
53%
'''연사력'''
12rpm
'''재장전'''
5초
'''총구속도'''
100m/s
'''약공격'''
13
'''강공격'''
27
'''해금'''

'''구매가'''
44$
생김새는 디스아너드의 코보가 들고다니는 쇠뇌처럼 생겼다. 성능은 딱 대형 쇠뇌의 하위호환.
이 무기 역시 근거리에서 한방에 보낼 수 있지만 한방이 가능한 거리가 짧아지고 탄 낙차도 심해졌다. 무소음 무기임은 변함없으니 몹이나 소음을 유발하는 말,닭장 또는 처리하기 애매한 높은곳에 있는 귀찮은 몹을 처리할때 유용하다.
어쨋든 한방에 적을 잡을 수 있다는 특성때문에 좁은 곳에서 이 무기를 들고 존버하면 샷건만큼 무시못할 존재감을 낸다.

3.4.2. 독쇠뇌




'''장탄량'''
1발
'''탄약량'''
12발
'''사거리'''
100m
'''공격력'''
100
'''조준도'''
53%
'''연사력'''
12rpm
'''재장전'''
5초
'''총구속도'''
100m/s
'''약공격'''
13
'''강공격'''
27
'''해금'''
선행 무기 해금
'''구매가'''
51$
탄착시 터지는 독볼트를 발사한다.
엄청나게 구린 성능으로 인해 아무도 쓰지 않는 무기다. 만약 쓸 일이 있다면 특정 몹 제거용으로 쓰자. 아머드와 이몰이 한방에 소리없이 죽는다.

4. 소형(Small)



4.1. 권총


빅업뎃3에서, 칼드웰 권총과 나강권총[42]이 패닝사격시 연사력이 대폭 올라가는 버프를 받았다. 도무지 쓸 이유가 없어서 버려지는 저렙 권총들의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패치인 듯.
1.0 정식출시 이후 리볼버류들이 너프를 받았는데, 장전 도중에 장전을 캔슬하면 이제 실린더를 회전하는 모션을 취하고 한참 뒤에 사격을 할수 있게 되었다.
아킴보 출시 이후 소형권총은 전부 쌍권총으로 무장이 가능하다. 쌍권총 무장시 중형무기로 분류되기에 대형무기에 같이 장비하려면 쿼터마스터 특성이 필요하다. 같은 종류의 총기끼리만 쌍권총이 가능하며(예를들면 한손에 나강 권총,다른 한손에 컨버전을 들 수 없다.) 정조준을 사용시 다른 총기처럼 가늠좌-가늠쇠를 일렬로 유지한 정조준이 아니라 화면이 조금 확대되고 명중률이 소폭 올라가므로 원거리 정밀사격은 불가하다.돌체,본헤임의 경우 쌍권총일경우 전탄소모시 가능하던 클립장전이 안되고 1발씩 장전하지만 아킴보 출시와 같이 나온 특성중 쌍권총의 재장전속도를 올려주는 특성을 배울경우 클립장전이 활성화된다.
비슷하게 운용할 수 있는 패닝+리볼버와 비교하자면 순간 화력은 연사력이 더 좋은 패닝이 유리하나 아킴보는 패닝과 비교했을때 명중률이 더 높고 발사 가능한 탄알수가 2배인만큼 전투지속성이 좋다. 근접한 거리에선 패닝, 이보다 조금 더 거리가 벌어지면 아킴보가 유리하다. 또한 아킴보의 경우 그래도 총을 2자루 들어서 그런지 한자루만 들었을때보다 탄 수급량도 높다. 그래서 주무장과 같은 탄종일 경우 주무장의 탄 수급에도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4.1.1. Lemat Mk.2 Revolver


프랑스인 장 르마에 의해 1856년에 고안된 르맷 리볼버. 실린더 축에서 20 게이지 산탄을 쏠 수 있도록 만들어 졌으며 특징은 공이 끝의 꺾음쇠 부품으로 일반 권총탄/산탄 사격 모드로 전환이 가능했으며 콜트 사의 1847 워커나 패터슨 등의 리볼버들을 포함한 동시기 리볼버들은 5~6연장 실린더인데 비해 이것은 9연장에 실린더 축에서 20 게이지 산탄까지 발사할 수 있었던 혁명적인 물건이었다. 이런 특이한 구조 덕에 아메리카 연합국은 남북전쟁 당시 르마와 계약을 체결했고, 총 2500 정 정도가 납품되어 남부군(아메리카 연합국) 기병대가 쏠쏠히 써먹어 전장에서 워커로 대표되는 콜트의 기병대용 리볼버와 맞수를 둔 물건인지라 지금도 남북전쟁 골동품 애호가들이 콜트 워커나 콜트 패터슨 등과 함께 환장하는 레어템급 물건이다.
랭크 46에 풀리며 95달러에 살 수 있다. 9발들이 컴팩트 탄환 실린더와 산탄총 탄환을 장전할 수 있는 총열을 장착한, 실질적으로 근접전에선 10발들이 리볼버로 X키를 통해 권총과 산탄총을 오가며 전투를 할 수 있으나 컴팩트와 산탄총 모두 원거리 전투에선 무용지물인 것이 흠이다.
모신 나강과 스파크를 비롯한 대형 탄환을 사용하는 저격총을 가져갈 때 부무장으로 쓰는 것이 좋을 수 있겠으나 이 쪽으로는 거의 절반 가량인 50달러에 살 수 있는 칼드웰 체인 리볼버가 있기 때문에 계륵, 만약 칼드웰 컨버젼 체인 피스톨을 언락하지 않았다면 대체제로 쓸 수 있다.
샷건탄을 발사할 수 있다는 특성때문인지 패닝으로서의 성능은 영 미묘하다. 그나마 9발의 장탄수가 조금 도움이 되지만 컴팩트 탄임에도 어퍼컷과 비슷한 발사속도를 갖고 있다.
또한 원본 르멧 리볼버는 전장식 리볼버인데 르멧 마크 2는 그것의 개량형이기 때문인지 원본에서 외형적, 성능적, 장전 방식의 개량이 이루어진 금속 탄피 및 후장식으로, 특히 산탄 총열 부분은 웨블리 리볼버와 유사하게 브레이크 액션식 장전 모션을 보여준다.
여담으로 게임의 배경이 이 권총의 주 사용처였던 남부 연합에 소속되었던 주인 루이지애나이기 때문에 당시 민간시장에 상당한 숫자가 풀린 르멧이 등장하는 것이다. 어찌 보면 고증을 훌륭하게 지켜낸 셈.

4.1.2. Bornheim No.3


모티브는 베르그만 1896 자동권총.
전체적으로 C96의 하위호환,5발들이(약실 포함 총 장전수는 6발) 삽탄식 탄창을 가지고있으며 데미지가 낮고,연사속도와 컨트롤이 C96보다 높다. C96과 비슷해 보이지만 Bornheim No.3 는 컴팩트 탄을 사용한다. 고로 C96보다 저지력은 떨어진다. 컴팩트탄 버프 이후로 나강 오피서와 자주 비교되는데 오피서보다는 화력이 떨어지지만 반동,발사속도에서 우위를 점하므로 취향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이 총의 진가는 바로 스파크 소총과 조합할때 드러난다. 거리 불문 상체샷으로 딸피를 만들어버리는 스파크 특성상, 스파크로 맞춘 다음 바로 보조무기인 본하임으로 스왑한 다음 난사해서 한대라도 맞추기만 한다면 킬로 이어지기 때문. 가격 상승 패치로 싼 가격은 옛 말이 되었다.
이러한 미니 돌체급 성능으로 인해 패치로 가격이 상승해 이제 일반은 201 달러, 익스텐디드는 306,매치는 224 달러나 하게 되었다. 게다가 최근 아킴보 패치로 인해 휴행 탄수도 15발에서 10발로 너프를 먹게 되었다.
'''파생형'''
  • Bornheim No.3 extended : 기존 본하임에서 탄창수가 3발 늘어나 9발이 된 버젼이다. 거의 미니 C96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클립장전이 불가능하다고 한발한발 삽탄 재장전을 한다.
  • Bornheim No.3 Match : 개머리판와 장총신이 추가된 중형 무기. 자세한 설명은 중형무기에서.

4.1.3. Caldwell Pax


빅업뎃 5에서 등장한 권총, 피스메이커란 별칭으로 유명한 콜트 싱글 액션 아미.
'''파생형'''
  • 1. Caldwell Pax(기본형) : 미디움 탄을 사용하기에 칼드웰 컨버젼보다 미세하게 높은 대미지와 관통력을 가졌다. 컨버젼의 상위호환급 성능을 가졌지만 비싸다. 컴팩트탄 버프 이후로 기본 컨버젼과 크게 다를게 없다지만 거리별 대미지와 관통력에선 우위를 점한다.
  • 2. Caldwell Pax Claw : 손잡이 아래쪽에 단검이 부착된 파생형. 근접공격이 도구 나이프보다는 미묘하게 약한 위력을 가졌다.

