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1. 개요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로 이 해부터 인류가 우주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잠시 짧은 훈풍을 낚시로 건 마오쩌둥의 광기의 서곡이 열린다.
세계 대중음악계를 뒤흔들어버린 밴드 '''비틀즈가 결성되기 시작한 해'''이다.(당시에는 쿼리멘)
2. 사건
2.1. 실제
- 1월 1일
- 1월 5일: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의과대학이 통합하여 연세대학교가 출범하였다.
- 1월 7일: 한일 문화재 반환 및 한국 재산권 고려에 대한 비밀조약이 체결되었다.
- 1월 11일: 언론인 친목단체인 '관훈클럽'이 창설되었다.
- 1월 13일: 1956년 이승만 당선을 계기로 유림단체인 유도회의 비주류파가 심산 김창숙의 주류파를 축출하면서 분쟁이 격화되었다.
- 1월 20일: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이 재선 취임식을 가져 두번째 임기를 시작하였다.
- 1월 28일: 대한민국에서 저작권법이 제정되었다.
- 1월 29일: 주한미군은 핵무기 도입을 정식 발표하였다.
- 2월 중: 중국의 지도자 마오쩌둥은 제11차 최고국무회의 확대회의에서 "인민 내부의 비 대항적 모순"에 대해서 건설적 비판에 대해 긍정하였다.
- 2월 5일: 국무회의는 군사재판의 3심제 도입을 의결하였다.
- 2월 14일: 농업은행법과 협동조합법이 제정되었다.
- 2월 22일: 대한민국 민법(신 민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2년 뒤에 시행되었다.
- 3월 3일: 북한은 김두봉을 숙청한 뒤 천리마운동을 개시하였다.
- 3월 6일: 가나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 3월 8일: 제2차 중동전쟁이 종식되고, 이집트가 수에즈 운하를 재개통했다.
- 3월 15일: 쿠바 친선 사절단이 한국을 방문하였다.
- 3월 17일: 라몬 막사이사이 필리핀 대통령 일행을 태운 항공기가 추락하여 대통령 일행이 모두 사망했다.
- 3월 18일: 영국 남서부에서 12만톤급 유조선 토리 캐니언 호가 좌초하여 원유 약 12만톤이 유출되었다.
- 3월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군사회담이 개최되었다.
- 3월 25일: 로마조약이 체결되어 유럽 경제 공동체(EEC)가 형성되어 유럽 경제통합의 씨앗이 싹텄다.
- 3월 28일: 일본은 을사늑약의 무효와 한국 내 일본인 재산 청구권 포기를 선언하였다.
- 4월 7일: 한국신문윤리위원회 발족과 동시에 '신문윤리강령'이 제정되었다.
- 4월 12일: 현 코오롱그룹의 모태인 '한국나이롱'이 설립되었다.
- 4월 30일: 일본은 투옥 중이던 한국인 전범 129명 전원(사형수 14명 제외)을 전원 석방하였다.
- 5월 1일: 마오쩌둥, 백화제방 백가쟁명의 정풍운동 지시. 광명일보를 계기로 공산당에 비판적인 수많은 의견들이 쏟아짐. 하지만...
- 5월 5일: 제34회 어린이날을 맞이하여 '어린이 헌장'과 '소파상'이 제정되었다.
- 5월 25일: 장충단집회 방해 사건이 터졌다. 이로 인해 주범인 유지광이 12월 5일 검거되었다.
- 6월 9일: 예상보다 너무 많은 비판에 격노한 마오쩌둥,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교시로 반동에 대한 척결을 교시함("반우파운동"). 고작 38일 만에 태도를 바꾼 것이다. 봄바람인 줄 알고 고개를 내밀었던 우파들은...
- 7월 1일: 유엔군 사령부가 일본 도쿄에서 서울로 이동하였다.
- 7월 15일: 미국 정부는 주한미군의 핵 무장에 착수한다고 발표하였다.
- 7월 29일: 국제원자력기구가 설립되었다.
- 7월 31일: 한일예비교섭이 재개되었다.
- 8월 4일: 전국에 대홍수가 일어나 247명의 사망자가 났다.
- 8월 14일: 서울시립교향악단이 발족되었다.
- 8월 22일: 전 자유당 간부인 간첩 김정제가 검거되었다.
- 8월 26일: 주한 영국군이 철수하였다.
- 8월 31일: 말레이시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 9월 1일: 이승만 대통령의 양자인 이강석 행세를 하던 강성병이 경찰에 검거되었다(가짜 이강석 사건).
- 9월 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한국의 유엔 가입안을 부결하였다.
- 9월 15일: 주한미군방송(AFKN) TV 방송개시.
- 9월 18일: 베트남 공화국의 대통령인 응오딘지엠이 한국을 방문하였다.
- 9월 21일: 태국에서 사릿 타나랏 장군이 군사쿠데타를 일으켜 송크람 총리를 몰아냈다.
- 10월 4일: 소련이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다. 우주 시대의 개막을 알린 사건이었다.
- 10월 9일: 한글학회가 30년 만에 <우리말 큰사전>을 완간했다.
