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질(소설)
1. 개요
虎叱
연암 박지원의 단편 소설. 제목의 의미는 '호랑이의 꾸짖음' 내지는 '호랑이가 꾸짖다'.
2. 내용
열하일기에서는 박지원의 순수 창작이 아니라 청나라로 가던 중 들른 한 상인[1] 의 집 벽에 적혀 있던 이야기[2] 가 모태이며, 이야기를 본 박지원이 호탕하게 웃으며 '이걸 가져가면 한양이 유쾌하겠구나. '라고 생각하여 옮기기 시작했다고 해 놓았다.[3][4] 그리고 그때 자기 말고 다른 한 명과 서로 반반씩 나눠서 필사를 했는데, 자기 거는 제대로 옮겼는데 다른 사람이 옮긴건 오탈자에 빠진 부분도 많아서, 어쩔 수 없이 문맥을 통하게 하려고 반절은 적당히 기억나는 대로 옮겼다고 써 놓았다. 하지만 이는 정치적, 사상적 탄압을 빠져나가기 위한 작가의 의도된 설정인 것으로 보인다.[5]
조선, 아니 한국의 마스코트(?)라 할 수 있는 호랑이를 통해 조선 상류층(혹은 선비 계층)을 비판한 소설…이기도 하지만, 호랑이가 사람을 죽일 때마다 그들의 혼령(창귀)이 호랑이에게 붙어 호랑이를 도와준다는 것이 재미난다. 호란을 당한 사람의 혼령은 호랑이에게 붙잡힌다는 민간 설화에 바탕을 두고 작성된 모양.
초반에 박지원이 만들어낸 '''對 호랑이 전용 괴수'''들을 보면 박지원이 얼마나 야사집 등에 밝으며 문학 상상력이 풍부했는지 알 수 있다. 비위, 죽우, 박, 오색사자, 자백, 표견, 활, 황요. 산해경을 비롯한 신화집과 야사 등 책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호랑이가 먹이로 사람을 추천하는 수하들한테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서 '''사람은 먹을 게 못된다'''고 평가하는 것도 이색적이다.
온갖 약재를 품고 사는 의원은 '의醫(의원 의)는 의疑(의심할 의)이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온갖 의심스러운 처방을 마구잡이로 내려 죽은 환자들의 원혼이 골수에 서려 있어 먹지 못한다.'[6] 라고 평하며, 신내림 때문에 몸을 정갈히 하는 무당의 경우는 '무巫(무당 무)는 무誣(무고할 무)에 불과하므로, 무고한 사람들과 귀신들을 속여 그들의 분노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그것이 변하여 금잠(금빛 누에)이 되었는데, 그 똥은 독이라서 사람을 죽일수있으므로 먹지 못한다.'라고 한다. 하지만 "선비라는 종자는 그중에서도 '''가장 못먹을 족속이다.'''[7] 라는 게 선비에 대한 호랑이의 평가. 실제로 사람고기는 체취가 매우 강해서 처음 접하는 동물은 먹기를 꺼린다. 대개의 식육목 포식자들은 공포감 + 냄새 때문에 인육을 기피하지만, 한번 맛을 보고 나면 잡기 쉽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상습적으로 인간을 노리게 되는 것이다.
아무튼 '학자가 가장 먹을 만하다'는 창귀의 추천을 들은 호랑이가 마을에 내려가보는데, 그 마을에는 나이 사십도 안 되는데 1만 5천 권의 경전을 번역하고 집필한[8] 유학자 북곽 선생이 있었는데, 또한 그 마을에는 정절을 잘 지키어 천자한테도 칭호를 받았고 땅까지 하사받은 동리자라는 여인이 있었다. 그런데 이 동리자가 거느리고 있는 다섯 아들들이 '''모두 각성바지'''라는 점이 포인트. 더욱이 이들이 자기 어머니와 북곽 선생이 밀회하는 걸 보고 '북곽 선생 같은 분이 이런 짓을 할 수 있나. 저건 필시 여우가 둔갑한 것이다.' 하면서 덮쳐오자, 여기에 놀란 북곽은 도망가다가 똥통에 빠져서(……) 허겁지겁 밭고랑을 달리던 중 호랑이를 만난다.[9] 식겁한 북곽은 호랑이한테 아첨을 늘어놓지만, 호랑이는 '''"평소에는 날 그렇게 욕하더니 이제와서는 산중왕이라고 하는 거냐?"'''라면서 신나게 공박하는데 대충 요약하자면
하고선 뒤도 안 돌아보고 사라진다.1. 만물의 이치는 하나다. 즉 호랑이의 본성이 악하면 인간들의 본성도 악할 것이고, 인간의 본성이 선하면 호랑이의 본성도 선할 것이다.
2. 우리는 딱히 법이나 처벌이 없어도 잘 사는데 인간들은 법을 만들고 온갖 도구로 벌을 내리거나 죽여도 악행이 끊이질 않는다.
3. 우리가 표범을 안 잡아먹는 이유는[10]
차마 제 동류에 손댈 수 없어서 그런 것인데, 너희들은 제 동족에게도 해를 입힌다. 그렇게 따지고 보자면 호랑이와 인간 중 누가 더 악하냐.
호랑이가 떠난 줄도 모르고 연신 엎드려 있던 북곽은 아침 일찍 밭을 갈러 나온 농부에게 그 장면을 들키고, 이른 아침부터 무슨 기도를 드리냐고 묻는 농부에게 '하늘이 아무리 높아도 고개를 숙이지 않을 수 없고, 땅이 아무리 두터워도 조심스럽게 디디지 않을 수가 없다'면서 시치미를 뗀다.
