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이 롱

 


[image]
1. 개요
2. 생애
3. 암살
3.1. 만약 암살당하지 않았더라면?
4. 가족
5. 매체에서
6. 어록
7. 같이 보기


1. 개요


1893년 8월 30일 ~ 1935년 9월 10일(향년 42세)

'''모든 사람이 왕이다(Every Man a King).'''

미국의 정치가. 위키백과에서는 좌파 포퓰리스트로 분류된다.
별명은 '''부시리 (The Kingfish).'''

2. 생애


풀네임은 휴이 피어스 롱 쥬니어로 1893년 미국 루이지애나배턴루지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세일즈맨을 하면서 돈을 모은뒤 오클라호마 뱁티스트 대학 법학과에 들어가 법학을 전공했다. 변호사가 된 후 정치에 관심을 두고 대기업들을 공격해 정치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그 인기를 바탕으로 1924년 루이지애나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지만 경험 부족으로 낙선한뒤 4년 동안 열심히 표밭을 일구어서 1928년 선거에서는 서른 여섯의 나이로 당당히 최연소 주지사로 당선되었다.
롱은 적극적인 실업자 구제를 위해 고속도로, 아스팔트 포장도로, 신규 교량 건설을 시행했다. 하지만 주의 적자가 10배나 불어났는데 이는 건설사업 과정에서 각종 뇌물수수 및 리베이트등의 비용들까지 추가된 탓이었다.
자칫 주지사에서 쫓겨날 수도 있었지만 롱은 주의회 의원들을 돈으로 구워삶아서 주의회를 장악하는데 성공했다. 롱의 입김은 주지사가 관여하기 어려운 주 사법부나 교육기관에까지 미쳐서 루이지애나를 쥐고 흔들게 되었다.
1929년, 재정적자를 타개할 요량으로 석유회사 스탠다드에 중과세를 부과하려 했다. 주 하원이 이에 반발해서 롱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했지만 롱은 매수와 협박으로 이를 부결시키는데 성공했다.
중앙 정계로의 진출을 추진한 롱은 1932년, 자신의 수하인 오스카 K. 알렌을 루이지애나 주지사로 당선시키고 자신은 뒤에서 루이지애나를 계속 쥐고 흔들었다. 한편으로 루이지애나 미국 상원의원에 당선되어 중앙 정계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당초 롱은 32년 대선에서 프랭클린 루즈벨트를 지지했지만 롱의 급진적인 정책을 내심 못마땅해한 루즈벨트가 롱과 거리를 두려고 하자 루즈벨트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1936년 대선에는 본인이 직접 출마하려고 구상했다.

3. 암살


적이 많았던 롱은 항상 보디가드를 대동하고 다니며 신변보호에 만전을 기했다. 그러나 자신의 본거지인 루이지애나에서 연방판사 벤자민 헨리 파비 (Benjamin Henry Pavy, 1874~1943)가 급부상하자 파비를 견제하기 위해 주법을 개정했고 이에 분개한 파비의 사위이자 의사였던 칼 오스틴 와이즈(Carl Austin Weiss.1906~1935)가 1935년 9월 8일, 루이지애나 주의회 의사당 건물에서 롱을 저격했다.[1] 칼 와이즈는 현장에서 경호원들이 쏜 60발이 넘는 총알에 맞아 사살되었고 롱은 이틀동안 사경을 헤메다가 1935년 9월 10일 결국 사망했다. 롱의 장례식에는 무려 10만여명의 지지자들이 몰려와 그를 애도했다고 한다.
칼 와이즈의 아내와 아들은 죽을때까지 칼 와이즈가 범인이 아니라고 반발했다. 이들은 휴이 롱을 쏴죽인건 경호원들이라고 주장했지만 당시에도 헛소리로 매도당했다. 아내인 이본느 루이제 와이즈 (yvonne Louise Pavy Weiss, 1908~1963)나 아들 칼 와이즈 주니어(1935.6.7.~2019.8.1)는 죽을 때까지 와이즈의 무죄를 주장했다. 이본느는 1935년 당시 외아들인 주니어가 태어나서 기뻐했고 9월 8일 그날도, 남편은 웃으며 출근했다...태어난지 3달된 아들과 아내를 놔두고 그가 그럴리 없다고 주장했다.
주니어는 2019년 8월 1일, 84살로 신부전증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죽기 전까지도 아버지의 무죄를 주장했다. 하지만, 그런 무죄 주장에 대하여 이미 1991년, 미국 루이지애나 주는 56년동안 묻혀져 있던 칼 와이즈 시체를 꺼내 뼈를 자연사 박물관에게 조사를 맡겼었다. 와이즈의 뼈 곳곳에 총알 자국이 남아있었는데 그의 뼈나 당시 기록, 현장 그림, 총까지 모두 조사한 시체 법의학 과학자 제임스 얼 스타스(James E. Starrs)는 당시 현장 그림을 봐도 휴이 롱 등 뒤에서 쏜 총알이 확실하며 등 뒤에 있던 칼 와이즈가 진범이라는 게 더 확고해졌다고 발표했다.
이에 아버지처럼 의사가 된 쥬니어와 똑같이 현재도 의사로 일하는 손자 칼 와이즈 3세는 반발했지만 시체 부검결과를 상세히 보여주자 한다는 소리가 다른 시체를 부검했다라는 억지스러운 주장을 했다. 지금도 이 주장을 손자인 칼 와이즈 3세가 계속 하고 있다. 칼 와이즈의 암살로 인하여 오히려 ,파비 판사는 정치적 입지까지 박살나서 되려, 장인에 대하여 증오를 품어서 장인을 정치적 매장하고자 암살을 한 거 아니냐는 소리까지 나올 판국이다. 아무튼, 칼 와이즈가 진범이라는 것이 더 신빙성이 있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미국 역사상 몇손가락 안에 들 급진적인 진보주의자로 꼽히는 롱의 모토는 '''"모든 사람이 "(Every Man a King)'''이었다. 세계 대공황의 불황 가운데 롱은 모든 사람이 왕같은 대접을 받아야 한다면서 부의 재분배 정책을 주장했다. 물론 롱은 공산주의와는 거리가 있었다. 롱의 주장은 정부가 나서서 대기업의 부를 국민들에게 분배한다는 정책이었다. 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롱의 정책은 국가사회주의(State Socialism)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역사학계에서는 "미국사상 주류 정계에 진출 했던 최고의 거물급 진보주의자"나 "미국에 파시스트 정권을 탄생 시키려고 했던 남자" 등 엇갈리는 평을 내리고 있다.

