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계 전동차

 

  • 203계 전동차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image]
[image]
JR 히가시니혼 츄오 쾌속선용 10량 분할편성 출처
JR 히가시니혼 오메/이츠카이치선용 201계
[image]
[image]
JR 니시니혼 야마토지선,간사이 본선용 201계
JR 니시니혼 오사카 순환선용 201계

'''201계, 사랑받은 30년(201系、愛されて30年)'''[1]

1. 사양
2. 개요
3. 혁신과 의의, 국철의 실패
4. 고마웠어요, 그리고 안녕 201계
5. 하지만...
6. 도색과 형식, 그 외
7. 203계 전동차
8. 관련 문서


1. 사양


열차 형식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급전 방식
직류 1500V
영업 속도
100km/h
최고 속도
110km/h
기동 가속도
2.3km/s(2M2T, 4M4T)
2.5km/s(6M4T)
2.8km/s(4M2T)
신호 방식
ATS-P , ATS-SW , ATS-SN, ATS-B, ATS-S
제작 회사
도큐차량제조(현 주식회사종합차량제작소), 니혼샤료,
가와사키중공업, 긴키차량, 히타치제작소
도입 연도
1979년~1983년[2]
제어 방식
사이리스터 쵸퍼제어, 약계자제어
동력 장치
직류직권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자직통 공기제동'''[3]
편성 대수
부속편성 및 단편성 : 4량
기본편성 및 서일본 일부 선구 : 6량
게이한신 완행선 : 7량
오사카 환상선 : 8량
완편성 : 10량 또는 6+4량
전동차 비
4량 편성 : 2M 2T, 6량 편성 : 4M 2T, 7량 편성 : 4M 3T
8량 편성 : 4M 4T, 10량 편성 : 6M 4T
운행 노선('''과거''')
JR 동일본 : 츄오 쾌속선, 오메선, 이츠카이치선, 츄오-소부선, 케이요선, 소토보선/토가네선, 무사시노선, 요코하마선, 하치코선, 후지급행선
JR 서일본 : JR 교토선, JR 고베선, 오사카 순환선, 사쿠라지마선
운행 노선('''현재''')
JR 동일본 : 없음
JR 서일본 : 간사이 본선(야마토지선), 와카야마선[4], 오사카 히가시선
소속
JR 니시니혼 스이타 종합 차량소 모리노미야 지소 (16편성 128량), 스이타 종합 차량소 나라 지소 (16편성 96량)
참고 : 현재 야마토지선, 오사카 순환선의 201계는 국철 시절에 게이한신 완행선에 투입되었던 7량 32편성이 무동력차 조성 변경을 통해 6량 16편성과 8량 16편성으로 바뀐것이고 동일본에서는 서일본에 201계를 보낸 적이 없다. 오사카 순환선의 201계 일부는 동일본의 츄오 쾌속선 이적분이라고 아는 사람들도 있는데 절대로 아니다.[5] 알아두자.

2. 개요


신칸센에 재미들려 전 재산을 쏟아붓기 시작한 이후 제대로 막장테크를 타기 시작한 국철은 그동안 잘 써먹고 있던 103계 전동차의 무지막지한 전기 소모량에 또 한번 놀란 나머지 훨씬 에너지를 적게 소모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런데 에너지 문제는 국철 최초의 제대로 된 고성능 통근형 전동차인 101계 전동차에서 한번 일어난 적이 있었다. 이때에는 통근용 전동차 하나 제대로 굴리지 못할 정도로 당시 일본의 급전 사정이 열악했던 것이 주된 원인이었다. 그래서 열악한 급전 사정에 맞게끔 101계를 전기 좀 덜먹게 개량해서[6] 103계를 개발해서 굴리니, 슬슬 전후 쇼크도 끝나가고 이젠 좀 먹고살만해 졌다 싶으니까 103계도 전기를 너무 많이 먹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거기에 오일 쇼크까지 터지면서 전기를 적게 소모하는 차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101계나 103계가 만들어지던 당시에는 기술적으로나 재정적으로나 일반화되어있는 저항제어를 채용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긴 했지만, 이 저항제어라는 물건 자체가 전기낭비의 갑이었기 때문에 상당히 비효율적인 방식이었다. 그래서 전기먹는 괴물인 전동차를 최대한 저비용으로 운용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결과물로 이 시기 전동차들은 대부분 쵸퍼제어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기술적 연구를 시작하거나 실용화 직전 단계에까지 이른 상황이었다. 그래서 그 당시 어려운 경영상태였던 국철이었지만,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말에 혹해서 이 새로운 차량에 흥미를 보이게 됐고 당시로써는 신기술을 잔뜩 적용한 이 신형 전동차에 상당한 투자를 했고, 그래서 국철 차량으로써는 '''최초로(!)''' 사이리스터 쵸퍼제어를 채용했으며, 회생제동을 장비하여 감속시 버려지는 전력을 긁어모아 다른 전동차의 가속에 활용할 수 있게끔 설계되어 덕분에 103계의 전력 낭비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런 덕분에 등장 당시에는 "에너지 절약형 전동차" 라는컨셉을 잘 살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고 다른 철도 회사, 혹은 관련 분야의 많은 기대를 받았던 전동차였다.

