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펭귄
[image]
[clearfix]
1. 개요
펭귄목 펭귄과의 조류.
성체의 키가 120cm, 수명은 약 20년, 체중이 23kg에서 최대 45kg에까지 달하는, 현존하는 지구상의 펭귄 중 가장 큰 종이다.[1] 우리가 일반적으로 펭귄하면 떠오르는 '까만색 턱시도 입은 것 같이 생긴 펭귄'이 바로 황제펭귄이다. 눈이 검은 털 때문에 잘 안보이는 데다 추워서 항상 차렷자세로 있는지라 대단히 시크해 보인다. 그 별명도 '''남극의 신사'''. 또한 아델리펭귄과 더불어 '펭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생김새의 펭귄이기도 하다. 황제펭귄은 펭귄중에서 상당히 온순한편에 속한다.
2. 황제펭귄의 생활
남극의 혹한에 정면대결하는 동물로 유명하다. 다른 동물이 다 떠나는 남극의 겨울에 군락지로 몰려들어 알을 낳은 후, 알을 낳느라 지친 암컷은 다시 바다로 나가고 수컷이 무리를 이뤄 알을 품는다. 이 때 남극의 기온은 영하 50도를 넘나들 정도로 혹독하므로 황제펭귄들이 서로 원 모양으로 무리에 무리를 짓고 바람에 버티면서 가끔 마치 메카에 있는 카바 신전 내부의 검은 돌 주위를 성지순례하는 무슬림들처럼 원안에서 조금씩 이동을 하는 허들링을 하며 버틴다. 이렇게 대규모로 떼지어 있는 모습이 압권이다.
물론 부화할 때까지 몇 달 동안 다른 먹이가 없으므로 눈만 먹으며 버틴다. 게다가 태어나자마자 새끼에게 먹일 먹이는 위벽에 보관했다가 나중에 이를 토해내어 먹이는데, 이를 펭귄 밀크라고 한다. 먹지도 못하고, 얼어붙을 각오를 하면서 정말 죽을 고생을 해서 새끼를 품는 것.
이렇게 지극정성으로 알을 품어도 실제로 부화 성공률은 60% 정도인데, 확률이 이렇게 낮은 이유는 남극의 겨울에 처음 알을 품어보는 초보 아빠 펭귄이 알을 발등에서 떨어트리는 경우가 잦기 때문. 이렇게 놓친 알은 영하 50도의 추위에서 20초만에 얼어붙기 때문에 놓치는 순간 부화는 물 건너간 셈이라고 치면 될 듯. 하지만 한 해나 두 해를 넘겨서 알을 품는 데 이력이 붙은 펭귄들은 서서 허들링을 하다가 힘들면 엎드려서 알을 품기도 하는 등 좀 더 능숙하게 알을 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면 왜 하필 겨울에 알을 낳아서 품는 생고생을 하는가 하는 생각이 들 법한데, 남극의 겨울은 그야말로 혹한의 추위여서 펭귄들에게도 힘들지만, 도둑갈매기같은 펭귄의 천적도 활동을 못하기 때문에 수컷들이 알 품는 데에 집중할 수 있다. 한편으론 남극의 바다에 먹을거리가 풍부한 시기에 맞춰서 새끼를 독립시키려고 일부러 혹한기에 알을 낳는다고도 한다. 비슷한 예로 수리부엉이가 있다.
황제펭귄은 양육에 대한 집착이 대단한데, 알을 놓치거나 새끼를 놓치거나 해서 새끼가 얼어 죽은 경우, 새끼를 잃은 펭귄들은 남의 새끼를 빼앗아서라도 키우려고 한다 . 네다섯 마리 정도로 무리를 이뤄서 다른 펭귄이 새끼를 떨어트리지 않나 매의 눈으로 보고 있다가 누군가 새끼를 떨어트리는 순간 현장을 순식간에 덮쳐서 새끼를 빼앗으려고 하는데 바닥에 떨어진 새끼는 덩치가 몇 배는 되는 다른 펭귄들에게 이리 채이고 저리 깔리는 봉변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원래 부모가 필사적으로 지키려고 하지만 워낙 극성맞게 빼앗으려고 들기 때문에 빼앗기는 경우도 있는 듯. 하지만 이렇게 뺏은 새끼의 경우 생존확률이 많이 떨어지는데, 암컷펭귄이 버리거나 혹은 소리를 기억하지 못하여 뺏은 새끼를 구분못하는 등등 제대로 키울 확률이 한자리수까지 떨어진다고한다. 반대로 원래 부모가 있는 새끼 외에 고아가 된 새끼 펭귄이 양부모를 찾는 경우도 있는데 자기 새끼가 있는 펭귄의 경우에는 알주머니(Brood Pouch)에 파고들려하면 쫓아내며 위와 같이 새끼를 잃은 어른펭귄들이 달려드는 경우 그만 깔려죽는 비극이 종종 벌어진다.
황제펭귄을 최대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에서 관찰하기 위해 생물학자들이, 새끼 황제펭귄으로 위장한 원격 조종 로봇을 만들어서 황제펭귄 무리 안에 들여 보냈다. 그러자 부모 황제펭귄들이 이 로봇을 친하게 대해주며 로봇에게 특별한 울음소리를 내기도 했는데, 앞의 행동을 한 이유는 자기 새끼 펭귄을 위해 이 로봇을 친구로 만들어주고자 그런 것이고, 울음소리를 낸 이유는 그것과 관련하여 로봇의 반응을 듣고자 그런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로봇에 소리를 내는 기능이 없어서 별다른 반응을 보일 수 없었는데, 이에 황제펭귄들이 매우 실망했다고(…). 결국 학자들이 로봇에 소리 내는 기능을 넣기로 했다. 관련 기사.