4.1.4. Caldwell Conversion Pistol


라이센스를 얻지 못해 칼드웰로 이름 지어진 콜트 리볼버로 보인다. 금속 탄피 버전의 최초의 모델 싱글 액션 아미보다도 이전 모델인 종이 카트리지를 사용하던 서부시대 시절의 콜트 워커 계열의 총기를 컨버전 킷을 사용하여 디자인한 것으로 보이며 그럼에도 게임상에서는 금속 카트리지를 사용한다. [43] 여담이지만 추후에 개머리판과 장총열이 달린 리볼버 카빈버전이 업뎃될 수도 있다.
총 3가지의 바리에이션이 있다. 이름만 칼드웰로 같을 뿐 서로 특징이 상이하다.
Caldwell Pax 리볼버가 추가되는 업데이트 이후 반동이 많이 낮아졌다. 지금의 팍스 권총이 업데이트 이전 컨버젼 리볼버랑 반동이 같다고 보면 된다.
'''파생형'''
  • 1. Caldwell Conversion Pistol(기본형) : 6연발 대구경 리볼버이다. 콤팩트 탄종을 쓰며, 낮은 가격에서 알 수 있다시피 썩 성능이 좋은 편은 아니다. 최대 대미지는 104. 근거리에서라면 몸샷 2방에 적을 잡을 수 있으나 연사력이 너무 느려서 이를 체감할 일은 거의 없다. 패닝특성을 배웠을경우 다른 리볼버에 비해 명중률이 조금 높고 6발 뿐이지만 발사속도가 매우 빠른 편.
  • 2. Caldwell Conversion Chain Pistol : 패닝의, 패닝에 의한, 패닝을 위한 리볼버. 칼드웰 컨버젼 시리즈의 두번째 총기로, 원통형 약실 대신 17연발짜리 탄띠(!)[44]를 달아서 마개조 시킨 총이다. 콤팩트 탄약을 사용하며, 장탄수만 많을 뿐 성능은 기본 칼드웰과 똑같다. 리볼버를 쓸 만한 거리에서의 총격전이라면 보통 몇 발 이내로 결판이 나고, 무엇보다 정작 권총은 매번 공이를 당겨줘야 쏴지는 싱글 액션 그대로이기에(...) 17발이란 장탄량은 실질적으로 의미가 없어서 고렙이 되기 이전에는 기피되는 총이다. 그러나 일단 패닝 특성을 언락 하게 되면 이야기가 달라지게 된다. 언제 이걸 다 쓰나 싶던 17발의 장탄량도 4초 남짓한 시간 내에 땅땅빵빵 갈겨버리는 패닝과 함께라면 이 권총을 다른 FPS게임의 기관단총처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패닝은 정조준 상태에서는 불가능하므로 근접 전용이지만, 원체 칼드웰 기본형이 반동이 적기도 할뿐더러 17발의 장탄량에 힘입어 지근거리까지는 반동 제어만 잘한다면 그야말로 갈아버릴 수 있다. 물론 초근접시 마우스 클릭 한방에 상대를 게임 밖으로 사출시켜 버리는 샷건보다는 약하지만, 한 발 한 발이 빗나가는 것이 큰 위협인 샷건과 달리 동날 새가 없는 17발 장탄 수로 상대가 눕는 꼴을 볼 때까지 갈겨댈 수 있으며, 샷건에게는 약간 부담스러울 애매한 교전 거리에서도 조준만 흐트러지지 않는다면 체인 피스톨의 난사는 위협적이다. 지근거리에서 마주치는 모두를 갈아버리는 훌륭한 총. 유사시에는 그냥 권총을 쓰듯 조준하여 사격하면 중거리도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어서 범용성 또한 우수하다. 다른 리볼버들도 모두 패닝은 가능하지만, 장탄량 6발(팍스)이라던지, 대미지가 너무 낮다(나강)던지, 반동이 너무 세다던지(어퍼컷) 등의 이유 때문에 결국 패닝에 가장 특화된 리볼버는 이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점이라면 장전인데, 싱글액션 탄띠식 리볼버이므로 전탄 소모 시 탄띠를 돌려가며 한발 한발 정성스레 장전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저절로 해탈(...)하게 된다.
  • 3. Caldwell Conversion Uppercut : 칼드웰 컨버전 시리즈의 최종 총기로, 대미지가 크게 늘었고 유효사거리 또한 증가하였다. 가격은 275달러로 다른 파생에 비해 상당한 고가이다. 롱 탄종을 사용하며, 좀 더 커진 탄약을 위해 칼드웰의 기본 베이스에서 약실이 앞뒤로 조금 길쭉하게 늘어나서 전체적으로 총이 더 커진 모양새를 하고 있다. 최대 대미지는 무려 130으로 권총 중 최강이며, 소총이 쓰는 롱 탄약을 쓰기에 탄속도 권총이라 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 물론 장거리 대응을 하기에는 보조무기로써 한계가 있긴 하지만, 쿼터마스터 특성을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산탄총을 들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근거리는 산탄총, 중거리 이상부터는 이 리볼버를 활용하는 식. 단점은 소총탄을 쓰는 리볼버답게 큰 반동과 장전속도이다. 반동이 크기 때문에 공이 후퇴 이후 가늠자-가늠쇠 재정렬까지만 해도 다른 리볼버들보다 두 배정도의 딜레이가 생긴다. 해머를 당기는 모션만 보고 쏜다면 근거리에서도 빗나갈 정도이므로 반드시 한발 한발 침착하게, 조준선 정렬이 끝난 이후 쏘도록 하자. 이 느린 연사력 때문에 보조무기임에도 근접전에서 약점을 보이지만, 패닝을 배우면 다재다능한 완성형 무기가 된다. 최대 120 대미지로 근접 상황에서 확정적으로 2발 컷을 보장하면서, 화력 대비 괜찮은 지향사격 명중률을 갖고 있기 때문에, 패닝으로 일단 연사력을 갖추는 순간 근접전 성능이 가파르게 상승한다. 물론 패닝을 배운다고 해서 큰 반동이 어디 가지 않으므로 시원하게 갈겨버리기엔 무리가 있고, 마찬가지로 패닝을 배운 체인 피스톨이나, 몸샷 기준으로는 똑같이 2발 컷을 낼 수 있으면서 연사력과 반동, 장탄수 면에서 압도적인 성능의 돌체 등 본격적인 근접전 특화 보조무기에 비해서는 밀리는 면도 있지만, 언제든 내가 원할 때 차탄 사격이 가능하다는 점만으로도 단점인 근접 전투력이 크게 메꿔진다. 아브토맛, 모신, 스파크 등의 롱 탄종 무기를 쓸 때 패닝 특성을 이용해 보조무기로 채용하면 좋다. 항상 탄약 부족에 시달리는 롱 탄종 무기들의 고질병을 어느 정도 해결해주며, 패닝을 통해 갈겨대는 최대 130 대미지는 원거리용 주 무기의 부족한 근접전 능력을 채워주기에 충분하다. 아브토맛의 경우에는 반대로 근접전 특화인 아브토맛으로는 탄약 소모가 부담스러워지는 중장거리 교전을 어퍼컷으로 보완할 수 있다. 패닝과 함께라면 어느 주 무기에 붙여도 우수한 높은 범용성의 고성능 권총. 정식출시 이후로 장전속도가 너프를 먹었다.