3. 혁신과 의의, 국철의 실패


'''그런데 이걸로 성공하면 절대 국철이 아니다.'''
이미 도카이도 신칸센에 재미들려 전국 곳곳에 신칸센 건설을 시작했더니 빚더미에 올라앉은 것처럼, 국철이라는 회사는 뭐 하나 잘 해놓으면 어디선가 또 다른 곳에서 문제가 터져나오던 회사인지라 후계차인 205계 전동차에서 쵸퍼제어보다 이전 세대의 기술인 저항제어를 쵸퍼제어와 접목, 절충시킨 계자쵸퍼제어를 채용, '''201계에 비해 훨씬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데에 성공'''하여 끝내 이 캐치프레이즈는 그 의미가 무색하게 되었다. 거기다가 제조 단가가 상당히 비쌌는데, 제어기기인 사이리스터 쵸퍼제어의 '''비용이 만만치 않은지라''' 이미 막장일로를 달리고 있던 국철의 재정 능력으로는 웬만한 통근권역에 돌아다니던 103계를 모두 대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나 마찬가지였기에 결국 츄오 쾌속선, 츄오-소부 완행선, 케이한신 완행선의 3선구에만 도합 1018량의 차량을 투입하는 데에 그치고 말았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201계 자체는 조기에 단종되고 JR 히가시니혼에서는 103계나 205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기에 퇴출당하는 비운을 맞이했지만, 국철 최초로 평천장과 좌석 단부의 가리개를 도입했으며, 라인데리어와 일본 최초로 슬림한 에어컨 루버도 갖춘 지금봐도 나쁘지 않은 혁신적인 인테리어는 1980년대 초반 당시로는 워낙 파격적이었기에, 파생형식인 203계, 후속인 205계와, 근교형 전동차인 211계, VVVF 시제차인 207계 900번대 까지 큰 수정없이 그대로 인계되고, 심지어 한국의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나, 서울메트로 4000호대,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에도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물론 내장재 개조 이전이며, 내장재 개조를 한 이후에는 많이 바뀌어서 201계 인테리어 디자인의 흔적은 많이 줄어들었긴 했지만,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에는 여전히 그 모양이 남아있다.