3.1. 만약 암살당하지 않았더라면?


롱이 만약 암살되지 않고 미국 민주당 대선경선에 뛰어들었다면 어찌되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물론 루즈벨트라는 산을 넘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롱의 암살에 음모가 있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롱이 유력한 대선주자였기 때문에 암살당한 것이라는 주장이지만 확실한 근거가 있는건 아니다.

4. 가족


휴이 롱의 동생인 얼 롱(Earl Long)은 그라쿠스 형제마냥, 휴이 롱이 죽고 나서 그에 대한 동정표로 정계에 진출했다. 1939년 루이지애나 주지사 보궐선거, 1948년 루이지애나 주지사 선거, 1956년 루이지애나 주지사 선거에서 당선된다. 그리고 얼 롱은 보란듯이 휴이 롱보다 더 강경한 진보 정책을 밀어 붙였다. 실제로 얼 롱이 활동하던 기간 동안 미국 정계에서는 이들을 그라쿠스 형제의 미국판이라고 불렀다.
1960년 얼 롱은 주지사직이 만료되자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그러나 1960년 9월 5일 선거 유세 도중에 급성 심장마비로 쓰러져, 65살로 사망했다. 이 때문에 얼 롱이 죽었을 때 휴이 롱처럼 반대파에서 암살한게 아닌가 하는 음모론이 끊이지 않았다.

5. 매체에서


카이저라이히: 대전의 유산에서는 롱이 암살되지 않고 1936년 대선에 출마한다. 다만 이쪽 세계에서는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재선에 반발해서 민주당을 탈당한 뒤 남부 중심의 극우파 정당인 미국제일당(AFP)을 창당한 상태.[2] 대선에서 휴이 롱이 낙선되거나 당선 후 쫓겨날 경우 미국 남부 주들이 연합한 미연합국(AUS, American Union State)을 세우고 내전을 일으키게 된다.
위 해피 퓨는 현실 역사와 반대로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암살당하고 휴이 롱이 당선된 세계관이다.
롱의 삶을 모티브로 한 All the King's Men이라는 제목의 소설 원작 영화가 있다. 1949년2006년에 영화화 되었는데 2006년 작에는 숀 펜이 롱을 모티브로 삼은 윌리 스타크 역으로 출연한다.
랜디 뉴먼이 휴이 롱의 입장에서 쓴 곡으로 Kingfish가 있다.
소설 폭군 고종대왕 일대기에서도 외전에서 암살당하지 않고 미국의 제32대 대통령으로 등장한다.
소설 대영제국 함장이 되었다에서는 미국이 1차대전에 참전하지 않아 독일제국이 붕괴되지 않고 휴전협정을 맺은 세계관의 미국에서 후버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 무리하게 캐나다 침공을 명령,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이에 반발해 반전운동을 하다가 총에 맞지만 죽진 않고 살아남는다. 이때 후버가 뒷목을 잡는 걸로 봐서는 후버의 지시는 아니었던 듯. 하지만 후버는 암살 배후로 지목되어 곤욕을 치른다. 주인공 루이스 제독의 활약으로 동맹인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제해권을 빼앗기고, 일본, 독일, 영국의 연합군이 루이스 제독의 지휘 하에 태평양과 대서양에서의 함대결전으로 미 해군을 괴멸시키자 후버와 협상을 통해 어떻게든 전쟁 책임을 맥아더에게 덮어씌우고 종전 결의안을 통과시키려 하지만 이를 눈치챈 맥아더의 쿠데타로 은신하는 처지가 된다. 영국,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연합함대와 벌어진 마지막 함대결전에서의 완패 후 미국이 항복한 뒤 대통령에 당선된다. 이후 일본이 폭주하면서 미국의 내전을 부추기자 일본을 불편하게 보던 루이스 제독과 처칠의 도움을 받아 내란을 일으킨 서부를 진압하는 한편 언제나 으르렁대는 어니스트 킹과 주인공이 백악관 지하 회의실에서 감정이 격해져 권총을 빼드는 사건까지 벌어지자[3] 몸을 날려 둘 사이를 가로막아 가며 중재하는 등 바람 잘 날이 없다.
그나마 정치력을 발휘해 미국에 걸린 군비제한 해소는 물론 영국과 일본의 대리전으로 번진 미국 내전을 핑계로 배상함으로 뜯긴 군함들을 전부 도로 받아오고, 내전을 종식시키는 등 배상금 문제와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직접적인 인적, 물적 피해를 제외하고는 모든 상황을 전쟁 이전으로 되돌리는 데 성공하기까지 했으므로 후대에 나쁜 평가를 받지는 않을 듯. 이후 미국은 전쟁 패배의 상처를 이겨내고 요크타운급, 에식스급 항공모함들을 찍어내고 영국, 독일 등과 연합해 일본 제국에게 복수의 칼을 들이민다.