4.1.5. Nagant M1895


콜트 리볼버와 쌍벽을 이루는 동구권 리볼버의 대명사 나강 리볼버이다. 칼드웰처럼 여러가지 파생으로 나뉘는데, 단발 화력이나 장탄수가 큰 폭으로 상승하여 고레벨에도 주력으로 쓰이는 칼드웰의 바리에이션들과는 다르게 나강의 바리에이션들은 속사 능력을 갖추는 것 외에는 그다지 유의미한 성능차이가 없기에 조금만 지갑이 넉넉해져도 쳐다도 안보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속사 능력은 패닝 특성으로 커버가 된다는 점 때문에 고레벨 헌터에게 나강의 파생형은 칼드웰과 비교해서 이점이 없기 때문. 하지만 균형 잡히고 특성을 안 타는 기본 성능과 저렴한 가격 덕에 가장 흔하게 보게 되는 권총이다.
'''파생형'''
  • 1. Nagant M1895(기본형) : 칼드웰 컨버전 피스톨보다 단발 대미지가 조금 낮지만, 장탄수가 1발 더 많고, 연사력이 약간 더 높다.
  • 2. Nagant M1895 Officer : 더블 액션으로 개조된 장교용 나강 리볼버, 현재 유일한 더블 액션 리볼버로, 발사 후 공이를 젖혀줄 필요가 없어 속사가 가능하다. 패닝이 필수적인 다른 싱글액션 리볼버나 휴행탄수가 적어 보조 특성의 강요가 있는 내장형 탄창식 권총 등 다른 소형칸 권총류들과 달리, 특성이 전혀 없어도 최대 성능을 온전히 낼 수 있는 유일한 권총이며 저렴한 가격까지 갖추었다. 우수한 가성비 덕에 윈필드와 더불어 가난한 유저들, 또는 특성이 열악한 저티어 헌터를 위한 초반 장비로써 자주 채용되는 물건이다. 저렴한 가격,소형무기임에도 강력한 성능을 내는 권총으로 특유의 사격속도로 근중거리의 적을 2발에 잡을 수 있다. 컴팩트탄 버프 이후로 최대의 수혜자중 하나인데 버프 이후로 2발컷이 가능한 거리가 늘어난데에 비해 가격,크기,해금레벨,특성등 사용하는데 필요한 조건도 낮아서 무시할 수 없는 무기가 되었다. 게다가 오피서보다 우월했던 본하임의 가격 너프로 인해 이젠 가성비적으로도 좋은 무기가 되었다.
  • 3. Nagant M1895 Officer Brawler : 나강 오피서의 손잡이에 너클이 달려있는 바리에이션. 리볼버에 근접무기가 달려있는 형태이므로 급하게 근접공격을 해야할 때 무기를 바꾸는 딜레이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장점. 그런트를 처리할 때 외에는 근접공격을 쓸 생각이 없다면 나강 오피서에 나이프 도구를 추가로 드는 것보다 이것을 드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또 너클과 나강을 따로 드는 것보다야 이게 말할 것도 없이 낫다.기본 너클에 비해 공격시 스테미나 소모량이 늘어났다.(너클은 강공격이 10%인데 해당무기는 강공격이 25%의 스테미나를 소모한다.)
  • 4. Nagant M1895 Precision : 중형 무기 항목에서 설명.
  • 5. Nagant M1895 Silencer : 소음기가 장착된 나강 리볼버. 소음기 무기들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조용하기 때문에 들키지 않고 좀비들을 처리할 때 매우 유용하다. 투척 나이프를 거의 완벽히 대체할 수 있는 성능을 가졌기에 특히나 조심스러운 플레이를 하고싶은데 투척 나이프로 좀비의 머리, 특히 옆으로 꺾인 하이브의 머리를 맞추는걸 어려워하는 유저에게 좋은 무기. 하지만 대미지가 낮아도 너무 낮기에[45](패닝을 달고 사용하면 꽤나 쓸만한 무기가된다) 플레이어와 교전할 때는 거의 쓸모가 없다. 무기라기 보다는 도구에 가까운 성능과 사용처를 보이기에 이 무기를 선택하는 것은 사실상 보조무기칸을 포기한 대신에 고성능의 도구를 추가로 챙겨간다는 의미이다.
  • 6. Nagant M1895 Officer Carbine : 대형 무기 항목에서 설명.

4.1.6. Dolch 96


1.0 패치 이후 가격이 750원으로 뻥튀기되었고, 무엇보다 사용하는 탄이 스페셜탄으로 바뀌어서 교전 후 보급에 커다란 차질이 생기게 되었다. 잔탄이 5발에서 10발로 늘어난데다 순간 위력은 여전하지만, 게임 전체적인 면에서 봤을땐 유지력이 바닥으로 떨어져버린 덕분에 운용난이도가 매우 올라가게 되었다.
싸창권총, 마적단 권총으로도 불리며 20세기 초가 배경이라면 어디서든 나오는 마우저 C96 자동권총이다. 칼드웰 컨버전 어퍼컷과 더불어 이 게임의 권총 끝판왕이다. 68렙때 해금된다. 사실 권총에만 국한시킬 필요 없이, 모든 총기류를 통틀어도 모신나강 아브토맛같은 상식밖의 총기를 뺀다면[46] 실질적인 끝판왕급 총기로 보아도 무방하다.
그 이유인 즉슨, 반자동 무기인지라 사격속도가 빠른데 단발의 화력까지 좋기 때문이다. 다른 반자동 무기인 크라운 앤 킹은 산탄총이므로 오직 근거리에 국한되고 본헤임은 화력으로 인해 실질적 교전거리가 근중거리지만 돌체는 중거리까지는 무난하게 상대가 가능한 권총이다.즉 올라운드 무기라는 것. 또한 반자동권총 주제에 어퍼컷을 제외한 다른 리볼버들보다 데미지도 높고 최대데미지를 줄 수 있는 사거리 또한 더 길다. 최대 데미지는 거의 100에 가까우며 근-중거리 사이까지는 최대 데미지가 들어간다는 느낌.
750달러라는 가격이 말해주듯 성능 자체는 어디하나 빼놓을 것 없는 훌륭한 무기. 다만 어디까지나 권총이니만큼 장거리전에는 쓰기 힘들며, 컨트롤 수치가 낮아서 조준점이 여타 권총들만큼은 흔들린다. 조준점 흔들리는 문제는 개머리판이 달린 프레시전 버전을 사용하면 해결되나, 이는 이것대로 더욱 비싸며 재대로 쓰려면 쿼터마스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근~중거리정도만 커버한다고 생각하고 사용하자. 허무하게 죽지만 않는다면 어떤 상황에서든 훌륭하게 돈값을 하는 주무장같은 보조무장이다.
빅업뎃3에서 예비탄약이 20발에서 10발로 반토막났다. 이후 다시 5발로 반토막 났다가 1.0 업뎃 이후로 10발로 돌아왔다.

4.2. 근접무기


1.0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내용에 따르면, 근접무기 항목의 '''HANDLING''' 수치는 스태미너 소모량, 사거리와 휘두르기 각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p가 높을수록 리치가 길고, 스태미너를 적게먹으며, 휘두르기 각도가 크다'''.

나이프같은 도구가 아닌, 무기 슬롯 한칸을 차지하는 근접 전문 무기이다. 중형무기의 Romero 77 hatchet과 대형 무기의 Bomb lance도 실질적으론 근접 무기이다.
도구로 나이프나 너클을 들 수 있지만, 근접무기만의 장점도 존재한다. 나이프에 비해 스태미나를 덜 소모하며, 강공격 한방에 풀피 헌터를 암살할 수 있다. 시계가 확 트인 낮맵 야외에서는 조금 효율이 떨어지지만 어두운 밤맵이나 건물 내부등에선 존재가 발각되지만 않아근접무기 기습이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다. 초근접전이라면 라이플 정도는 컨트롤로 이길 수 있다.
다만 보스샤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보스의 프렌지 기능 때문에 근접전을 걸면 바로 죽는다. 만약 급하게 필요하다면 주변의 공구 아이템을 주워서 떼우는 것이 낫다.

4.2.1. Combat Axe


빅업뎃3로 추가된 초저가 근접무기. 필드에 굴러다니는 도끼와 똑같은 성능이다. 데미지는 당연히 훌륭하나... 사용시 딜레이가 적고 간편하고 각각의 장점들이 뚜렷한 다른 근접 무기들과는 다른 영 좋지못한 성능을 보여준다. 필드드랍으로 나오는 도끼처럼 사용시 선딜과 후딜이 매우 길기 때문. 4달러라는 가격만 봐도 성능을 짐작 가능하다. 꼴에 상점에서 돈주고 산 무기라고 토마호크 특성으로 던지지 못하는 것은 덤. 여담이지만 헌터도 약공격 한방으로 죽일 수 있다. 가끔 허를 찔러 기습에 성공한다면 그럭저럭 쓸만한 무기다. 물론 기병도가 나온다면 그쪽을 훨씬 자주 쓸것이지만.

4.2.2. Machete


20랭크에 해금된다. 타격시 출혈을 일으킨다. 그런트를 약공격 한방에 처리할 수 있다

4.2.3. Cavalry Saber


[image]
표준적인 기병도로써, 남북전쟁동안 쓰여 왔습니다. PIERCING 대미지를 입힙니다.
'''스태미너'''
47%
'''조준도'''
47%
'''약공격'''
52
'''강공격'''
168
'''해금'''
랭크 62
'''구매가'''
60$
근접 전문 무기들[47]중 가장 애용되는 무기. 일단 상체 한방컷이 가능한데다 장검이라 마체테나 도끼보다 리치가 더 길기 때문에 근접무기를 채용할 시 레벨만 된다면 마체테 대신 기병도를 드는 것이 좋다. 타격에 출혈효과가 기본으로 포함되어있으며, '관통'효과가 또한 붙어있는데 이는 리치 이내라면 관통되는 직선형 범위공격을 가한다는 뜻이다. 장검이기 때문에 리치가 더 길다는 점 때문에 가끔씩 '이 거리에서 유효타가 들어가네?'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길다. 하지만 가끔씩 팔이나 다리에 맞는다면 원킬이 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침착하게 조준하여 찌르는 것이 중요하다. 아니면 빠르게 약공 한대를 더 휘두르던가.

5. 도구



5.1. 근접무기류



5.1.1. Knife


상점가는 20달러.
잡몹을 차지공격 상체 한 방에 죽일 수 있다. 스테미나 소모도 평균적이며 해금레벨도 1레벨이다.

