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인의 성난 사람들
1. 개요
'''제 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 수상 / 제 30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 후보작''''''LIFE IS IN THEIR HANDS- DEATH IS ON THEIR MINDS!'''
'''목숨은 그들의 손에 달렸고 죽음은 그들의 마음에 달렸다!'''
포스터 문구
사회풍자의 대가로 꼽히는 시드니 루멧의 기념비적인 첫 영화 연출작. 보리스 카우프만이 촬영을 맡고[1] , 레지날도 로즈가 각본을 맡았다. 시드니 루멧은 1957년에 감독한 이 영화로 베를린 영화제 황금곰상을 따내며 화려하게 영화판에 데뷔했다. 본래 이 각본은 TV용 드라마를 위해 쓰여졌고, 실제 CBS의 'STUDIO ONE'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방영되기도 했다. 드라마의 성공에 고무된 헨리 폰다[2] 와 레지날도 로즈는 공동으로 영화를 제작하기로 하고, 그 전부터 TV드라마를 통해 인정받던 시드니 루멧을 감독으로 기용한다.
미국의 배심원 제도를 다룬 영화로서, 유죄가 확실해 보이던 살인 혐의의 소년을 두고, 12인의 배심원이 격렬한 토론을 통해 합의해나가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다. 미국 영화 연구소에서 선정한 미국 영화 Top100에 포함되었으며 IMDb Top 250에서 무려 '''5위'''에 위치해 있는 등, 법정 관련 드라마로는 대단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시드니 루멧 특유의 연극식 연출이 돋보이며 초반부 롱테이크가 백미.
배심원 제도에서, '''유죄가 확실한 게 아니면 무죄로 할 것'''이라는 배심원의 원칙을 제대로 보여준다는 평이 많다.
법학 관련 수업(특히 형법이나 형사소송법 과목)에서 교수가 과제로 줘서(...) 반강제로 보기 시작하는 경우가 좀 있는데 보통 보기 시작하면 영화 특유의 흡입력 있는 전개로 재미있게 보는 경우가 흔하다. 미국의 배심원 제도를 다룬 것이다보니 한국과는 제법 차이가 있지만 법이 해야할 일은 미국이라고 다를게 없으니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충분히 잘 전달된다.[3]
현재는 저작권 보호기간이 만료되어, 자유롭게 감상하거나 인용할 수 있다. 하지만, 유튜브에서는 여전히 저작권이 걸려있어 수익 창출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12월 11일경 '''저작권이 걸려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 출처: 네이버 영화
4. 등장인물
- 마틴 발삼 - 배심원 1 (배심원장)
- 존 피들러 - 배심원 2
- 리 J. 콥 - 배심원 3
- E. G. 마샬 - 배심원 4
- 잭 크루그먼 - 배심원 5
- 에드워드 빈스 - 배심원 6
- 잭 워든 - 배심원 7
- 헨리 폰다 - 배심원 8
- 조셉 스위니 - 배심원 9
- 에드 베글리 - 배심원 10
- 조지 보스코벡 - 배심원 11
- 로버트 웨버 - 배심원 12
- 루디 본드 - 판사
5. 줄거리
무더운 여름날, 뉴욕시의 법정에 아버지를 칼로 찌른 한 소년의 살인혐의를 두고 12인의 배심원들은 만장일치 합의를 통해 소년의 유무죄 여부를 가려줄 것을 요구받는다. 판사는 유죄일 경우 이 소년은 사형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이들에게 미리 일러둔다.
배심원 방에 모인 이들은 투표를 통해 유무죄 여부를 가리기로 한다. 가벼운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이 눈치를 보며 전부 소년을 유죄로 판단하는 가운데, 오직 배심원 8(헨리 폰다)만이 소년이 무죄라고 주장하면서 영화는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배심원 8이 무죄를 주장하는 시점부터 만장일치로 합의해나가는 과정을 그려낸다.
시간이 갈수록 분위기는 무죄쪽으로 쏠리고, 끝까지 설득당하기를 거부하던 나머지 배심원들도 반박 중에 자기모순에 빠져 결국 무죄 가능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마지막까지 논리적으로 유죄를 주장하던 4번 배심원이 '''안경 근거'''에 설득당하자 완전히 무죄로 판명나게 된다.[14] 결국 배심원단은 만장일치로 무죄 판결을 내린 뒤, 다시 자신들의 일상으로 돌아간다.
6. 평가
이 영화는 한 사안이 합의되어가는 과정을 면밀하게 그려내고 있으며, 또한 갈등을 이겨내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럽고 어려운 일인지 잘 보여주고 있다. 잘 보면 12인 모두가 논쟁 과정에서 흔히 볼수 있는 성격의 인물들이다. 정확한 논리로 사안을 찬성 혹은 반대한다거나, 그저 큰 목소리로 상대를 압도하려 한다거나, 토론 자체에 별 관심이 없다거나, 자기 주관없이 왔다갔다 한다거나.. 등등.Sidney Lumet's feature debut is a superbly written, dramatically effective courtroom thriller that rightfully stands as a modern classic.
