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な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4. 모양
5. 한글 표기
6. 쓰임
6.1. 소유격 の
6.2. 종결어미 のだ
6.3. 동사구의 주격 の
6.4. 종조사의 の
7. 한자
7.1. 음독
7.2. 훈독
8. 중국어에서의 사용?
9. 기타


1. 개요


  • 가타카나: ノ (乃의 약자)
  • 히라가나: の (乃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노
  • 라틴 문자 표기: no
  • IPA: no̞ (유성 치경 비음 + 후설 원순 중모음[1])
  • 일본어 통화표: 野原のノ (노하라노 노)
  • 일본어 모스 부호:・・--
な행 お단 글자이다.

2. な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に를 제외한 な행은 유성 치경 비음이며, に는 구개음화되어 치경구개 비음이다. 비음의 특성상 무성음은 없으므로(세계적으로도 드문 편) 탁음을 쓰지 않는다.

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

4. 모양


[image]
[image]
두 글자 모두 乃의 음에서 유래했다. 지금도 가끔 음차의 용법으로 이름 등에 の 대신 乃를 쓸 때가 가끔 있다. (綾乃-あやの)다만 의미를 살려서 쓰는 경우엔 ない나 だい로 읽는다. 내지(乃至;ないし) 등.
히라가나 の는 눈 모양을 닮아서 헤노헤노모헤지에서도 눈 역할을 하고, 아이돌 마스터아마미 하루카도 のヮの와 같은 표정을 지어서 노노와씨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회전하는 모양 같다고 루프 모양을 のの字(노 자)라고 하기도 한다.
가타카나 ノ는 모양이 간단한 가타카나 가운데에서도 가장 모양이 간단한 글자이다. 딱 한 획.
가타카나 ノ와 같은 모양은 한국어 구결에도 쓰였다. 구결에서는 乎를 딴 것인데, '오'나 '호'로 읽는다. 하다 + 선어말어미 '-오-'로 쓰이는 예가 많다.

5. 한글 표기


'노'로 적는다.

6. 쓰임



6.1. 소유격 の


한국어의 '의'와 유사하게 'A의 B' 식으로 AのB라고 쓴다. 한국어에서 '의'를 중복해서 쓰지 않으려는 것과는 달리 일본어에서는 の를 꽤 애용하는 편이다.[2] 이러한 의미의 の는 심지어 한자어에서도 종종 쓰이는데 한자로 쓸 때는 아예 생략하기도 하고(井上-いのうえ) 가타카나 ノ로 쓰기도 한다(三ノ宮-さんのみや). 후자의 예시인 산노미야의 경우 JR은 三ノ宮로 적지만 다른 사철은 三宮로 적는 등 표기가 갈린다. 중간에 덜컥 가나가 나오고 '~의'라는 뜻이라는 면에서는 関ケ原(세키가하라)의 와 비슷하다.
한문으로는 보통 之로 적는다. 한국에서 之가 들어가는 사자성어들도 일본에선 히라가나로 の라고 쓸 때가 많다. 先見の明(선견지명), 管鮑の交わり(관포지교) 등. 중화권에서도 之를 쓰는 경우는 있지만 백화문과 그로부터 기원한 현대 표준중국어에서는 '-의'에 대응하는 표현으로 보통 을 쓴다.
일본의 옛 성씨는 과거 유럽 성씨와 유사하게 'OO의 OO' 같은 식으로 쓰여서 ~の가 붙는 성씨가 좀 있다. '후지와라노'나, '다이라노' 등. 아일랜드 이름의 o'(of의 생략)나 독일어의 (von)과 비슷한 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이런 의미의 の가 들어간 작품은 히트를 친다는 전설(?)이 있다나 보다.
또한 한국어 '의'와는 달리 '~의 것'이라는 의미도 있다.
이래저래 일본어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기 때문에 한국인이 일본어를 흉내낼 때 '노'를 넣는 경우가 많다. 오죽하면 일본어 매체를 접할 때 '''가장 먼저 자동적으로 익히는''' 단어란 얘기까지 나올 정도.
여러모로 프랑스어의 'de'나 페르시아어의 '-e'가 연상되는 문법이다.

6.2. 종결어미 のだ


동사 뒤에 붙어서 のだ와 함께 쓰이면 단정하는 의미의 표현이 되기도 한다. 앞서 の가 '~의 것'의 의미도 있으니 직역하면 '~인 것이다'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형용동사의 와 붙어 なのだ라고 쓰는 표현도 있다.
그런데 한국어 '-는 것이다'가 단순히 강조적 용법이라 빼도 문제가 없는 데에 비해서 のだ는 꼭 써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학습에 주의를 요한다. 대표적인 용례가 상대방의 의문을 해결하는 용도. "明日、學校を休みます。病院に行くんです。"(내일 결석하겠습니다. 병원에 가거든요)(오다야스히로 2003: 242) 여기서는 行きます를 쓰면 다소 어색하다. "遅れたな" (늦었구나) - "寝坊したんです" (늦잠 잤거든요) 등과 같이 해명을 하는 발화에서도 のだ 문형이 자주 쓰인다. 이럴 때 "寝坊しました"라고 하면 "늦잠 잤습니다!"하고 왠지 좀 늦은 주제에 너무 당당한(?) 느낌이 든다나. 한국어에서는 이럴 때 '-거든'에 대응되기도 한다(최진희 2007)[3].
그래서 KISS 검색 결과를 보면 のだ 문형에 관한 논문도 상당히 많은 편. 오다야스히로(2003)[4], 이남희(2004)[5] 등 참조.
명령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ex) 君が行くのだ 이 경우 한국어에서도 간혹 '네가 가는 거다' 식으로 말해도 비슷한 의미가 된다.
그러나 회화에서는 のだ 그대로 쓰는 건 너무 딱딱하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에 んだ를 쓰는 편이다.