5.1.2. Dusters


상점가 15달러의 너클.
이몰레이터라는 몬스터의 등장 이후 나이프 이상으로 많이 쓰인다. 해금 랭크는 20.
나이프보다 더 비싸지만 데미지는 더 약하다. 하지만 어차피 잡좀비는 강공격으로 명치 이상만 맞추면 한방에 죽는데다 하이브도 머리를 때리면 한방, 아머드도 4방반에 죽고 무엇보다 이몰레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잡을수 있기 때문에 국민 근접도구로 선택된다. 또한 스테미너 소모량이 강공격 기준 약 10%로 나이프와는 비교가 안되게 적기 때문에 나이프보다 몹 처리에는 뛰어난 도구. 스테미나 소모량에 대비하여 뽑아낼 수 있는 대미지가 많기 때문에 많은 수의 몹을 잡을때 유리하지만 헌터킬을 노릴때는 다른 근접무기에 비해 위력이 낮다. 무장이 총검버전일때 채택하면 효율이 좋은 편.
스테미너 외에도 이몰레이터를 쉽게 잡을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현재는 채용율이 높은편이다. 아머드를 빨리 잡고싶으면 나이프, 이몰레이터를 안전하게 잡고싶으면 너클을 들도록 하자. [48]

5.1.3. Heavy Knife


나이프의 상위호환 도구. 상위호환인 만큼 마체테와 맞먹는 데미지를 갖고 있어 그런트를 약공 한방에 정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다.
다만 해금하기 위해선 먼저 투척단검을 해금하고 또 2500xp를 벌어야해서 해금 난이도는 좀 어려운 편. 가격은 20 달러.

5.1.4. Knuckle Knife


패치로 등장한 너클과 나이프를 섞은듯한 도구.
너클 해금 이후 너클로 2500xp를 채우면 해금되는 도구로, 약공격시 너클 공격을, 강공격시 나이프 찌르기 공격을 한다. 가격은 15 달러.

5.1.5. Quad Derringer


데린저 권총의 총신을 정사각형모양의 4연장으로 만들어놓은 총기. 데미지는 나쁘지 않으나 애매하며, 애초에 이걸 쓸 때쯤이면 이미 모 아니면 도 식의 최후의 상황이라는 것. 그래도 정식무장이 아닌 도구로 분류되어서 그런지 총소리가 맵 끝까지 들리는 다른 총기에 비해 총소리가 옆마을정도까지만 들린다. 게임내에서 귀찮게 하는 몹(예를들어 높은곳의 하이브라던지)이나 닭장,개장 또는 말등을 처리할때 가장 좋은 성능을 낸다.

5.1.6. Sledgehammer & Wood Axe & Shovel & Pitchfork


필드 드랍으로 얻을 수 있는 근접무기.여타 다른 근접무기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낸다. 특징으로는 강공격 2방으로 창문이나 출입문등을 부술 수 있다. 보스존에서 존버하는 팀을 상대할때 부술 수 있는 문을 부술 수 있다면 상대하기가 조금 수월하다.
1.2 패치로 필드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인 삽과 삼지창형 쇠스랑이 생겼다. 하지만 데미지는 해머나 도끼보단 약한 편이라 정말 최후의 수단으로 주워서 쓰는 용도. 보스 잡기에도 부적절하다.

5.1.7. Throwing Knives


투척용 칼, 명중시 출혈을 유발한다. 시체에 가서 회수 가능. 그런트의 상체에 근접에서 맞추면 한방킬이 가능하다.
투척시 포물선을 그리며 날라간다. 의외로 거리가 짧으니 주의할것. 그런트를 헤드샷으로 잡을 경우 죽을때 특유의 꿱! 하는 소리를 내지 않으므로 적 근처에서 숨어있을때 귀찮게 접근하는 그런트를 조용히 잡을때 유용하다.

5.2. 함정류



5.2.1. Alert Trip Mine


문 한개 정도의 폭에 깔리는 인계철선. 헌터나 몹이 지나가면 경쾌한 소리와 함께 하늘로 신호탄을 쏘아 올린다. 이 도구의 진정한 용도는 신호탄이 주변에 불을 붙인다는 것. 노란색이나 빨간색 배럴 옆에 설치해두면 조명탄 발사와함께 배럴이 폭발하여 해당 피해를 입힌다. 바닥에 묻어있는 기름에도 불을 붙여 불의 벽을 만들 수 있다.빨간배럴의 경우 마인을 2개 이어서 설치하면 지나가는 적이 밟기 더 쉬워진다. 이렇게 2개를 설치한 마인의 경우 아군이 빨간 배럴로부터 먼쪽의 마인을 밟을경우 딸피로 살아남기도 한다.

5.2.2. Concertina Trip Mine


40레벨에 해금된다.
위의 신호탄 마인이랑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철조망 지뢰. 밟으면 철조망 폭탄과 같은 종류의 철선이 주위에 작게 깔린다. 1.0 패치로 인해 수량이 2개로 늘어나면서 보스 선 사냥 플레이를 하는 유저들에겐 거의 필수템이 되었다
1.0때 개편된 언락 시스템으로 인해 컨설트립-섬광-컨설밤의 트리에 속하게 되었다. 40레벨 달성 이후 셋중 아무거나 15번 쓰면 섬광이 열리고, 다시 아무거나 15번 쓰면에 컨설밤이 해금되는 식.
여담으로 철조망지뢰를 2개를 같이깔고 그 위치에 곰덫을 설치시 적이 밟으면 높은확률로 사망하는 즉사 덫을 만들 수 있다.
곰덫과 철조망 지뢰의 발동시 첫 틱댐이 40이라 합해서 120의 피해를 입히고 나머지 30의 체력은 펼쳐진 철조망의 틱댐과 곰덫으로 인한
강출혈의 대미지로 충분히 잡을 수 있기 때문. 보스존에서 방어시 허리높이정도 파손된 울타리로 넘어올 수 있는 위치나 주요 접근로에
설치해두면 적은 울타리를 넘자마자 요단강을 건너게 만들 수 있다.

5.2.3. Poison Trip Mine


1.4 패치로 새로 생긴 지뢰다.
밟으면 일대에 독구름을 생성한다.
얼핏 보면 대부분의 다른 독 계열 무기들처럼 쓰레기로 보일 수 있지만
이 지뢰의 진가는 위의 철조망 지뢰와 조합할때 드러난다.
두 지뢰를 같은 곳에 설치해서 그걸 밟은 사람을 거의 킬 낼 수 있을 정도의 조합효과를 지닌다.

5.3. 회복



5.3.1. First Aid Kit


상점 구매가는 30달러.
세 번까지 사용 가능하며 한번 사용시 체력 50을 회복한다. 자신뿐 만 아니라 동로 헌터도 치료해줄 수 있다.
특성중 Doctor 특성(8포인트)을 배울시에는 그 두배인 100을 회복시켜주는데, 여기에 피지션 특성까지 배울경우 붕대가 고급 바이탈샷 3개 이상의 효율을 지니는 꿀장비로 탈바꿈하게된다.[49]

5.3.2. Vitality Shot


'''체력을 정해진 수치만큼 한 번에 회복한다. 또한 사용이 완료되면 출혈도 치료해준다[50].'''
필수품으로 반드시 한개는 챙겨가는게 유용하다. 두종류로 나뉘는데, 일반 바이탈리티 샷은 75원이라는 다소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체력을 한방에 풀로 회복시켜주며, 약한(weak) 바이탈리티 삿은 10원으로 저렴하나 체력을 75 회복시켜준다. 사용시 걸리는 시간은 5초이다.
이전에는 무조건 체력을 풀로 회복시켜주는데다 가격도 25원으로 아주 저렴한 혜자중의 혜자 아이템이었다. 다만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무조건 챙겨야 하는 필수품이기 때문에 그 혜자스러움이 확 와닿지 않았을 뿐... 심지어 시전시간도 이전에는 3초[51]로 짧았다. 따라서 이전에는 멀리서 쏘는 저격이나 기습에 맞자마자 와리가리로 도망가며 바이탈을 맞고 풀피로 회복해서 바로 반격에 나서는 전법이 유효했다. 이렇게 너무나도 쉽게 회복후 반격의 장을 마련해주어서 선제공격자들을 벙찌게 만드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자, 개발자들은 위에 서술한 것과 같이 사용 시전시간 증가와 더불어 두종류로 나누어 가성비를 너프시기는 패치를 하였다.

5.3.3. Antidote Shot


사용시 독 상태이상을 해제하고 60분간, 즉 해당 게임이 종료될때까지 독을 기반으로 한 피해를 무시 또는 감소된 피해를 받게 된다.
위크버전은 동일한 효과에 지속시간이 30분이다. 예전에는 60초만 지속되어서 휴대하기 애매했지만 패치이후 지속시간이
크게 늘어나서 이전보다 자주 사용된다. 무시받는 피해의 경우 아예 아무런 일도 없는것처럼 체력도 소모되지 않고 독 이펙트가 없으며
감소된 피해의 경우에도 독 이펙트가 없으며 기존보다 적은 체력피해를 받는다.다음은 무시되는 피해와 감소된 피해목록이다.
무시:포이즌밤으로 생성된 독구름,포이즌배럴이 터진 자리의 독구름,포이즌 마인트랩,스파이더가 뱉은 독구름,미트헤트 벌레의 독공격
감소된 피해:하이브와 포이즌배럴과 하이브밤의 벌레공격,독 쇠뇌,스파이더의 덮치기/물기 공격,닥터 그런트의 공격,

