Ω
1. 개요
그리스 알파벳의 24번째 글자, 즉 마지막 글자이다. 큰 "오"라서 이름에 메가(μεγα)가 붙었다(반대는 Ο(오미크론)). 대문자로 Ω, 소문자로 ω라고 쓴다.[1] 로마자로는 omega라고 표기한다. 바로 앞 순서 문자는 psi이다.
요한 묵시록에서 쓰인[2] 표현인 ''''알파'''요 '''오메가'''다'의 오메가가 이것이다. 뜻은 그리스 문자의 첫번째와 마지막인 알파와 오메가처럼 처음과 끝을 의미한다. 가톨릭 성당과 개신교 예배당 등에서도 ΑΩ가 써진 장식이나 표시를 볼 수 있다. 로마자인 A와 Z를 사용해서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다.
갓 오브 워 표지에서도 크레토스 뒤에 있는데 올림푸스의 신들을 학살하고 세상까지 멸망시킨 크레토스와 참 어울리는 문양이다.
오메가 소문자는 이모티콘에 사용되기도한다. 대표적으로 (≡ω≡.) OωO
디지몬 시리즈의 대명사인 오메가몬의 어원이 된 단어다.
유희왕에도 그리스 문자를 형상화한 바이론 오메가가 있다.
2. 현재에도 그리스 문자로 쓰는 용례
2.1. 수학에서 사용하는 기호
대문자 오메가 $$\Omega$$ 의 경우 특수한 꼴의 지수함수 역함수인 람베르트 W 함수에 1을 대입하면 얻을 수 있는 오메가 상수로 쓰인다.
소문자 $$\omega$$는 삼차 방정식의 허근을 나타내는 용도로 흔히 쓰이는 데, 그중 특별히 $$x^3=1$$의 허근 을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아이젠슈타인 정수 등에서도 등장한다.
참고로 게오르그 칸토어가 절대적 무한(Absolute Infinite, 기호: '''Ω''')과 구분하기 위해 상대적 무한(Relative Infinite, 기호: '''ω''')에 붙인 이름이 바로 초한수(Transfinite number)다.
정수론에서는 소인수 계량 함수의 이름자로 쓰인다.
2.2. 물리에서 사용하는 기호
대문자(Ω)는 저항의 단위 옴이다.
소문자 ω는 보통 각속도를 나타낸다. 단위는 주로 (rad)/s. 각속도에서 개념을 확장하여 각주파수로도 쓰며 푸리에 변환에서 지겹게 보는 문자다.
만일 현대 물리로 넘어간다면, ω는 '오메가 중간자'를 가리킨다.
2.3. 화학에서 사용하는 기호
유기화학에서 불포화 지방산을 분류할 때, 지방쇄의 끝에서부터 몇 번째의 탄소가 이중결합하고 있는지(즉, 불포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영양학적으로는 오메가 3, 오메가 6으로 분류되는 지방산이 중요하게 언급되며 그 외에 오메가 9 지방산 등이 있다.
2.4. 컴퓨터공학에 시간 복잡도
컴퓨터공학에서 시간 복잡도는 흔히 'Big-O 표기법'이라고 부르는 점근 표기법이 사용되는데, 하한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때, $$\Omega()$$와 $$\omega()$$ 가 사용된다.
2.5. 상표
시계. Omega
[1] 소문자의 모양이 w와 비슷한 탓에 대개 수학 등에서 ω라는 개념이 처음 다뤄질 때는 w가 아니라 '오메가'라 읽는다는 것을 강의에서 제시하는 편.[2] 1장 8절, 21장 6절, 22장 13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