6. 어록


According to the tables which we have assembled, it is our estimate that 4 percent of the American people own 85 percent of the wealth of America, and that over 70 percent of the people of America don't own enough to pay for the debts that they owe.

How many men ever went to a barbecue and would let one man take off the table what's intended for 9/10th of the people to eat? The only way to be able to feed the balance of the people is to make that man come back and bring back some of that grub that he ain't got no business with!

Now, how are you going to feed the balance of the people? What's Morgan and Baruch and Rockefeller and Mellon going to do with all that grub? They can't eat it, they can't wear the clothes, they can't live in the houses.

Giv'em a yacht! Giv'em a Palace! Send'em to Reno and give them a new wife when they want it, if that's what they want. But when they've got everything on God's loving earth that they can eat and they can wear and they can live in, and all that their children can live in and wear and eat, and all of their children's children can use, then we've got to call Mr. Morgan and Mr. Mellon an Mr. Rockefeller back and say, come back here, put that stuff back on this table here that you took away from here that you don't need. Leave something else for the American people to consume. And that's the program.

We're not going to destroy the Gulf Refining Company; we're not going to destroy the Standard Oil Company, but we're going to say that the limit of any one man's stock ownership in the Standard Oil Company is from 3-to-5 million dollars for that individual and the balance to the people of America who own the balance of what the Standard Oil Company is worth!

Then, we start from the bottom. That the 25 or more million American families shall have a homestead. A home and the comforts of a home, including an automobile and a radio, the things is takes in that house to live on.

We say to America, 125 million, none shall be too big, none shall be too poor, none shall work too much, none shall be idle. No luxurious mansions empty, none walking the streets, none impoverished, none in pestilence, none in want, but in the land blessed by the smile of the Creator with everything to be consumed, to be eaten, to be worn, that America will become a land, sharing the fruits of the land, not for the favored few, not to satisfy greed, but that all may live in the land in which the Lord has provided an abundance sufficient for the luxury and convenience of the people in general! I thank you.

1934년 12월 11일 워싱턴 D.C. 에서의 연설[4]


7. 같이 보기


  • 이재명[5]
[1] 참고로 이때 쓰인 총은 FN M1910. 바로 '''사라예보 사건의 그 총이다.''' 하지만 그 문제의 19074번은 당연히 아니다. 현재는 루이지애나의 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 휴이 롱이 경제적으로는 좌파적이었지만 동시에 어떠한 정치적 술수도 마다하지 않는 강경한 마키아벨리스트였던 것을 고려하면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3] 어니스트 킹이 시건방진 태도로 회의 중 시비를 걸다가 좋게좋게 가려던 루이스 제독의 트라우마를 건드리는 바람에 빡친 루이스 제독이 선배님 곁으로 가고 싶냐고(미 해군을 1차대전 때 박살내고 사우스다코타급 전체, 1척을 제외한 아이오와급 전함들 및 항공모함 랭글리와 렉싱턴을 비롯해 미 해군의 전함과 항공모함 다수와 조지 마셜을 비롯한 주요 장성들을 날려버린 게 루이스 본인인 만큼 꽤 심한 고인드립이다. 물론 어니스트 킹은 기껏 도와주러 온 루이스를 첫 재회부터 한도끝도없이 시비였다가 루이스 제독의 지휘 하에 격침된 유일한 주력함인 타이거를 잃은 전장인 카리브 해 해전을 가지고 고인드립으로 먼저 시비를 걸었다.) 고함을 지르고 제독들과 부관, 호위병들 및 참모진이 권총을 서로에게 겨누는 개판이었다.[4] 방송을 할 때 방송국이 실수를 했는지 영상을 보면 죽은지 61일 된 후에 연설을 한 것처럼 자막이 나온다. (1935년 12월 11일)[5] 한국에서 휴이 롱과 가장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