4. 고마웠어요, 그리고 안녕 201계


'''사랑받아온 30년, 그리고 "사요나라"[7] 라는 인사말이 전혀 아깝지 않을만 하다.'''
국철 분할 이후 모든 차량이 각각 JR 동일본JR 서일본에 분할 계승되었는데, 이 중 794량은 동일본에, 224량은 서일본에 그 소유권이 계승되었다.
심심하면 신차를 사들이고 조금이라도 차가 뒤떨어진다 싶으면 폐차하는 걸 서슴지 않는 동일본은 이 고물차에 큰 미련이 없었는지 2006년 말 부터 한두 대씩 운용에서 빼서 폐차 수순을 밟더니, 1년만에 대부분의 차량이 폐차되면서 츄오선에 마지막 2편성이 남게되었다. 근데 왜 이 2편성을 남겨두었을까? 굳이 폐차하지 않고 말이다. 그 이유는 미타카 - 타치카와 간의 연속 입체화 공사(고가화 공사)때문에 구내(構内)에 회차선이 있는 무사시코가네이에서의 회차가 불가능하게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역에서 차량을 회차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예비 차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2편성(H4, H7편성)이 남게된 것이다. 이 2편성은 연속 입체화 공사가 끝난 2009년 가을에 바로 폐차할 예정이었으나, 그로부터 약 1년 뒤인 2010년에 마지막 운행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 운행은 2010년 10월 17일, H7 편성이 토요타 마츠모토착 임시열차 운행을 끝으로 츄오선에서 마지막 운행을 끝냈다. '''츄오선 하면 오렌지색의 201계, 201계 하면 츄오선'''의 이미지가 너무 강했던 만큼 그 아쉬움도 대단했다. 종착역인 마츠모토역에 도착한 후 201계 회송되는 동영상의 끝부분에서 '''사요나라'''를 외치며 손을 흔드는 모습에서 느껴지는 감동은 말로는 설명하기가 어려우니 동영상을 직접 보면서 느껴보자. 목차 위에 있는, '''"201계, 사랑받은 30년"''' 이라는 말이 전혀 아깝지 않을 것이다.
사요나라 201계(H7편성) 토요다역 발차
사요나라 201계(H7편성) 마츠모토역 발차
그리고 2011년 6월 케이요선 54편성을 끝으로 동일본에서의 모든 201계를 절멸시켜 버렸다. 같은 국철 차량이면서도 201계나 205계에 비해 내세울 것이 별로 없는데도 불구하고 장수만세를 달리고 있는 103계 전동차의 선례를 봐서는 더 오래 쓸 수도 있었을 차량이었지만 201계는 103계와 달리 다소 복잡한 전력 반도체인 사이리스터 소자를 사용하는 쵸퍼제어 방식이고 저항제어에 비하면 고도의 정비기술이 필요한 것을 넘어서 사이리스터 소자가 단종되어 구하기 어려워지면 말짱 도루묵이 되어버린다.[8]

5. 하지만...


이런 가슴 찡한 이야기가 이어지는 JR 동일본과는 달리, JR 서일본에서는 민영화 당시 배분된 224량 전량이 '''여전히 현역으로써 천수를 누리고 있었다.''' 심지어 더 오래 써먹기 위한 체질개선 공사(대수선 공사)까지 받아가면서 아주 잘 굴러다니고 있는 중이다. 만약 간사이권을 여행하는 도중 2단으로 분할된 통유리의 201계를 보게 된다면, 그건 틀림없이 N40 체질개선 공사를 받은 차량이다. 허나 이러한 공사를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최고속도가 110km/h 정도로, 차량의 기본적인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속 성능이 요구되는 케이한신 완행선에서는 고성능 차량인 321계 전동차가 투입되기 시작한 이후 완전히 운용을 종료했고, 지선격의 노선이나 B급(...) 간선으로 옮겨가서 오늘도 열심히 달리고 있다. 다만 수도권 통근 노선을 10량으로 달려주던 그때에 비해서는 포스가 잘 느껴지지 않는다.
국철 최초의 신기술 도입 차량으로써 큰 의의를 가지고 있고, 또 다른 면으로 보면 등장 당시에는 극찬을 받았지만 일부에서 제기한 어정쩡한 평가를 받게 된 차량이기도 하다. 하지만 약 30여년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운용된 만큼 그때 그 시절 일본인들의 출퇴근길을 함께해 주던, 그리고 '''일본 최고의 열차 투입 밀도'''를 자랑하는 '''츄오 쾌속선'''[9]을 상징하는 하나의 '''마스코트이자 플래그쉽'''이었고, '''삶의 든든한 동반자'''이기도 했다. 그리고 이제는 츄오 쾌속선이 아니라 저 멀리 오사카 환상선에서 얼굴마담 시즌 투를 찍고 있었으나(...)[10] 323계 라는 3도어 차량[11]이 도입되어 2019년 6월 7일 부로 오사카 환상선에서도 은퇴하게 되었고, 전량 야마토지선, 오사카히가시선, 나라선에서 제2의 생을 살게 되었다.
하지만 JR 교토선, JR 고베선225계의 추가투입이 결정되면서 잉여차량이 되는 221계를 201계 숙청용으로 그쪽으로 보낼예정이라고...