5.3.4. Stamina Shot


바리에이션으로 초반에 아무 주사기나 5번 사용하면 열리는 1분 지속시간의 위크 스테미나 샷이 있고, 일반 스테미너 샷은 주사기류 해금 트리의 마지막에 위치해 있다.
근접공격과 달리기로 소모된 스테미나를 보충할 수 있다. 여기까지만 보면 거의 쓰이지 않는 것 같지만, 이 소모품의 진가는 바로 ''10분동안 스테미너 무제한''. 보통 초보들이 생각하기에는 근접공격을 휘두르다 스테미너가 오링난 상황에서 써야 할 것 같지만 오히려 그런 상황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52]. 이 아이템은 공격스테미나와 달리기 스테미나에 관여하는 디터미네이터,그레이하운드 특성이 없을때 요긴하게 사용된다. 게임이 시작되면 적과 교전하기 전까지 불필요한 소음을 내지 않기 위해 만나는 몹들을 근접무기로 잡을 수밖에 없는데 해당 특성이 없다면 공격스테미나 회복도 느리고 달리기도 금방 지쳐서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이때 스테미나샷을 사용하면 해당 시간동안은 지치지 않고 무한으로 달릴 수 있으며 만나는 몹들도 스테미나 상관없이 죄다 도륙하면서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클루를 빨리 확보하여 보스위치를 먼저 알아내는게 중요한걸 생각하면 꽤나 좋은 점이다.또한 보스를 잡을때도 중간중간 스테미나를 회복하는 시간없이 빠르게 잡을 수 있다. 예전에 보스몹에게 '프렌지' 패턴이 없던 시절엔 스테미나샷을 사용하고 근접무기를 마구 휘둘러 보스를 10초내외로 순삭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프렌지 패턴이 생기고 스티키밤이 보스에게 큰 피해를 주도록 패치되면서 보스 순삭용도로는 빛이 많이 바랬다. 디터미네이터와 그레이하운드 특성이 없을때 스테미나가 신경쓰인다면 한번 사용해보자.

5.4. 보급



5.4.1. Ammo Box


조그마한 나무로 된 탄약상자. 곰덫이나 트랩마인처럼 지면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며 설치된 박스는 필드에서 볼 수 있는 탄약박스랑
똑같이 1인당1회씩 총 2회 루팅이 가능하다.설치된 아머박스는 회수가 불가능하다. 이 아이템의 진가는 바로 탄약수급이 어려운 스페셜 탄종의
탄약도 수급 가능하다는 점. 굳이 스페셜 탄약 때문이 아니더라도 무기마다 수급량은 다르지만 대체로 필드에서 루팅가능한 탄약박스보다 더 많은 탄약을 보충해준다.가령 dolch96권총의 경우 필드의 스페셜 탄약갑에서 3발이 수급되지만 해당 아머박스로는 5발이 수급되며 아브토맛+어퍼컷 조합의 경우 필드의 탄약박스에서 4~6발이 수급되지만 아머박스에선 9발이 수급된다. 상위 탄종으로 갈수록 탄약이 부족해지는 이 게임 특성상 상위 티어의 무기와 조합하면 꽤나 괜찮은 선택이 된다.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 일반 탄약박스보다 더 많은 탄약이 수급되는건 사실이나 정해진 수치없이 무기마다 각각 다른듯 하다. 가령 니트로 익스프레스 라이플의 경우 스페셜 탄약갑에서 2발이 수급되지만 아머박스로 수급해도 똑같이 2발이 보충된다. 어쨋든 필요할때 탄종에 관계없이 즉석에서 탄 수급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팀의 무장의 탄종에
따라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5.5. 조명



5.5.1. Electric Lamp


배정한 슬롯 단축키를 누름으로서 전원을 키고 끌 수 있는 휴대용 램프. 어두운 곳을 비출 수 있다만 야간 맵에서도 그렇게 어두운 곳은 잘 없는데다 다른 플레이어 들에게도 빛이 보이기 때문에 위치가 발각될 수 있다. 야간맵이 정말 깜깜하고 어두웠으면 모르겠지만 애초에 이 게임은 램프 없이도 야간맵을 충분히 할 만 하다.

5.5.2. Fusees


조명탄. 주변에 굉장히 밝은 빛을 내면서 타오른다. 야간맵에서 건물안 캠퍼들에게 빅엿을 선사해주는 도구. 특징은 조그만한 스틱 조명탄임에도 무한히 탄다는 것. 근접공격 등으로 타고있는 조명탄을 제거할 수 있다. 투척했을때 땅에 떨어지기 전에 부딫히는 사물에 불을 붙이므로 몹 또는 헌터에게 명중시 불을 붙일수 있고 필드에 폭발하는 드럼통에 던져도 바로 터진다. 다만 다운된 헌터에겐 던져도 불이 붙지 않는다.

5.5.3. Lantern


필드 드랍으로 얻을 수 있는 도구. 역할은 화염병과 똑같다. 들고만 있으면 주변을 비추어주지만 던지면 깨지면서 해당 지역을 불태운다. 랜드마크 내부의 여기저기에 굴러다니거나 랜턴 통에 여러개가 쌓여있기 때문에 필요하면 집어다가 쓰면 된다. 상대방을 사살하고 나서 시체에 불을 붙히거나, 아머드같은 불에 약한 몹을 태워죽일때 쏠쏠하게 이용할 수 있다. 불을 밝히는게 별 소용이 없는, 아니 사실 해가 되는 이 게임의 특성상 불빛을 비추는 용도로는 쓰이지 않는다. 사실상 극초반에 퓨즈 해금용으로 그냥 두번 정도 들고다니는게 전부.

5.5.4. Flare gun


조명탄을 발사하는 총. 업데이트#2에서 추가된 새로운 도구이다. 하늘을 향해쏘면 천천히 떨어지면 퓨즈처럼 주변을 환하게 비춰주며, 헌터나 몬스터에게 쏘면 불이 붙는다. 본래의 용도와는 다르게 신호를 보내는 용도보다는 귀찮은 몹을 태워죽일때 자주 사용한다.
비슷한 용도의 퓨즈와는 다르게 총으로 발사하다보니 사거리도 길고 시간이 지나면 조명탄이 다 타고 없어져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5.6. 디코이



5.6.1. Decoys


12개입. 그냥 쇳조각(...)이다.
소리를 내서 좀비를 유인할 수 있다.
데미지는 약 20~30정도로 쓰레기이나, 이 도구의 가장 유용한 점은 바로 랜턴을 깰 수 있다는 점. 철창속 동물을 침묵시킬 때 유용하다. 물론 적이 가까이 있다면 말짱꽝이지만 소음권총이 없을때엔 해당 용도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5.6.2. Blank Fire Decoys


쇳조각 대신 공포탄을 던진다. 던지면 총쏘는 소리가 난다. 교란용. 단서를 먹고 그위치에 공포탄을 던지고 그 소리에 불나방마냥 몰려든 적들이 서로 치고박고 싸우는걸 보는게 볼 만하다.

5.6.3. Decoy Fuses


패치로 새로 나온 도구.
3개입.
사용시 다이너마이트처럼 심지가 타는 효과음을 내지만
대신 효과음 이후론 아무런 폭발도 없는 말 그대로 속이기용 도구.

5.7. 폭발물



5.7.1. Fire Bomb


화염병. 화염의 지속시간이 크게 길지 않기 때문에 주로 지역 봉쇄보다는 쓰러진 적의 캐릭터에 불을 붙여 마무리하는 용도로 쓴다. 굴러다니는 게 랜턴인데 이게 굳이 필요하나 싶지만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고, 언제나 한 개를 소지할 수 있는 화염병이 훨씬 편리하다. 꼭 시체를 태우는 용도가 아니라도 급한 상황에선 공격용이나 지역 봉쇄로도 쓸만하다.

5.7.2. Hellfire Bomb


폭발을 일으키는 강력한 헬파이어밤이다. 화염병과 똑같이 착탄지점에 화염을 일으키지만 위의 화염병과 다르게 불은 약 4초내로 금방 꺼진다.
이 무기의 진가는 폭발범위안의 적의 체력에 즉시 25의 화상대미지를 입히고 3단계 화상에 걸리게 한다는 것.다른 다이너마이트류와 다르게
쿠킹 시간없이 바로 던져서 착탄시 터지므로 알면서도 피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끝체력이 짧은 25짜리일 경우 헬파이어밤에 맞았다면
불을 끌 새도 없이 즉시 체력칸이 타서 소실된다. 화상피해를 줄여주는 샐브스킨 특성이 찍혀있다면 모를까...
예전에는 100의 체력피해+화상을 입히는 효과가 있었지만 패치로 위와같은 효과로 변경되면서 채택률이 많이 낮아졌다.

5.7.3. Frag Bomb


파편 수류탄. 엄폐물이 없는 개활지 같은 곳에서 생각보다 넓은 폭발 범위를 갖고 있으며 범위 내에 파편을 뿌려 즉시 3단계 출혈을 건다.
비슷한 위치인 다이너마이트 번들에 비해 킬이 자주 일어나다보니 패치로 폭발대미지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무시못할 위력을 갖고 있다.
프래그밤도 벽을 뚫고 폭발 대미지를 줄 수 있지만 다이너마이트류에 비해선 효과가 낮다.
소소한 장점으로는 다이너마이트에 비해 쿠킹시 심지가 타는 소리가 덜 자극적이다 보니 전투로 인해 주변 소음이 심할때 던지면
적이 못알아챌때도 있다.