'''시드니 루멧의 도드라지는 데뷔작은 멋들어지게 각본이 잘 써지고 극적으로도 효과적인, 현대의 고전으로 남기에 적합한 법정 스릴러물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
또한 재판에 있어 '''합리적 의심(reasonable doubt)'''에 근거한 배심원단의 판단[15] 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이 '''합리적 의심(reasonable doubt)'''이란 개념은 영화 속 인물들의 대사를 통해 끊임없이 강조된다.
물론 이 영화에서는 상당히 극적인 연극성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사건의 개연성을 극적으로 만든 부분도 존재하긴 한다. 전체적인 줄거리를 보면 알겠지만 '합리적인 의심'을 찾아가는 과정이 배심원들 스스로(...) 검사 측의 논리의 허점을 찾아주거나,[16] 외부에 나가서 증거와 똑같은 칼을 사와 주장하는 등(이야기 상 칼의 독특함이 하나의 쟁점이기도 하였다) 상당히 극적으로 연출된 부분이 많다. 실제로는 이러한 방식으로 논리적 허점을 찾아내는 과정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부분이 많지만, 실제로 배심원제도의 존재의의, 그리고 논리적 허점을 찾았음에도 불구하고 인정하지 않는 태도 등에 좀 더 초점을 맞추었기에 큰 단점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7. 명대사
'''이럴 때 개인적인 편견이 드러나기 마련이죠. 언제나 편견이 진실을 가립니다.'''
- 배심원 8
'''당신은 도대체 어떻게 되어먹은 사람입니까? 누가 당신에게 사람 목숨으로 장난칠 권리를 줬소? 무죄에 표를 던지고 싶다면 확신이 있을 때 하시오.'''
- 배심원 11
'''우리에겐 책임이 있습니다. 전 항상 민주주의가 위대하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우린 우편 통지에 따라 여기 와서, 생전 처음 보는 사람의 유무죄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겁니다. 이 판결로 우리가 득 볼 것도 잃을 것도 없지요. 그것이 우리가 힘을 갖는 이유입니다.'''
- 배심원 11
~
~
'''정말 날 죽이겠다는 뜻은 아니겠죠?'''
- 배심원 8
8. 수상 및 후보 이력
- 제 10회 미국 작가 조합상 각본상 수상 (레지날드 로즈)
- 제 11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외국) ''' (헨리 폰다)
- 제 30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후보
- 제 15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작품상-드라마, 감독상, 남우주연상-드라마 (헨리 폰다), 남우조연상 (리J.콥) 후보
- 제 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 수상
- 제 10회 로카르노 영화제 국제경쟁 - 심사위원특별상 수상
9. 기타
- 이 영화는 재미있는 점이 몇 가지가 있는데, 먼저 판사에게서 합의를 요구받는 첫 장면과 합의를 마치고 배심원들이 법원 밖의 계단을 내려가는 끝 장면, 그리고 중간에 화장실에서의 두 장면을 제외하면 모든 이야기가 전부 동일한 방 한 칸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영화에서 방 안을 제외한 밖의 촬영 시간은 약 3분 남짓. 또한, 끝 장면에서 두 배심원이 이름을 주고받는 것을 빼면 인물의 이름이 일절 나오지 않는다는 것도 있다.[17]
- 영화는 촬영 당시 2주 간 배우들과 치밀하게 리허설을 진행한 결과 본 촬영은 약 3주 정도의 다소 짧은 시간에 촬영을 마쳤으며, 감독인 시드니 루멧과 촬영감독인 보리스 카우프만은 이 과정에서 배심원들을 클로즈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영화 초반에는 카메라 구도를 윗쪽에서 잡고, 중반에는 눈높이에 맞춰서 잡고, 후반부에는 아랫쪽에서 잡았다. 이를 통해 각본이 가진 치밀함을 더욱 강조할 수 있었고, 좁은 공간에서 인물들이 주고 받는 대화 속에서 생동감과 긴장감을 더욱 부각시키는 효과를 주었다. 나중에 코멘터리 영상에서 밝힌 이야기이다.
