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1

 




[image]
독일철도 401형
DBAG Baureihe 401
열차 형식
고속열차
구동 방식
전기 '''동력집중식''' 열차
제작 회사
지멘스
디자인 회사
N+P industrial Design
도입 연도
1989년 ~ 1993년
재수선
2005년 ~ 2008년
궤간
1,435 mm 표준궤
차륜 배치
Bo′Bo′+2′2′+2′2′ ~ 2′2′+2′2′+Bo′Bo′
영업 속도
280 km/h
최고 속도
310 km/h
최대 출력
GTO 9,600kW(12,900마력)
IGBT 7,600kW (10,200마력)
신호 방식
PZB90, Sifa, LZB
급전 방식
15 kV, 16.7 Hz AC
제어 방식
VVVF제어
동력 장치
교류 유도전동기
편성 대수
동력차 2대, 객차 12대
[clearfix]
1. 개요
2. 특징
2.1. 동력차
2.2. 무동력차
2.3. 이름
3. 사고
4. 해외 진출
5. 기타


1. 개요


독일의 첫 번째 고속철도 차량으로 모든 차량이 함부르크에 배속되어 있으며 총 60편성이 도입되었다.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도입했고, 에세데 사고로 완파된 51편성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은 2005년부터 2008년 사이에 대수선을 거쳐 생명이 연장되었다. 대수선 과정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동공중전화나 회의실 컴파트먼트 등을 철거하고 인테리어를 바꾸었다.
차세대 모델인 ICE 4가 도입되는 2020년 이후까지 본선 영업에 투입할 예정이고 모든 차량이 ICE 4로 대체되면 퇴역할 예정이다.

2. 특징


TGV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전후에 동력차를 두고 가운데에는 무동력 트레일러를 편성하는 동력집중식 차량이다.
동력집중식 차량답게 중간의 객차를 자유롭게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다. 게다가 TGV, KTX 등과 달리 연접대차를 사용하지 않아 객차 분리가 훨씬 수월하다. 객차를 8량에서 14량까지 끼울 수 있는데, 영업운전에서는 무동력 객차를 12량 편성하여 운행한다.

2.1. 동력차


양 끝단의 동력차는 401형(Baureihe 401). 크라우스-마파이[1], 크루프, 헨셸, AEG, ABB, 지멘스에서 제작했다. 동력차는 두 종류로, GTO 소자를 장착한 것과 IGBT 소자를 장착한 것이 있다. GTO 쪽이 출력은 더 높고 무게는 더 가벼우며 유로스프린터보다는 소리가 작지만 이쪽도 지멘스 옥타브를 가지고 있다. 견인력과 최고속력은 GTO와 IGBT 모두 동일하다.
스위스 입선용 차량에는 동력차에 보조 팬터그래프가 달려 있다. 스위스, 오스트리아 외의 다른 지역은 전류도 대응하지 않고 차량한계를 한참 넘어서 입선이 불가능하며, 그래서 ICE 3ICE T가 다닌다.
모양이 비슷한 ICE 2의 무동력차와 호환된다. 영업운전도 하는지는 불명. ICE 1 무동력차에 연결해서 사용할 목적으로 ICE 2 동력차를 한 편성 반입한 적은 있다.

2.2. 무동력차


편성 내의 차량 번호가 일정치 않다. 마치 90년대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영하던 전동차의 차량번호를 보는 듯하다.
1등석은 801, 2등석은 802, 휠체어 대응 2등석은 803, 식당차는 804형이다. 좌석은 등급과 서비스 시설 유무에 따라 40~70석 정도. 좌석 리클라이닝 각도는 40도까지 나온다고 한다. 제작사는 링케-호프만-부쉬, 메서슈미트-볼코프-볼름, DÜWAG, 그리고 Waggon Union. 모두 지금은 망했다. LHB는 알스톰에, MWB는 EADS에, DÜWAG은 지멘스에, Waggon Union은 봄바르디어에 인수되었다. 상기했듯이 무동력차는 ICE 2와 호환된다. 휠체어 대응 2등석은 출입문 너비가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을 만큼 넓은 것으로 구분되고, 식당차는 차량 높이가 2등차나 1등차보다 조금 높게 볼록 튀어나와 있어서 구분된다. 불룩 튀어나온 식당차는 ICE 시리즈 중에는 ICE 1이 유일하다.