5.7.4. Dynamite Stick


다이너마이트이다. 파편수류탄처럼 출혈 대미지 같은 부가기능은 없고 그저 순수한 폭탄 그 자체. 스틱, 번들, 빅 번들을 포함하여 다이너마이트류는 가장 인기가 많은 투척 무기이다. 특징으로는 쿠킹이 가능한데, 심지가 타들어가는 시간은 4초이며 여느 FPS게임의 수류탄들처럼 쿠킹이 가능하다. 물론 터질 때까지 손에 들고 있으면 손 안에서 터져 폭사 확정이니 제때 던져주도록 하자.
스틱은 다이너마이트 삼 형제 중 가장 약한 첫 번째. 1개의 다이너마이트이다. 다이너마이트는 스틱, 번들, 빅 번들 상관없이 폭심지 근처라면 플레이어는 무조건 한방에 보내버리는 강력한 위력을 지녔지만 스틱은 1 개답게 폭발 범위가 가장 좁다. 따라서 한방에 확실한 킬을 하기가 가장 어렵지만, 대치전 상황에서 상대를 캠핑지에서 몰아낸다는 것만으로도 큰 이득을 취할 수 있으니 들어서 나쁠 도구는 아니다.

5.7.5. Dynamite Bundle


스틱보다 폭발 반경이 조금 더 커지고 위력도 더 늘었다. 다이너마이트 스틱은 너무 약하고 빅 다이너마이트는 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채택하기 좋은 폭탄이다. 폭발의 위력은 가까운 벽을 뚫고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건물안에서 존버하는 적에게 던질때는
프래그밤보다 효율이 좋다.

5.7.6. Big Dynamite Bundle


다이너마이트 7~8개를 묶어놓았다. 폭발 범위가 더 넓어진 위력 측정불가의 끔찍한 폭탄 꾸러미. 일회용품 주제에 110달러라는 끔찍한 가격을 자랑한다. 당연히 스틱이나 번들보다 더 위력이 강력한 최고티어의 폭탄이지만 이에 대한 페널티인지 투척거리를 늘려주는 핏쳐 특성을 찍어도 사거리가 상당히 짧으며 건물내로 던지려면 건물벽에 가까이 접근해야한다. 따라서 필드에서 전투시 던지기엔 다소 무리가 있지만 반대로 건물안에서 캠핑하는 적들에겐 꽤나 효과가 좋으며 2층에서 터진 빅 다이너마이트 번들의 위력으로 1층의 적이 죽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또한 빅 번들의 위력으론 3종류의 보스 전부를 풀피 상태에서도 한방에 보내버린다는데서 빅 번들의 흉악한 위력을 알 수 있다. 보스를 잡는 폭탄으로 스티키밤이 자주 채택되기에 빅 번들로 보스를 잡을 일은 많지 않으나 어쨋든 보스를 한방에 보낸다는 점에서 엄청난 위력을 알 수 있다.

5.7.7. Concertina Bomb


철조망 함정 장치이다.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철조망 도구를 생각나게 만드는 외형의 철조망 사출장치인데, 날카로운 철조망을 잘 개어 뭉쳐놓고 사용 시 확 펼쳐지며 확장되게끔 하는 기계식 고정장치를 달아놓은 모양새이다. 48달러의 굉장히 저렴한 가격에 비해 위력은 상당히 흉악한데, 일단 사용 시 투척한 위치를 중심으로 뭉쳐있던 철조망이 펼쳐진다. 철조망이 커버하는 범위는 상당히 넓으며, 대략 필드에 널려있는 1층 짜이 작은 하얀색 오두막의 내부 정도는 대부분 뒤덮을 수 있는 범위이다. 철조망 필드 안에 들어오는 적들은 지속적으로 대미지를 입게 되며 출혈 상태 이상에 걸린다. 대미지는 그다지 강하지 않으나 철조망에 걸리는 순간 슬로와 출혈을 건다. [53]
다만 두세 번 대미지를 입힌 칼날 부분은 소모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무한정의 효과를 기대할 순 없다. 걸린 사람 입장에서는 대미지를 더 입기 전에 재빨리 들어왔던 경로 그대로 뒷걸음쳐서 나가거나, 제자리에서 가만히 출혈만 치료하면 이 함정 그 자체로만 죽을 일은 없다는 것. 그러나 TTK가 굉장히 짧고, 킬각을 내주면 그대로 사망인 이 게임에서 당연히 자기가 나서서 희생하려는 사람은 없으므로 사실상 봉쇄 효과는 엄청나다고 보면 된다.
상술했다시피 간단하고도 효과적으로 진입로 등의 지역 봉쇄를 할 수 있는 훌륭한 소모품이다. 기방 하기 좋은 건물을 찾았는데 나와 팀원이 커버하기에는 손이 모자라는 진입로라던지, 보스를 잡으려고 하는데 본인들이 있는 쪽으로 들어오는 경로가 신경 쓰인다던지 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넓게 퍼지는 철조망 지대인데 누가 눈치채고 걸리나 싶겠지만, 대놓고 들어오지 말라고 쳐놓은 철조망 특성상 봉쇄 효과 자체는 죽여주는 편.
특히 존버 유저가 많은 게임에서 주도권을 쥐고 싶을 때 샷건과 함께 조합하면 게임을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다. 이는 보스방을 찾아놓고도 직접 보스를 잡기보다는 천년만년 존버 타기를 선호하는 중국 유저들에게 빅엿을 먹여줄 수 있는 방법이다. 보스방 근처에 미리 자리를 잡고 기습을 노리는 적이 있다 싶으면 [54], 미리 합을 맞춘 팀원과 함께 보스방에 뛰어들어가서 입구마다 이 철조망 폭탄과 철조망 트립 마인으로 도배를 해버리자. 보스를 대놓고 잡아도 들어오지 못해 쩔쩔매는 적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철조망을 제거하는 실질적인 유일한 방법은 폭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보스를 잡다가 폭탄이 터지는 소리가 들리면 바로 샷건을 들고 해당 입구로 뛰어가서 대응해주면 된다. 물론 대기 중인 적이 있든 없든 훌륭한 방어 수단인 건 마찬가지.

5.7.8. Flash Bomb


여느 게임과 같이 맞으면 잠시 동안 눈이 먼다. 지형에 닿는 즉시 터지는 즉발식이다.
예전에는 섬광의 범위, 지속시간 모두 별로인 데다 짤 섬광[55]만 걸어도 히트 마크가 뜨는 바람에, 섬광 효과를 믿고 들어갔다가 효과가 빨리 풀려버린 적에게 역관광을 당하게 만드는 배신자스러운 아이템이었다.
하지만 6.0 패치로 인해 그야말로 날아오르게 된 아이템. 지속시간은 3초에서 '''7초로''' 2배 이상 뻥튀기되었으며, 효과범위는 직경 3미터에서 '''8미터로''' 상향되었다 -. 직경 8미터가 얼마나 기냐면, 피처 특성[56]이 없을 때 던지면 (개활지라고 가정했을 때) 투척한 사람도 짧은 시간 동안 섬광 효과에 눈이 멀어버리는 수준이다.
게다가 투척 시 선 딜도 짧고 즉발로 터지는 데다, 6.0 패치로 인해 '''7초 완전 눈뽕 상태일 때만''' 히트 마크가 뜨게 바뀌어서 신뢰성이 대폭 증가하였다. 대충 적의 위치만 파악해서 있을법한 곳에 던져 넣었을 때 히트 마크가 뜬다면 망설임 없이 돌입해보자. 십중팔구는 벽과 애무를 나누고 있는 적 헌터를 볼 수 있을 것이다.

5.7.9. Poison Bomb


이번 대규모 업데이트 1에서 추가된 무기로 던지면 스파이더 보스의 독 공격과 같은 독구름을 만들어낸다.
이번 패치에서 중독 효과가 상향되면서(커진 울렁거리는 소리로 싸플 방해, 화면 거의 반을 가리는 시야 좁아짐 현상) 철조망과 함께 존버중인 건물의 개구멍이나 주요 입구를 틀어막는 용도로 쏠쏠하게 쓸 수 있다
.
다만 안티도트를 사용했을경우 독에 면역이 되어 아무효과도 일어나지 않는다. 최근 안티도트가 버프되고 독구름에 초크밤을 던질 시 독구름이 없어지도록 패치되면서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입지가 좁아졌다.
여담으로 까마귀에게 던질시 까마귀가 날지도 못하고 죽는다.
일반좀비에게는 독구름이 닿자마자 즉사, 독을 사용하는 하이브는 면역이며 이몰레이터의 경우 4번정도의 틱데미지가 들어간 후 죽는것을 볼 수 있다.

5.7.10. Hive Bomb


업데이트#2에서 추가된 무기. 이름은 폭탄이지만 생김새는 그냥 하이브가 데리고 다니는 그 독성 벌을 유리병에 가둬놓은 형태이다. 던지면 병이 깨지면서 그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헌터를 쫓아가게 된다. 즉 던진 당사자도 당할 수 있다는 것(!). 하이브의 벌과 똑같이 뛰어서 도망치면 대미지를 받지 않을 수 있지만 2:2 대치 상황에서 이걸 던지면 쫓기는 플레이어는 어쩔 수 없이 자리를 이탈해야 하기 때문에 전략적 가치가 있다.
투척거리가 빅 다이너마이트랑 비슷하게 짧은 편이다.