이런 전개에서 볼 수 있듯이, 위선자와 허례허식 등을 호랑이를 내세워서 비난하고 비꼬는 내용이 일품.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에 4번째 지문(25~28번)으로 출제되었다.
3. 호질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들
당할 상대가 없다 한 것 치고는 호랑이를 잡아먹는 짐승들이 많아서 오히려 호랑이가 불쌍...하게 보이겠지만, 중요한 건 위 천적들이 전부 상상의 동물이라는 것이다. 즉, 당시 사람들이 '이런 상상 속 괴물들이 아니면 호랑이를 당해낼 수 없다'라고 생각할 만큼 호랑이를 두려워했음을 의미한다.'''그러나 비위(狒胃)는 호랑이를 먹고,'''
'''죽우(竹牛)도 또한 호랑이를 먹으며,'''
'''박(駮)도 역시 호랑이를 먹고 산다.'''
'''또한 오색사자(五色獅子)는 큰 나무가 서 있는 산꼭대기에서 호랑이를 먹고,'''
'''자백(玆白)은 날아다니며 호랑이를 먹고,'''
'''표견도 날아다니며 호랑이와 표범을 먹고,'''
'''황요(黃要)는 호랑이와 표범의 염통을 꺼내서 먹는다.'''
'''활(猾)은 뼈가 없으니 호랑이와 표범이 삼켜도 뱃속에서 그 간을 먹는다.'''
'''추이(酋耳)는 호랑이를 만나기만 하면 갈가리 찢어서 먹는다.'''
'''호랑이가 맹용(猛㺎)을 만나면 무서워 눈을 내리깔고 감히 보지도 못한다.'''
'''그러나 사람은 맹용은 무서워하지 않고 오히려 호랑이를 더 무서워 하니 호랑이의 위세가 참으로 높은 것이다.'''[11]
[12][13]
죽우(竹牛)와 맹용(猛㺎)[14] 을 제외한 나머지 짐승들은 전부 중국의 고서[15] 에 인용된 바가 있는 전설상의 짐승들이다. 한국의 상상의, 혹은 창작 동물이 아닌 중국의 요괴이다.
[image]
위 이미지가 호질에서 언급한 호랑이의 천적인 박(駮)의 모습이다. 산해경에 나오며, 호랑이와 표범을 잡아먹고 살며, 이 박을 데리고 있으면 창칼같은 병기에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한다.
호질에 관련된 옛날 학습 만화에서 자백은 부리가 긴 검은색 괴조로, 활은 고깃 덩어리 같은 생물로, 맹룡(맹용)은 단순한 용으로 묘사되었다. 물론 이는 만화의 특성상 작가가 호질 원전에 표현되지 않은 부분을 임의로 상상해서 그린 것이다.
또한 네이버 웹툰 호랑이형님에서는 추이, 황요, 활, 박 [16] , 표견, 비위, 오색사자 (실루엣으로만 등장)가 등장한다.
다음은 사람을 잡아먹은 호랑이에게 붙은(복속되는) 창귀(倀鬼)들.
<청우기담>에 의하면 창귀들은 "호식(호랑이에게 잡아 먹힌)당한 사람의 영혼으로, 감히 다른 곳으로 가지 못하고 오로지 호랑이의 노예가 된다."라 서술되며 어우야담에서는 호랑이 꼬리에서 나오는 사람을 홀리는 독기라 묘사한다나...? 문 앞에서 범이 꼬리를 흔들어 독기를 뿌리면 홀린 사람이 스스로 나와 범의 입속으로 들어간다고. 특히 창귀가 호랑이의 지배를 벗어나기 위해 친지들에게로 호랑이를 안내하고 희생자를 불러들인다는 "다리 놓기"는 설화판 피라미드 사업의 폐해....'''호랑이가 개를 먹으면 취하고, 사람을 먹으면 조화를 부리는데,
호랑이가 사람을 한 번 잡아먹으면 창귀가 굴각(屈閣)이 되어, 호랑이의 겨드랑이에 붙어 호랑이를 이끌어 부엌으로 가서 솥을 핥으면, 집주인이 배고픈 생각이 들어 부인에게 야참을 시켜오게 만든다.[17]
호랑이가 두 번 사람을 먹으면, 창귀는 이올(彛兀)이 되어 호랑이의 광대뼈에 붙어, 높은 곳에 올라가 조심스럽게 살펴 만약 계곡에 함정이나 쇠뇌가 보이면 먼저 가서 그 기구들을 풀어버린다.
호랑이가 세 번 사람을 먹으면, 창귀는 육혼(鬻渾 :'죽혼'인데 육혼으로 읽힌다)이 되어 호랑이의 턱에 붙어 자기가 알고 있는 친구들의 이름을 죄다 알려준다.'''
창귀와 관련된 자료로 중국 쪽 설화가 있다. "마증"은 호랑이로 변한 스님에 관한 일종의 괴담 설화다. 호질의 저자 박지원이 이 이야기에서 창귀의 아이디어를 얻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한반도 전역에 퍼진 호환(虎患)과 그로 인한 창귀에 대한 두려움은 '''민속 대백과 사전'''의 창귀 항목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호식장(虎食葬) 내용에는 창귀를 예방하기 위해 호환 피해자의 영혼을 봉인하는 호식총(虎食塚)이라는 주술적 의례가 나온다.[18] 결국 창귀는 단순히 박지원의 호질이나 중국 설화에서 파생한 창작물이 아닌 "호환"이라는 현실적 재앙에서 비롯된 두려움임을 엿볼 수 있다. 네이버 웹툰 호랑이형님에서는 이 호식장을 인간이 아닌 호랑이에게 해주는 역발상적 창의력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