2.3. 이름


편성별로 이름이 붙여져 있다. 루프트한자가 자기네 기재에 이름을 지어 주는 것과 비슷하다.
  • 01편성: 기센 (헤센)
  • 02편성: 플렌스부르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04편성: 뮐도르프 암 인 (바이에른)
  • 05편성: 오펜바흐 암 마인 (헤센)
  • 06편성: 이체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07편성: 플라틀링 (바이에른)
  • 08편성: 리히텐펠스
  • 09편성: 아샤펜베르크 (바이에른)
  • 10편성: 겔젠키르헨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11편성: 뉘른베르크 (바이에른)
  • 12편성: 메밍겐 (바이에른)
  • 13편성: 프랑켄탈/팔츠 (라인란트-팔츠)
  • 14편성: 프리드리히스하펜 (바덴-뷔르템베르크)
  • 15편성: 레겐스부르크 (바이에른)
  • 16편성: 포르츠하임 (바덴-뷔르템베르크)
  • 17편성: 호프 (바이에른)
  • 19편성: 오스나브뤼크 (니더작센)
  • 20편성: 뤼네부르크 (니더작센)
  •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에세데 사고로 폐지
  • 52편성: 하나우 (헤센)
  • 53편성: 노이뮌스터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54편성: 헤펜하임/베르크슈트라세 (헤센)
  • 55편성: 로젠하임 (바이에른)
  • 56편성: 프라일라싱 (바이에른)
  • 57편성: 란즈후트 (바이에른)
  • 58편성: 귀터스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59편성: 바트 올데스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60편성: 뮐하임 안 데어 루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61편성: 베브라 (헤센)
  • 62편성: 가이센하임/라인가우 (헤센)
  • 67편성: 가르미쉬-파르텐키르헨 (바이에른)
  • 68편성: 크라일스하임 (바덴-뷔르템베르크)
  • 69편성: 보름스 (라인란트-팔츠)
  • 73편성: 티멘도르퍼 슈트란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74편성: 취리히 (스위스 취리히)
  • 76편성: 브레멘 (브레멘)
  • 77편성: 바젤 (스위스 바젤슈타트)
  • 78편성: 브레머하벤 (브레멘)
  • 80편성: 카스트로프-록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84편성: 부르흐살 (바덴-뷔르템베르크)
  • 85편성: 힐데스하임 (니더작센)
  • 87편성: 풀다 (헤센)
  • 88편성: 뤼데스하임 암 라인 (헤센)
  • 90편성: 루트비히스하펜 암 라인 (라인란트-팔츠)

3. 사고


생각보다 사고 경력이 화려한데, 대표적으로 고속주행 시 떨림이 너무 심해서 그걸 잡아보겠다고 안정성도 검증되지 않은 이중차륜을 쓰다가 외피가 벗겨져서 사상 최악의 고속철도 사고가 났다. 이 외에도 주박차에 불이 난다거나 하는 자잘한 사고도 몇 건 있었다.

4. 해외 진출


  • 대한민국KTX 사업에도 참여를 한 적이 있으나, TGV 같은 파격 지원이 없어 떨어졌다. 결국 ICE는 에세데 사고 문제도 있고 해서 ICE 3가 나올 때까지 해외 진출에 실패한다.

5. 기타


ICE 1 편성은 식당차가 조금 독특한 편인데, 넑고 쾌적한 느낌을 내기 위해서 다른 객차들보다 천장 높이가 45 cm 더 높고 상부에 채광창이 설치되어 있다. ICE 2부터는 여타 객차들과 동일한 외형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ICE 1 편성만의 특징으로 남게 되었다.
  • 메르클린에서 HO 스케일로 철도 모형화 되었다. #
  • 플라이쉬만(Fleischmann)에서 N 스케일로 철도 모형화 되었다. #

[1] 방산업체를 겸했으며 레오파르트1 탱크가 이 회사의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