- 10월 16일: 사우디아라비아의 명문 축구 클럽 알 힐랄 FC가 창단되었다.
- 11월 3일: 소련이 스푸트니크 2호를 발사했다. 스푸트니크 2호에 탑승한 개 라이카는 지구권 생명체 중 처음으로 우주로 진출하는 영예를 안았으나, 결국 우주에서 사망한 동물 1호가 되었다.
- 11월 9일: 덕길호/해용호 납북 사건이 발생하였다.
- 11월 18일: 국제적십자사는 납북 생존인사 337명의 명단을 통고하였다.
- 12월 5일
- 서울대 문리대 학생 동인지 <우리의 구상>에 발표된 논문 <무산대중을 위한 체제로 지향>이 문제가 되어 저자인 류근일이 국보법 위반으로 구속되었다(류근일 필화 사건). 이후 그는 무죄로 풀려났으나 학교에서 제적당했다.
- 국회는 동성동본과 8촌 내 인척의 결혼 금지안을 채택하였다.
- 12월 20일: 보잉사의 베스트셀러 제트여객기 'Boeing 707'이 첫 비행에 성공했다.
- 12월 31일: 한국과 일본 양국은 재한 제산권 철회 및 억류자 상호 석방 등의 각서에 조인하여 4차 본회의를 재개키로 합의하였다.
2.2. 가상
- 건스백에서 뉴욕 조약에 의해 (아직 망하지 않은) 국제연맹 회비가 영구화되고, 각국에 세계과학위원회의 예측에 따를 의무가 부가되었다. 그리고 국제연맹의 상비군으로 연맹평화유지군이 창설되었다. - 겁스 무한세계
- 알베르트 슈페어가 설계한 베를린 전승대로가 완공되었다. - 당신들의 조국
- 레프트 4 데드에서 빌이 언급하는 그린 플루 좀비 사태가 이 년도에 처음으로 발생했다.
- 강철의 왈츠 본 스토리의 시작년도.
3. 탄생
3.1. 실제
3.1.1. 1월
- 1월 3일 - 최진희: 대한민국의 가수
- 1월 11일 - 브라이언 롭슨: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 1월 23일 - 카롤린 그리말디: 모나코의 공녀
- 1월 25일 - 박영옥: 한국의 스포츠인
- 1월 26일 - 딥 로이: 케냐 출신의 배우이다.
3.1.2. 2월
- 2월 1일 - 배일호: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 2월 4일 - 이시바 시게루: 일본의 정치인
- 2월 12일 - 강금실: 前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 2월 19일 - 레이 윈스턴: 영국의 배우
- 2월 21일 - 차성수: 대한민국의 정치인
- 2월 24일 - 임은정: 대한민국의 성우
- 2월 27일 - 티모시 스폴: 영국의 배우
- 2월 28일 - 존 터투로: 미국의 배우
3.1.3. 3월
- 3월 3일 - 노사연: 대한민국의 가수
- 3월 6일 - 정두언(~2019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3월 8일 - 호리에 미츠코: 일본의 애니메이션 음악 전문 가수
- 3월 10일
- 3월 23일 - 감사용: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3월 26일 - 전기병: 대한민국의 성우
- 3월 29일 - 크리스토퍼 램버트: 프랑스의 배우
3.1.4. 4월
- 4월 5일 - 인순이: 대한민국의 가수
- 4월 6일 - 온보현(~1995년): 한국의 범죄자.
- 4월 7일
- 4월 15일 - 황교안: 대한민국의 제 45대 국무총리
- 4월 19일 - 이시하라 노부테루: 일본의 정치인
- 4월 29일 - 다니엘 데이 루이스: 영국의 배우
3.1.5. 5월
- 5월 5일 - 리처드 E. 그랜트: 영국의 배우
- 5월 10일 - 시드 비셔스(~1979년): 밴드 섹스 피스톨즈의 베이시스트
- 5월 19일 - 유퉁: 대한민국의 배우
- 5월 20일 - 노다 요시히코: 일본의 95대 총리
- 5월 25일 - 이나미: 대한민국의 성우
3.1.6. 6월
3.1.7. 7월
- 7월 3일 - 김정애: 대한민국의 성우
- 7월 12일 - 릭 더글라스 허즈번드(~2003년): 미국의 우주비행사, STS-107 임무의 지휘관
- 7월 21일 - 존 로비츠: 미국의 배우
- 7월 22일 - 와타나베 타카시: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 7월 23일 - 한인숙: 대한민국의 성우
- 7월 29일 - 기시다 후미오: 일본의 정치인
- 7월 30일
3.1.8. 8월
- 8월 6일 - 정경애(~1997년): 대한민국의 성우
- 8월 11일 - 손 마사요시: 일본의 기업가
- 8월 18일 - 최병상(~2008년): 대한민국의 성우이자 배우 최성재의 아버지
- 8월 20일 - 이명세: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8월 21일 - 카메가키 하지메: 일본의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 8월 22일 - 고다 호즈미: 일본의 성우
- 8월 24일 - 이와야 다케시: 일본의 정치인
- 8월 26일 - 난바 케이이치: 일본의 성우
- 8월 31일 - 김상범: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3.1.9. 9월
- 9월 5일 - 조송래: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초대 중앙소방본부장
- 9월 8일 - 이소자키 요시히코: 일본의 정치인
- 9월 11일 - 프레벤 엘케어 라르센: 덴마크의 축구 선수