새끼와 부모의 의사전달은 소리로 한다. 각 펭귄가족이 공유하는 고유한 소리가 있어서 이 소리로 서로를 분간하는데, 바다에 갔다 와서도 이렇게 소리를 듣고 서로 짝을 찾아내고, 새끼를 확인하며 먹이를 먹인다. 이때 새끼가 부모 소리를 기억하지 못해서 확인을 못 하는 경우 미련 없이 다른 새끼를 찾으러 떠난다고.
참고로 황제펭귄은 상당히 특이한 울음소리를 내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성체의 경우 특유의 기계음 같은 울음소리를 내고(영미권에서는 트럼펫 소리 같다고 Trumpeting 이라고 한다) 반면 새끼 황제펭귄은 아주 귀여운 짹짹거리는 소리를 낸다. 직접 들어보고 싶다면 링크에 가서 들어보자. 영상 초반에 나오는 짹짹대는 소리가 새끼 펭귄의 소리이고 후반부의 꽥꽥거리는 소리가 성체 황제펭귄.
새끼는 추위를 견딜 수 있는 털이 날 때까지 부모 발등에 얹혀서 지내다가 털이 나고 덩치가 커지면 다른 새끼들과 함께 집단양육을 받는다. 이때에는 주로 도둑갈매기가 가장 큰 천적으로 거의 자기 덩치만 한 새끼펭귄의 목을 물고 사정없이 흔들어서 죽인 다음에 뜯어먹는다. 새끼펭귄이 공격을 당하면 다른 부모펭귄 서너 마리가 와서 새끼펭귄을 에워싸고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도둑갈매기를 쪼거나 소리를 내서 물리치는데, 도둑갈매기도 사정이 사정인지라[2] 그렇게 쉽게 물러서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런 식으로 크다가 점차 회색 솜털이 벗겨지게 된다. 그 사이에, 부모는 새끼에게 마지막 먹이를 주고 모두 한꺼번에 떠난다. 새끼들은 배고픔의 본능에 이끌려 바다로 나가게 된다.[3] 검은색 털이 나면 이제 성체가 된 것이므로 단독생활을 시작한다. 그렇게 봄 동안에는 바다에서 생활하며, 통상적으로 이 시기를 살짝만 지나면 다시 펭귄의 짝짓기 계절이 찾아온다. 그러나 이전의 암수가 다시 만나는 정도는 대략 10%에 불과하다.
3. 기타
[image]
- 새끼가 매우 귀여운걸로 유명하다. 국내의 이과수 정수기 광고에도 나온다. 사실 펭귄 관련 3D애니메이션 등에서 나오는 새끼 펭귄은 거의 다 이 녀석들. '페페리코'라는 황제펭귄 캐릭터도 새끼 펭귄이 모델이다.
- 아주 비슷하게 생긴 종으로 왕펭귄(King Penguin, Aptenodytes patagonicus)이 있다. 성체끼리 비교하면 왕펭귄은 황제펭귄보다 조금 작고, 귀(?)부분만 노란 황제펭귄과 달리 턱밑에서 가슴까지 선명한 노란색 포인트칼라(?)가 있다. 단 성체와 달리 새끼 시절에는 상당히 다르게 생겼는데, 왕펭귄은 위의 황제펭귄 새끼가 회색인 것과 달리 갈색이며 눈매부터가 상당히 매섭다, 털걸레(...) 같은 외모라고.
출처
- 귀요미한 외모 때문인지 짤방으로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 꼬마펭귄 핑구에 등장하는 핑구의 여동생 핑가가 황제펭귄 새끼와 비슷하게 생겼다. 그 외에도 단역으로 나오는 아기 펭귄들도 황제펭귄 새끼의 모습이다. 그런데 핑구를 비롯한 나머지 펭귄들은 아델리 펭귄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아빠는 황제펭귄과 외형이 닮았다. 그런데 잘 보면 핑구도 그렇고 가족 전부 흰 배가 노란끼가 살짝 도는 걸 보면 황제펭귄이 맞는 걸로 보인다.
- 백곰 카페라는 만화에서 황제펭귄이 주역으로 등장한다.
- 케모노 프렌즈에 등장하는 팽귄 아이돌 그룹 페퍼프의 리더인 황제도 황제펭귄이다.
- 이 품종의 새끼를 소재로 한 어서오세요 치토세짱이 애니메이션으로 소개되었다.
- 꽤나 높은 인지도에 비해 사육하는 동물원은 드물고, 한국에는 없다. 혹독한 그들의 생활방식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 듯. 그렇다고 아예 없는건 아니고 미국의 샌디에고 시월드에 젠투펭귄, 턱끈펭귄과 같이 몇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그 외에는 중국, 일본의 동물원에서 사육하는 등 좀 인구수가 되어서 관람객으로 가성비를 뽑을 수 있는 나라의 동물원에서 주로 사육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일본의 나고야항 아쿠아리움. 실제로 이곳의 경우 황제펭귄을 보러 오는 관람객도 꽤 있을 정도로 제대로 뽕을 뽑고 있다.
- 해피 피트에 등장하는 등장인 물로도 나온다.
- 엠퍼러와 함께의 나오는 주인공으로 카호 집 냉장고에서 갑자기 나타나 같이 지낸다.
[1] 화석종까지 전부 포함할 경우 21세기 현재는 멸종된 안트로포르니스(''Anthropornis'')라는 종이 키 '''190cm'''로 가장 큰 종이다.[2] 당연한 말이지만 얘네들도 먹이를 먹고 새끼를 키워야 한다.[3] 그런데 시기가 딱 적절한 것인지, 이때가 마침 아델리펭귄이 도착해 막 서식지를 잡으려고 하는 시기이다.[4] 주인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