2019년 6월 7일, 사쿠라지마선-오사카 순환선 직통 운행 후 쿄바시역에 종착하고 스이타차량소 모리노미야지소에 입고하는 201계 L89편성.

'''さようなら、大阪環状線201系'''

'''안녕, 오사카 순환선 201계.'''


6. 도색과 형식, 그 외


도색은 일반적으로 국철 말기도색이라고 일컫는 단색 떡칠도장을 하고 있는데, 이는 동일본이나 서일본을 가리지 않고 공통적으로 구형 통근차량에칠해지는 도장이다. 예를 들자면 현재 201계가 현역으로 뛰고 있는 서일본의 오사카 환상선 차량과 전폐된 동일본의 츄오 쾌속선 같은 차량이 오렌지 버밀리언(オレンジバーミリオン) 즉, 주황색 도색이 된 채로, 지금은 운용에서 물러난 게이한신 완행선용 차량과 전폐된 케이요선 차량이 같은 스카이블루 도색이 된 채로 운용되었었다. 단, 예외도 몇 경우 존재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간사이 본선에 투입되는 201계는 우구이스(うぐいす)색 이라 불리는 연두색+흰색 띠의 조합으로 도색되어 있다. 이 외에도 오사카 환상선의 USJ 특별도색이 있는데, 아예 USJ와 관련된 랩핑 도장으로 되어 있다.
꽤 많은 수의 차량이 양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접수번대 구분은 없고 대신 지역 및 선구별로 열차 조성 형태가 다르다.

7. 203계 전동차


[image]
조반완행선치요다선에 직결 투입되고 있었던 103계 1000번대를 교체 투입하기 위해 201계를 베이스로 지하철 입선 설계된 파생형 전동차, 현재는 E233계 2000번대 차량으로 전부 대차되었고 혹은 소수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로 팔려나갔다.[12] 필리핀에 양도된 203계는 지금 현재 객차로(...)활동중이다...

해체되는 203계 전동차.


8. 관련 문서



[1] 폐차되기 전까지 츄오 쾌속선 H4편성과 H7편성에 붙어있던 스티커의 문구다.[2] 양산차는 81년부터 도입되었다.[3] 오늘날 거의 대부분의 차량들이 활용하고 있는 전기지령식 공기제동과는 다른 것이다. 응답성이 낮은 기존의 공기식 직통제동(관통제동)에 전기식 설비를 추가하여 응답성을 높인 것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알고 보면 그 기술적 토대가 매우 단순한 물건이다.[4] 오지역~타카다역 사이[5] 이거 은근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6] 101계가 전기를 덜 먹게 8M2T로 조정했다가 성능 저하때문에 대차게 망했다.[7] 'さようなら'는 일반적으로 쓰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다시는 볼 수 없는 안녕', 즉, '''작별인사''' 이라는 의미에 가깝다.[8] 마찬가지로 서울교통공사의 1호선 저항차나 2~3호선 초퍼차들도 도입시기는 크게 차이 없으나, 소자 단종으로 인한 부품 수급 문제 때문에 초퍼차들이 먼저 전멸하게 생겼다...[9] 그 수준이 도카이도 신칸센과 맞먹는다. 첨두시간대에는 거의 2~3분 간격으로 차가 한대씩 들어오는데다 이런 와중에도 30분에 한대씩 특급열차를 우겨넣기도 한다. 그리고 쓸데없이 종별 분리도 많은데 더 큰 문제는 이런 짓을 모두 열차를 조밀하게 집어 넣을 수 '''없는''' ATS 환경에서 하고 있다는 것이다. 흠좀무(...)[10] 동시에 한 편성은 USJ 해리포터 풀랩핑을 하고 있었다.[11] 이미 103계 대체분으로 여러 대가 도입되었다.[12] 사할린이나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 일본과 같이 1067mm 케이프 궤간을 쓰는 나라로 팔려간 일본산 중고 열차들이 꽤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로 팔려간 열차들의 경우 베트남이나 중앙아시아 방면으로 팔려나간 한국산 중고 차량에 달려있는 한글들, 특히 시내버스 출신 차량의 경우 한국에서 쓰던 행선지를 떼지 않고 그대로 붙이고 다니는 것처럼 일본에서 쓰던 행선지를 그대로 붙이고 다니고 있는 것이 포인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