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134

 



[image]
[image]
위/ Tupolev Tu-134 아에로플로트
아래/ Tupolev Tu-134B-3 고려항공
[image]
Tupolev Tu-134A-3 크러스티 칵핏
1. 개요
2. 'Tu-134'의 각 형식
3. 제원
4. 현재 보유 항공사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7. 참고 링크


1. 개요


Tupolev Tu-134
Ту(Туполев)-134
투폴레프 Tu-134
소련의 투폴레프 설계국이 개발한 단거리 제트 여객기. 나토 코드명은 '크러스티(Crusty)'.
1960년, 프랑스를 방문한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이 'SE210 카라벨' 여객기를 타보고 감명받아[1] "우왕ㅋ굳ㅋ 우리도 이런 거 함 만들어보자 ㅋ" 라고 해서 Tu-124 베이스엔진을 동체 후방으로 이동시킨 모델.
1963년 7월 29일, 초도비행에 성공한다. 그러나 동년 10월 22일, 비슷한 기체구조를 가진 영국의 'BAC 1-11' 여객기가 이륙직후 실속에 빠지면서 추락[2], 탑승객 전원 사망한 사고가 일어났고 같은 날 'Tu-134 프로토타입'이 같은 원인으로 추락하면서 투폴레프는 후속기들의 꼬리날개 크기를 30% 더 키우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1979년 우크라이나의 드니프로제르진시크 상공에서 Tu-134와 Tu-134AK기 두 기체가 공중충돌되면서, 양쪽 178명 전원이 사망했다.[3]다큐멘터리
1963년 11월 20일, 공식적으로 'Tu-134'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4]
1967년 9월 민간 항공사에 공개되어 1984년까지 총 852대가 생산되었고 그중 1/4은 하늘을 누비고 있었다. 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로 인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에서 2012년까지 전량 퇴역을 요구하였으나 한동안 계속 운용되다가 결국 2019년 5월 22일을 기점으로 러시아에서는 모든 여객서비스를 종료하였다. 그러나 아직 쓰고 있는 곳이 있으니 바로 북한[5]
험하게 굴리는 데는 제격인 기체이다. 엔진이 동체 후방에 높게 위치해 'FOD[6]'가 일어날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고 저압 타이어의 채택으로 비포장 활주로에서도 무리없이 굴릴 수 있다.[7]

2. 'Tu-134'의 각 형식


  • Tu-134 : 초도양산형, 64인승 기체로 후기형은 72인승으로 늘어난다.
  • Tu-134A : 개량형, 엔진과 에비오닉스를 개량하고 84인승으로 늘어난다. 기수의 항법창과 하단 턱 부분에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 Tu-134A-2 : 기수 항법창을 교체한 모델.
  • Tu-134A-3 : 엔진을 개량한 모델.
  • Tu-134A-5 : 최후기 버전.
  • Tu-134B : 기수 하단의 레이더를 기수 노즈콘으로 이동시키고 항법석을 제거한 모델. 80인승 기체로 일부는 기체하부에 추가 연료탱크를 증설하여 항속거리를 늘렸다.
  • Tu-134LK : 우주조종사 조종 훈련기.
  • Tu-134BSh : 항법 실습기. Tu-22M의 레이더를 기수에 장비한다.
  • Tu-134SKh : 지상 측량용 기체.

3. 제원


(Tu-134A 기준)
운항 승무원
3~4명
탑승객
72~84명
페이로드
8,200kg (18,075파운드)
전장
37.10m (121피트 8인치)
전폭
29m (95피트 1인치)
높이
9.02m (29피트 6인치)
익면적
127.3제곱미터 (1,370.24제곱피트)
공허중량
27,960kg (61,640파운드)
최대 이륙중량
47,600kg (104,940파운드)
엔진
2x 솔로비예프 D-30-II 터보팬, 기당 추력 14,990파운드 (66.68kN)
동체 지름
2.9m (9피트 6인치)
연료 탑재량
13,200리터 (2,900겔런, 3,500 US겔런)
최대속도
950km/h (485노트, 559mph)
순항속도
850~900km/h (405노트, 466mph)
항속거리
3,200km (1,890nmi, 2,175마일)
실용 상승한도
12,100m (39,040피트)

4. 현재 보유 항공사


  • 고려항공 : Tu-134B-3 2대 보유
  • 시리아 항공 : Tu-134B-3 1대 보유[8]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7. 참고 링크



[1] 카라벨은 당시 유례없는 동체 후방에 엔진을 배치한 구조의 여객기이다. 덕분에 동급 기체들과 비교시 소음이 상당히 적은 편이다.[2] 원인은 디프 실속, deep stall이다. 주날개 뒷전에서 박리된 기류에 꼬리날개가 갇혀 거의 무용지물이 되는 현상으로 꼬리날개가 높은 위치에 있거나 T자인 항공기들의 숙명이다. 날개 밑에 보틸론을 장치함으로 해결이 가능하다.[3] 원인은 항공교통관제의 실수. 당시 소련 1부리그에서 뛰던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의 선수와 스태프 17명이 사망했다. 그 중 소련축구대표까지 활동한 고려인 미하일 안도 포함되어 있었다.[4] 그 이전에는 'Tu-124A'라고 명칭.[5] 시리아 항공도 1대를 쓰기는 하나 정부에서 VIP 전세기로 운영하고 있다.[6] Foreign Object Damage, 지상 표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엔진이 손상되는 사고.[7] 괜히 소형기에 탠덤식 기어를 채택한 게 아니다.[8] 정부 전세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