5.7.11. Chaos Bomb


공포탄 다발이다. 30초 정도 지속적으로 총소리를 낸다. 보스방 근처에 다른 적들이 대기 중일 때 보스방에 던져 넣어 잡는 척을 해줄 수 있다.

5.7.12. Sticky Bomb


부착형 다이너마이트. 부착 후 대략 10초 후 폭발하며. 착탄 지점에 붙어서 대상에게 출혈을 일으킨 후 신관의 시한이 다 지나면 터진다. 헌터를 잡는 용도로는 사용하기가 어려운데 그 이유는 이리저리 움직이는 사람에게 붙이기란 불가능에 가깝고, 4초라는 쿠킹 하기 편한 다른 폭발물들과는 다르게 10초라는 긴 신관이 오히려 독이 되어 쿠킹 하기도 매우 어렵다. 대신 이 폭탄의 진가는 보스를 빨리 잡을 수 있다는 점.
부처,스파이더의 경우 스티키밤을 붙여 폭발시키면 75%라는 높은 수치의 피해를 줄 수 있다.어새신의 경우 벌레형태로 돌아가면서 스티키밤을 떨어뜨리므로 어새신에게 사용할 순 없다.프렌지 패턴이 생긴 이후 보스를 잡을때 필연적으로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고 그 시간동안엔 적팀의
공격에 취약해지는데 이 스티키밤을 사용하면 보스를 잡는데 걸리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다만 이렇다보니 단점으론 보스를 다른팀이 먼저 잡게되면 스티키밤을 활용할곳이 없어진다는 점.
적 헌터에게 붙으면 출혈을 일으킨다. 이상태에서 지혈을 완료하게 되면 바닥으로 다시 떨어뜨릴 수 있는 쓸데없는 디테일이 있다.

5.7.13. Choke Bomb


투척후 일대에 질식가스를 퍼뜨리는 폭탄.
불을 끄는 능력을 갖고 있어 불 타는 아군 시체의 불을 원거리에서 끌 수 있고, 가스내에 들어갈 시 콜록거리는 소리를 내기 때문에 적 헌터의 색적이나 진입 방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질식 가스내에서는 모든 불이 꺼지게 되는데, 이를 이용해서 불타는 지역의 불을 없애거나 다이너마이트,퓨즈,화염병 등의 심지를 꺼트려 무력화할 수도 있고, 이몰레이터 역시 한번에 잡을 수 있다.
1.4.3 패치로 투척물에서 도구로 분류되었다. 시작시 2개 소유한다.

5.8. 정찰



5.8.1. Spyglass


업데이트1에서 새로 추가된 망원경.
이번 스코프 총기의 등장으로 같이 추가된 "볼 수만 있는" 망원경으로 깨진 렌즈와 엄청나게 좁은 시야각으로 아이언사이트 윈필드 줌보다도 효용성이 떨어지는 아이템. 배율은 스나이퍼 스코프보다도 높으나 별로 쓸 일이 없는 도구이다.

6. 특수탄


1.5 패치로 추가될 예정

6.1. 소총/권총용



6.1.1. 덤덤탄Dumdum


할로포인트 탄환, 괴물들을 향한 추가 효과도 없고 피해와 관통력도 줄어들었지만 출혈 피해를 일으킨다.

6.1.2. 전피갑탄Full Metal Jacket


전피갑 탄환, 관통력이 굉장히 올라갔으며, 피해와 총구속도가 줄어들었다.

6.1.3. 고속탄High Velocity


고압 탄환, 총구속도가 굉장히 올라갔으며, 반동도 커졌다. PVP에 집중한 탄환.

6.1.4. 독성탄Poison


탄두에 독이 들어있는 탄환. 거의 모든 괴물들을 단 한번에 처리할 수 있으며, 저항할만한 괴물들이 없으나 관통력이 없다. 또한 헌터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6.1.5. 소이예광탄Incendiary


소이예광탄. 맞을 시에 불이 붙어서 체력바 전체가 줄어들며 괴물들에게 불을 붙이지만, 피해가 줄어들었으며 관통력은 없다. PVE에 집중한 탄환.

6.1.6. 스핏저Spitzer


현대 장총을 위한 탄. 피해는 줄고 반동이 올라갔으나 관통력과 총구속도가 상승했다.

6.1.7. 고폭탄Explosive


고폭탄. 탄환 전체 양이 줄어들었고 한방으로 사살하긴 힘들지만 범위 공격이 이뤄지며 문이나 창문을 파괴하는 것에 특화되어있다.

6.2. 산탄총용



6.2.1. 플리셰트Flechette


플리셰트탄. 탄퍼짐과 펠릿 수가 줄어들었으며 맞을 시에 출혈을 일으킨다. 또한 사거리가 반절 더 늘어났다.

6.2.2. 페니Penny


동전탄. 불안정한 탄퍼짐을 가지고 있으나 피해가 늘어났다. PVE에 집중한 탄환.

6.2.3. 슬러그Slug


슬러그탄. 관통력이 줄어들었으며 지향사격의 정확도가 낮으나 강력한 피해를 가진다.

6.2.4. 드래곤브레스Dragonbreath


산탄총용 소이탄. 데미지가 줄어들었으며 탄과 스치기만 해도 불에 붙는다.

6.2.5. 스타쉘Starshell


산탄총용 신호탄. 신호탄과 특징 대다수를 공유한다.

6.3. 석궁용



6.3.1. 독성 화살Poison Bolt


독쇠뇌의 화살. 90초 가량 소형 독가스가 머물며 문을 막을 수 있다.

6.3.2. 고폭 화살Explosive Bolt


폭발 쇠뇌의 화살. 폭발 쇠뇌의 탄환과 같다.

6.3.3. 산탄 화살Shotbolt


산탄 쇠뇌의 화살. 산탄 쇠뇌의 탄환가 같다.

6.3.4. 혼돈 화살Chaos Bolt


폭죽 화살. 사거리가 짧으며 디코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

6.3.5. 소방 화살Choke Bolt


소방용 기체 화살. 90초 가량 소방가스가 머물며 임모탈을 한번에 사살 가능하다. 손쇠뇌와 같은 탄도를 공유한다.