- 9월 12일 - 토다 케이코: 일본의 성우
- 9월 25일 - 임선근(~2006년): 대한민국의 前 바둑 기사
- 9월 26일 -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독일의 축구 선수
3.1.10. 10월
- 10월 1일
- 10월 4일 - 김창준: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10월 6일 - 브루스 그로벨라: 짐바브웨의 축구 선수
- 10월 8일 - 안토니오 카브리니: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 10월 9일
- 10월 10일 - 타카하시 루미코: 일본의 만화가
- 10월 14일 - 나카타니 겐: 일본의 정치인
- 10월 19일 - 김선화: 대한민국의 배우
- 10월 21일 - 노동일: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시사평론가
- 10월 27일 - 글렌 호들: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 10월 29일 - 댄 카스텔라네타: 호머 심슨으로 유명한 미국의 성우
3.1.11. 11월
3.1.12. 12월
- 12월 7일
- 12월 8일 - 장미희: 대한민국의 배우
- 12월 10일 - 마이클 클라크 덩컨(~1985년): 미국의 배우
- 12월 12일 - 반도 나오키: 일본의 성우
- 12월 13일 - 조엘 그린블랫: 미국의 펀드매니저
- 12월 15일 - 쵸: 일본의 성우
- 12월 17일 - 나츠메 마사코(~2012년): 일본의 배우
- 12월 19일
- 12월 24일 - 하미드 카르자이: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 12월 28일 - 키가미 요시지(~2019년): 일본의 애니메이터, 연출가
3.1.13. 일자 불명
- 너훈아: 한국의 모창가수, 본명 김갑순.
- 장봉화: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희생자. 당시 성동여자실업고등학교 2학년으로, 광복절 행사에 합창단원으로 참가했다가 변을 당했다.
- 차원천: 롯데컬처웍스 대표
- 이규홍: LG그룹의 기업인
- 에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그리스의 대통령
- 와타나베 하지메: 일본의 애니메이터
3.2. 가상
- 2월 20일: 제프리 맥와일드 -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
- 4월 8일: 킹 - 용호의 권 시리즈[2]
- 4월 9일: 후유츠키 코조 - 신세기 에반게리온
- 5월 14일: 우오즈미 지로 - 춤추는 대수사선
- 8월 2일: 료 사카자키 - 용호의 권 시리즈[3]
- 8월 8일: 샘 피셔 - 스플린터 셀
- 12월 12일: 토우카 - 라이크 라이프[4]
- 12월 25일: 로버트 가르시아 - 용호의 권 시리즈[5]
4. 사망
4.1. 실제
- 1월 14일 - 험프리 보거트: 미국의 영화배우
- 1월 15일 - 지청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군인
- 1월 16일 -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이탈리아의 지휘자
- 1월 18일 - 알바로 헤스티도: 우루과이의 전 축구선수
- 1월 25일 - 고바야시 이치조: 한큐한신토호그룹 및 다카라즈카 가극단 설립자
- 2월 18일 - 존 폰 노이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미국인 수학자
- 2월 20일 - 호르헤 사르미엔토: 페루의 축구선수
- 3월 16일 - 콘스탄틴 브랑쿠시: 루마니아의 조각가
- 3월 17일 - 라몬 막사이사이: 필리핀의 7대 대통령
- 4월 30일 - 우가키 가즈시게: 일본의 군인, 정치인, 제7대 조선총독.
- 5월 2일 - 조지프 매카시: 미국의 정치인
- 6월 16일 - 노천명: 대한민국의 시인, 친일반민족행위자
- 7월 11일 - 발터 나우슈: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감독
- 9월 19일 - 사사키 야소하치: 일본의 패션업체 '레나운'의 창업주
- 10월 5일 - 호세 레안드로 안드라데: 우루과이의 전 축구선수
- 11월 24일 - 디에고 리베라: 멕시코의 화가
- 12월 16일 - 호세 네인: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선수
- 12월 24일 - 오카와 슈메이: 일본의 극우 사상가
- 일자 불명
4.2. 가상
5. 데뷔
5.1. 가수
- 권혜경
- 박재란
- 백야성
5.2. 만화계
- 시라토 산페이
- 이종진
5.3. 스포츠
6. 히트작
- 영화
- 잃어버린 청춘
- 가요
- 김정애 - 아낙네 맘보
- 권혜경 - 산장의 여인
- 윤일로 - 기타부기
- 베스트셀러
- 생명 - 김말봉 저.
7. 달력
[1] 당시 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6개 구.[2] 용호의 권 시리즈 한정으로.[3] 용호의 권 시리즈 한정으로.[4] 정확히는 설치 날짜.[5] 용호의 권 시리즈 한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