6.3. 동사구의 주격 の


'내가 쓴 편지' 같은 문장에서처럼, 동사가 수식형으로 계속 이어지면, 다시 말해 안긴문장의 주격 조사로는 私'''の'''書いた手紙와 같이 の를 쓴다. 한국어에서는 이 경우에 앞서 썼듯이 이/가를 쓴다. 한국어에서도 간혹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처럼 '의'를 쓸 때가 가끔 있었다.[6]

6.4. 종조사의 の


어조를 드러낼 때 쓰이기도 한다. 여성어와 아어(兒語)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의문을 나타내거나 가벼운 단정 또는 상대를 설득할 때 쓰인다. 예를 들면 どこいくの?(어디 가니?), 知らないの。(몰라요), ピーマンもちゃんと食べるの。(피망도 제대로 먹는 거야.) 남성의 경우는 뒤에 だ, か, さ를 붙여서 각각 んだ,[7] のか, のさ로 쓴다.
이 중 의문문 종조사의 の는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두루 쓰이는 수준이 되었다. 또한 んだ는 평서문 종조사로 쓰일 때면 남녀노소 상관없이 쓰이며, 의문문에서는 んだ를 남성만 쓴다.

7. 한자



7.1. 음독


'''日'''
'''韓'''
'''한자'''
'''韓'''
'''한자'''
'''특수'''
ノウ




납(納)[8]
능()

7.2. 훈독


#
의외로 많지 않은데, 之와 野 정도이다.
野는 の로 읽을 때가 굉장히 많아서 음으로 や라고 읽어야 할 것 같을 때도 훈으로 の라고 읽을 때가 가끔 있다. 野宿(のじゅく)라든가. '들 야' 자이다보니 일본인 성명에도 많이 쓰인다. '히라노(平野)', '노다(野田)', '노하라(野原)', '노비(野比)', '노구치(野口)' 등.
  • の(野): 들
  • のき(軒): 처마
  • のち(後): 뒤
  • のど(喉):
  • のがす/のがれる(逃す)[9]: 놓치다
  • のこる/のこす(残る): 남기다
  • のぞく(除く): 빼다[10]
  • のぞむ(望む/臨む): 바라다, 따르다
  • ののしる(罵る): 매도하다
  • のびる/のばす/のべる (伸びる/延びる): 늘리다
  • のべる(述べる): 진술하다
  • のぼる/のぼせる/のぼす(上る/昇る/登る[11])[12]: 오르다
  • のむ(飲む): 마시다
  • のる/のせる (乗る/載る): 타다, 싣다
  • のろう(呪う): 저주하다[13]

8. 중국어에서의 사용?


주로 대만이나 홍콩 같은 번체중국어권에서, 상술했듯 중국어에서 '~의'의 의미로 쓰이는 的이나 之를 の로 쓰는 경향이 있다.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고 일종의 유행에 가깝다고 한다. 히라가나 자체가 한자를 단순화한 것이고 획수가 적어 훨씬 쓰기 쉬우니까 중화권에서도 별 거부감 없이 섞어쓰는 듯하다. 예를 들어 홍콩 체인점 중 하나인 優之良品(아지 이치방)은 간판에 之 대신 の로 히라가나를 쓰기도 한다. 심지어 컴퓨터에서 병음으로 de(的)를 입력해 の로 변환할 수도 있으며, の가 당당히 등재된 중국어 사전이 간혹 보인다.
중국에서 서브컬쳐 문화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면서 간체를 사용하는 중국본토에서도 的 대신 の를 구어체로 사용하고 별다른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9. 기타


종종 일본 애니나 만화에서 캐릭터가 우울한 분위기로 혼자 주저앉아서 の자를 끄적이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일본 공휴일에는 유독 の가 많이 쓰인다. 예를 들면 어린이날을 子供の日라고 부른다거나. 어찌 보면 일본 달력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히라가나일 것이다.

[1]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2] 따라서 일각에서 지나친 '~의'의 사용은 일본어 문법의 잔재이기 때문에 중복해서 쓰지 말자고 하기도 한다.[3] 최진희(2007), 日本語學,日本語敎育學 篇 : 「のだ」と「거든」の旣定性に關する考察, 일어일문학연구, 63(1), 571-588.[4] 오다야스히로(2003), 초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노다」(のだ) 용법의 사용상 주의점에 관한 연구, 일본연구, 2(0), 235-256.[5] 이남희(2004), 문말표현「のだ」와 「것이다」의 대조고찰 -「のだ」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형식들-, 일본언어문화, 5(0), 63-83.[6] 국문법상 '의'는 주격 조사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의 가 붙은 형태는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 때까지 흔히 쓰였는데 근본적인 이유는 한문의 之의 용법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일본어의 영향도 없진 않다.[7] 회화체에서는 그대로 のだ를 쓰면 말투가 너무 딱딱해진다.[8] 納入(のうにゅう, 납입), 納涼(のうりょう, 납량), 収納(しゅうのう, 수납)에서. 본래 なふ였다가 순음퇴화한 것으로, 같은 계열의 음 ナッ, ナ, ナン으로 읽는 한자어들도 몇 개 있다.[9] 逃는 にがす로도 읽으나 그 때에는 오쿠리가나를 逃がす로 두 글자 달아 구별한다.[10] 동음이의어 覗く(엿보다)는 표 외이다.[11] 昇る/登る는 のぼる만 인정된다.[12] '거스르다'라는 의미로 遡る(さかのぼる) 역시 "거꾸로+오르다" 식으로 합성된 단어이다.[13] 표 외로 呪う를 まじなう라고도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