[1] 헌터들의 체력은 150이 최대이므로, 표기대미지가 80이라면 몸샷 두대로 처리가능하다.[2] 헤드샷 배수가 없는 샷건의 경우는 정조준 몸샷 한방컷이 가능한 거리를 의미한다.[3] 대미지가 거리에 따라 떨어지는데 20 이하로 떠어지게 되면 한방이 뜨지 않는다.[4] 적 시체에서 루팅을 할시에 일정 확률로 돈을 주긴 하지만 돈벌이의 주요 수단은 아니다. 애초에 게임 배경 설정부터가 헌터들끼리 보상에 눈이 돌아가서 들키면 중형을 받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공격하는 것이니까...[5] 테스트 서버 초기 버전에서는 오히려 윈필드 등 저렙 무기들의 대미지가 무식하게 강해져서 문제였으나, 이를 인식한 개발진이 이틀 후 적절하게 거리별 대미지 감소율 너프를 하여 적절한 선으로 패치가 되었다[6] 총포상에서 파는 소포장 형식의 종이갑 형태. 특정 탄종의 탄약만을 보급해준다.[7] 가지고 있는 모든 총기류의 탄약을 보급해준다[8] 니트로, 석궁 등[9] 사실 이건 당연한 거다. 죽으면 장비와 캐릭터가 날아가는 게임에서 비싼 돈을 지불하고 좋은 총기를 들고 왔으면 당연히 성능으로 보상받아야 한다. 더군다나 헤드샷 한방이라는 변수이자 리스크가 있기도 하고...[10] 그 이상으로는 출혈 확률이 떨어지며 0이 된다.[11] 이 게임에서 샷건은 정조준 시 대미지 기댓값이 증가한다.[12] 1등은 집탄율이 가장 좋은 로메로. 근데 얘는 단발식 산탄총이라는 고질적 문제가 있다.[13] 그 이후에는 오히려 더블 배럴보다 더 강해졌다.[14] 이는 이 총뿐만 아니라 중~고 레벨대의 몇몇 총기들 또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마우저 권총이라던지, 모신나강이라던지[15] 탄 아끼기 스킬이 적용되는 다른 총들은 보통 노리쇠를 당겨서 튀어나온 탄환을 잡아채 다시 배출구에 넣지만 스펙터는 샷건인지라 펌프를 조금 당겨서 카트리지에 밀려나온 날탄을 집고 손으로 다시 카트리지를 밀어 삽입구에 탄약을 넣는다. 르벨은 탄약을 넣으려면 카트리지를 아래로 꾹 눌러주고 튜브에 먹여주지만 스펙터는 반대로 카트리지를 당기듯 밀어서 약실 위로 빼고 장전하는 게 소소한 차이이다. 다만 르벨이 장전 이후 볼트를 두 번 당겨주듯 스펙터도 펌프를 두 번 당긴다.[16] 스타팅 샷건인 로메로는 심지어 둘보다 1~2미터 먼거리에서도 한방컷이 나온다.[17] 윈필드는 근~중거리용이다[18] 높은 확률은 아니다[19] 의도된 고증이 아니고 단순 버그이다.[20] 사실상 카라비너는 근·중·원거리 모든 거리에서 올라운더로 이용 가능한 소총이다.[21] 롱탄을 쓰는 무기인 만큼 실질적인 교전 거리 내라면 거의 100% 대미지를 박아 넣을 수 있다[22] 존버보다 개싸움을 선호하는 북미 유저들은 이 때문에 스파크를 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아시아보다 실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 북미 서버의 유저 수준을 볼 때, 스파크는 결코 저런 단점들만으로 저평가받을 총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3] 스파크가 단발총이라 쓰기 까다롭다는 것은 초보들이 주로 하는 변명이다. 사실 탄속이 가장 빠른 롱탄 총기인 데다 흔들림도 거의 없어서 맞추는 것 자체는 매우 쉬운 총기이다. 더군다나 중장거리 저격총 느낌으로 쓰는 스파크의 특성상 엄폐를 확실히 하고 있다면 장전 시간 도중에 반격당할 위험도 낮다. 애초에 모신나강이나 베텔리도 은엄폐 무빙 없이 마구 갈기려 들면 한방 쏘자마자 상대가 쏜 칼드웰 어퍼컷에 머리 날아가 죽는 더럽게 비싼 단발총이 된다는 걸 기억하자.[24] 웃긴 사실은, 1.0 패치 #1에는 스파크가 너프를 먹었다는 것이다. 흔들림이 다른 소총들급으로 살짝 너프를 먹고 가격도 비싸졌다. 그런데 갑자기 바로 다음 패치 #2에서 뜬금없이 기존보다 더더욱 버프를 먹어버린 모습으로 나온 것. OP를 더욱 OP로 만들어버린짓도 이해할수 없지만 너프 직후 바로 또 버프를 먹이면서 이랬다 저랬다 하는 모습에 포럼의 많은 유저들이 이해할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25] 개발자의 발언에 따르면 설정상 다른 헌터들을 습격하다가 정부에 적발되어 감옥에 가는 헌터도 있다고 한다, 늪을 헤메며 어둠과 싸우던 사람치고는 참 어처구니 없는 최후가 아닐 수 없다.[26] 모티브가 된 휴오트 자동소총은 기반이 된 로스 소총스트레이트 풀 볼트액션 방식(쉽게 말해서 자동소총에서 자동장전장치만 제외한 구조)이어서 자동소총으로 개조하기 쉬었으나, 모신나강은 일반 볼트액션 방식이어서 자동화기로 개조하기 어렵다.[27] 발사 후 볼트를 당기는 속도와 장전시 볼트 전진후퇴 속도가 모두 모신보다 느리며 장전할때도 클립장전이 아닌 한발한발 정성스레 박아넣는 방식이다[28] 애초에 이게임 총구속도 1위가 바로 이 총이다[29] 모신나강 소총의 초기형인 M1891도 채택한 총검으로, 말 그대로 스파이크식 총검이다.[30] 유효사거리 내에선 무조건 몸샷은 한방이므로 적에게는 실험할수 없었고, 팀샷으로 실험해본 결과 사람에게 들어가는 최대 데미지는 약 180으로 보인다. 팀샷은 데미지가 3분의 1인데 니트로가 팀원에게 입히는 데미지는 약 60정도이다[31] 시력검사 할때 한쪽 눈을 가리는 도구의 원 중앙에 작은 구멍이 뚫린 모양처럼 생겼다. 작은 구멍을 통해서 보면 물체의 상이 수정체를 통해 들어오는 입사각이 제한되어서 망막에 상이 더 뚜렷하게 맺히는 원리를 이용한 원시적 조준경이다. 물론 게임 내에서는 먼 거리의 물체가 더 선명하게 보인다거나 하는 그런 효과따윈 없으니 문제[32] 거리 상관없이 팔다리에 맞춰서는 한방킬이 나지 않는다[33] 개발자 생방송 당시 첫 등장할때 채팅창에서 나온 드립, 블러드본에서 등장하는 주무기이자 사냥용 무기들인 장치 무기들과 유사한 생김새와 사용 방식 덕에 나왔다.[34] 자세히는 기계 장치가 내장되어 있고 재장전 시 창의 칼날 윗부분에 파여있는 강선 홈과 공이치기 부분에 폭발탄 작살을 재장전하고 따로 가지고 다니는 레버 액션식 장전기를 창 본체에 장착하여 재장전한다.[35] 특히 미트해드를 작살로 폭사 시킬경우 제대로 조각난다. 아쉽게도 직격당한 적 헌터의 몸은 폭발하는 이펙트와 함께 피를 튀기지만 모델링이 폭발하지는 않는다. 팀원에 의해 소생이 가능한 헌터의 특성상 모델링을 찢어발길 수는 없었는 것 같다. [36] 필드 드랍과 상점에서 파는 도끼도 약공 한방이긴 하지만, 무엇보다 스태미나 소모량의 차이와 미묘한 선딜레이가 있는 도끼와는 달리 리치도 길고 거의 즉발에 가까운 횡베기가 도끼를 압도한다.[37] 나이프는 체력소모가 50%로 매우 큰데다 리치가 매우 짧아서 말 그대로 잡 그런트 처리용 '도구' 취급이다. 총검이 장착된 소총은 원판보다 뭔가 능력치가 하나씩 모자란다. 안정성이 크게 감소한다던지... 탈론이 장착된 소총은 사용시 휘두르는 딜레이가 매우 크다. 따라서 근접무기 하나로 뽕을 뽑고싶다면 전문 근접 무기 3종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38] 필드드랍으로 들 수 있는 오함마나 양손도끼 제외. 그리고 5월 12일 패치로 기병도 또한 150hp 한방킬이 가능하게 버프됨으로써 데미지가 가장 높다는 상대적 메리트는 약간 약해진 편[39] 물론 대미지 버프 또한 받긴 했다.[40] 물론 쿼터마스터를 배운 상태에서[41] 사실 실제 역사에서 마우저 권총은 개머리판을 부착하고 쏘는 것이 정석이었다[42] 기본권총, 쪼렙권총등의 이름으로 불린다[43] 당시에 종이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권총을 금속 탄피로 교체하는 컨버젼이 존재했기 때문에 고증에는 문제없다.[44] 실제로도 조셀린 퍼텐트 .22 구경 리볼버 같은 탄띠식 리볼버들은 소량이지만 존재했다.[45] 대부분의 상황에서 헤드샷으로도 단발킬이 안 될 정도이다[46] 밸런스를 논하는데 모신나강 아브토맛은 항상 논외일 수밖에 없었지...만 5월 12일자 패치 이후 평가가 많이 박해진 상태. 아브토맛은 사실 실 성능이나 가성비를 제쳐놓더라도, 일단 게임의 다른 모든 총기들과는 다른 유일한 초고화력 자동소총이라서 말이 많은 것이다.[47] 마체테, 기병도, 해칫, 밤랜스 등등[48] 농담이 아니라 팩뮬 보유 기준으로 봤을때 붕대, 투검, 컨설트립을 든다면 근접도구는 나이프나 너클 둘중 택1을 할수밖에 없다. 앞서 말한 셋 도구중 붕대는 그냥 필수인데다 나머지 두개도 준 필수급 도구이기 때문.[49] 패치 이전에는 붕대 사용 1회당 체력 한 칸만 채워주었기 때문에 지금보다는 효울이 떨어졌으나, 패치 이후에는 무조건 절대량만큼 채워주게 되었다. 따라서 스킬포인트가 13이나 들더라도 과감히 닥터-피지션 조합에 투자하게 된다면 바이탈샷과 거의 다름없는 100hp 회복에 사용시간동안 출혈까지 막아주는 훌륭한 장비가 된다.[50] 다만 주사기를 꽃는 도중엔 출혈이 멈추지 않으므로, 당장 지혈을 하지 않으면 출혈로 죽을 딸피라면 이것 대신 지혈을 먼저 하던지 붕대로 지혈+회복을 동시에 하던지 하자[51] 무기스왑으로 사용시 후딜레이를 캔슬하면 2초![52] 스테미너가 다 떨어졌는데 급하게 보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십중팔구 아직 남은 몬스터들이 자기를 공격하고 있는 상황일텐데, 차라리 탈진상태로 허우적거리거나 그냥 총을 쓰는것이 낫지...그런 상황에서 적에게 계속 맞아가면서 스테미너 주사를 꺼내서 꽂고 있을 여유는 없다. 적을 모두 처리 한 상황이라면 그냥 몇초 달리지만 않으면 자동으로 차오르는 것이 스테미너이기도 하고...[53] 슬로 정도는 출혈/화상 상태시 응급처치를 할 때의 이동속도와 동일하다. 쉽게 말해 기어 다니는 수준으로 떨어진다.[54] 보스방 근처에 가까이 가지도 않았는데 보스가 울부짖으며 이리저리 발광하고 있다면 십중팔구 근처에 존버 중인 적이 있다는 뜻이다[55] 범위 끄트머리에 맞춰서 눈뽕 지속시간이 짧은 섬광[56] 투척물 비거리를 늘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