- 1957년의 원작 영화 이외에도 여러 번 각색되어 연극 무대에 오르기도 했으며, 1997년에는 프렌치 커넥션, 엑소시스트의 감독으로 유명한 윌리엄 프리드킨이 연출을 맡아 드라마화되기도 했다. 원작에서 헨리 폰다가 연기한 8번 배심원을 드라마에서는 노배우 잭 레먼이 연기했고, 그 외에도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의 똘끼넘치는 터지슨 장군 역과 영화 <패튼 대전차 군단>의 조지 S. 패튼 역으로 유명한 조지 C. 스콧이 3번 배심원을 연기했다. 그 외에도 아민 뮬러 스탈이 4번 배심원, 소프라노스로 잘 알려진 제임스 갠돌피니가 6번 배심원, CSI 시리즈의 길 그리섬 반장으로 유명한 윌리엄 피터슨이 12번 배심원으로 등장한다.[18] 2007년에도 러시아에서 재구성작이 나왔으며 KBS 프리미어에서 한국어로 녹음해서 방영되었다.
- 장삐쭈가 설문조사라는 이름의 영상을 올려서 병맛더빙을 시행했는데... 완벽히 입싱크가 맞는다. 심지어 각 배역의 성격과 목소리까지 완벽하게 재현해냈다.
- 이름이 12인의 성난 사람들이지만 초반부 배심원들이 화를 내지 않아서 이해되지 않는다는 말이 많다. 그러나 영화의 후반부에 가면 영화가 서서히 제목값을 하기 시작한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좋아하는 영화이다.#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1] 1930년대 프랑스 시작 리얼리즘 영화를 이끌었던 장 비고와 함께 작업했던 촬영감독으로, 초원의 빛 등 여러 대표작이 있는 거장이다.[2] 이 영화는 그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제작에 담당한 작품이다.[3] 과제로는 오히려 이런게 적합할 수도 있다.[4] 8번 배심원의 논리적인 무죄주장에는 항상 말꼬리를 달며 질문답을 날리지만, 4번 배심원의 말에는 항상 동조한다. 10번 배심원처럼 궤변만 하지 않을 뿐, 작중 내내 자신의 말에 역으로 걸려 넘어지며 생떼를 쓰며 어거지를 부린다.[5] <워터프론트>에서 악역을 맡았다.[6] 8번 배심원이 가장 논리적인 무죄주장 배심원이라면 4번은 가장 논리적인 유죄주장 배심원이다. 3번보다 더더욱 그렇다.[7] 빌런은 아닌데, 왜냐하면 이 사람은 상대적으로 논리적이기 때문.[8] 4번이 논리적 전개를 하려고 해도 3번과 10번이 궤변을 늘어놓느라 4번이 제대로 된 의견을 전개할 수가 없다(...)[9] 전의 노인 증인의 이동시간에 대해서는 그것이 정확하지 않은지라 근거로 인정하지 않았지만, 안경 증거가 나오자 본인의 경험상 잘 때 안경을 끼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안경을 끼는 여성 증인이 소음을 듣고 밤에 일어나 '''확실히 소년이 살해했다는 것을''' 안경을 끼지 않은 채로, 그것도 전철 지나가는 창문으로 볼 수는 없었다고 판단해 여성의 증언을 배제한다.[10] 4번 배심원은 안경을 끼고 있었다. 안경 근거가 무엇인지는 4번 배심원 부분의 마지막 각주에 서술되어있다.[11] 유죄를 주장하는 나머지 배심원들은 (사감이 섞인 3번을 포함해서) 그래도 목격 증언이나 피의자 진술을 토대로 피의자의 유죄를 주장하지만, 이 쪽은 그냥 빈민가 놈들이 다 그렇다는 식의 혐오발언을 쏟아낸다.[12] 똑같이 유죄를 주장하고 가장 냉정한 4번 배심원이 아예 입도 벙긋 말라고 독설을 날릴 정도다.[13] 화를 내지않고 상대를 나무래도 정중하게 나무라던 사람이 7번 배심원이 논쟁하기 싫다는 이유로 무죄로 평결을 바꾸자 '''"누가 당신에게 사람 목숨을 갖고 놀 권리를 줬소?"''' 라고 몹시 분노한 얼굴로 화를 낸다.[14] 이 장면에서 사적 감정을 가지고 임했던 3번 배심원이 마지막으로 반발하는데, 여기서 리 J. 콥의 연기가 엄청나게 뛰어나다. 사실상 본작에서 제일 인상적 장면이라고 보아도 될 정도.[15] 실제로 한국의 법정에서도 판사가 검사의 기소내용을 유죄로 선고하려면 기소된 내용 전부가 <합리적 의심을 가질 여지가 없을 정도로(beyond a reasonable doubt)> 입증이 되어야한다. 참고자료[16] 이는 피고인의 변호사가 의뢰인이 가진 돈이 적다는 이유로 제대로 반박도 안 해서이다.[17] 피고인 소년은 The Boy로, 목격자는 Old man와 The Lady across The Street 등으로 불린다.[18] 이게 와전되어서 길 그리섬이 1957년 영화에 나왔다는 가짜 정보가 돌아다니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