うぢ

 


1. 개요
2. 상세
3. 고대 이후의 쓰임
4. 창작물에서
5. 관련 문서

''' (うぢ 우지)'''

1. 개요


고대 일본에서 널리 쓰였던 일본의 성(姓). 고대의 문헌에서는 주로 씨(氏)라고 쓴다. 묘지(苗字)와 구분하여 혼세(本姓)라고도 한다.

2. 상세


오늘날 일본의 성씨는 묘지(苗字)만 남아있으나, 우지는 묘지와 아주 다르다. 간단히 말해서 천황이나 황족이 하사한 성만 우지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도 천자가 내려준 것은 성(姓)이고 나머지는 씨(氏)로 구분한 것과 같다. 굳이 황족이란 개념을 추가한 까닭은, 우지 가운데 타타라(多多良)는 천황이 아닌 쇼토쿠 태자가 하사한 우지라는 전승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보면 고대 일본은 중국과 달리 황족에게도 우지를 하사할 권한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우지는 씨성제를 가바네와 더불어 씨성제를 이루는 핵심요소이며 신적강하도 바로 종친에게 우지를 하사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1] 노비를 제외한 양인(良人) 모두가 율령제 성립 이후에는 우지를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헤이안 시대 초만 해도 우지는 일본에서 보편적인 성씨였다. 우지가 묘지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성씨 뒤에 격조사 노(の#s-6.1)가 들어간다. 그래서 고대 인물 가운데 성씨가 후지와라, 미나모토, 타이라, 타치바나#s-1.1인 사람들은 성씨 뒤에 '노'가 들어간다. 어떻게 보면 유럽 귀족이 성 앞에 de나 von을 붙이는 것과 비슷하다.[2] 소가 우마코(((がノ (うま(), 타치바나 모로에((たちばなノ (もろ(), 후지와라 미치나가((ふじ(わらノ (みち(なが), 다이라 기요모리((たいらノ (きよ(もり), 미나모토 요리토모((みなもとノ (より(とも)의 성 뒤에 노(の)가 붙는 것도 이 이유이다.[3] 헤이안 시대 이후의 인물인 아시카가 요시미쓰[4], 오다 노부나가[5], 고노에 사키히사[6], 도쿠가와 이에야스[7]의 성(姓) 뒤에 노(の#s-6.1)가 붙지 않는 것도 그것이 우지가 아닌 묘지이기 때문이다.
  • 부계로만 세습되며 모계세습이 원칙상 허용되지 않는다. 고대 일본에서 펴낸 씨족지(氏族志)인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에 따르면 어머니의 성씨를 쓴 것을 남의 성을 거짓으로 일컬음을 뜻하는 모성(冒姓)의 모(冒)를 따서 썼다.[8]
  • 묘지와 달리 함부로 바꿀 수 없었다. 우지를 바꾸려면 천황이나 종실이 새로운 우지를 하사하거나 자신이 원래 그 우지가 맞다는 근거를 대야 했다.
  • 종실에서 우지를 하사할 때는 대체로 카바네도 같이 하사해서 우지와 카바네는 붙여서 쓴다. 이때 격조사 노(の)는 우지와 카바네 사이에 붙는다. 가령, 후지와라, 미나모토, 타이라, 타치바나#s-1.1는 카바네가 아소미(朝臣)라서 우지와 카바네를 같이 쓰면 후지와라노아소미(藤原朝臣), 미나모토노아소미(源朝臣), 타이라노아소미(平朝臣), 타치바나노아소미(橘朝臣)가 되며 여기에 이름을 그냥 붙여 쓴다. 타타라(多多良)처럼 카바네가 없는 우지도 있다.

3. 고대 이후의 쓰임


이렇게 고대 사회에서 널리 쓰이던 우지는 헤이안 시대를 지나면서 잘 쓰지 않게 되었다. 공가(公家)나 무가(武家)에서도 우지를 버리고 묘지를 널리 쓰게 되었지만 아주 버린 건 아니어서, 외교문서를 작성할 때는 묘지가 아니라 우지를 썼다. 아시카가 요시미츠가 명나라에 보내는 국서에서 자신을 '미나모토노 요시미츠(源義滿)'라고 썼다든가[9] 오닌의 난의 핵심 인물들인 야마나 소젠과 호소카와 카츠모토가 조선왕조실록에서 각각 미나모토노 모치토요와 미나모토노 카츠모토로 나온다든가 유즈야 야스히로가 조선의 문헌에서 '타치바나노 야스히로(橘康廣)'라고 적혔다든가 징비록에서 소 요시토시가 '타이라노 요시토시(平義智)'[10]로 기록된 게 그런 까닭이다.
더군다나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 조서칙령을 비롯한 조정#s-4의 공문서에서는 이름을 쓸 적에는 우지와 카바네를 꼭 써야 했다. 다시 말해 천황에게 벼슬을 받으려면 벼슬에 임명한다는 선지(宣旨)에 대상자의 우지가 꼭 들어가야 했다. 그래서 우지가 없는 하시바 히데요시는 처음에 타이라를 일컫다가 아무래도 구라인 게 뻔해서 고노에 사키히사의 양자가 되어서 후지와라를 일컬었으나 이것도 영 모양새가 안 살아서 나중에 고요제이 덴노에게 아예 도요토미노아소미(豐臣朝臣)라는 우지와 카바네를 받고 관백으로 임명하라는 선지를 받았다. 그렇기에 사실 도요토미'''노''' 히데요시라고 불러야 하지만 아무래도 출신이 비천해서 그런지 아무도 그렇게 안 불러준다. 한편 조선 말엽에 대마도에서 가바네인 아소미(朝臣)까지 적은 공문서를 보낸 적이 있는데, 조정에서는 이것이 가바네인 줄 모르고 그대로 조정의 신하라 해석하여 공문서의 하자로 인식하였다.
일본에서는 우지와 카바네를 쓰는 이름을 실명으로 여겼기에 이것을 본명으로 삼았다.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실명은 미나모토노아소미 아리토모(源朝臣有朋)고, 이토 히로부미의 실명은 오치노스쿠네 히로부미(越智宿禰博文)고[11] 오키타 소지의 실명은 후지와라노아소미 카네요시(藤原朝臣房良)고, 세리자와 카모의 실명은 타이라노아소미 미츠모토(平朝臣光幹)고, 야마나미 케이스케의 실명은 후지와라노아소미 토모노부(藤原朝臣知信)다. 물론 이게 진짜냐고 묻는다면 선뜻 수긍하기는 그런 게 애초에 양자였던 이토 히로부미는 둘째 치고 나머지도 본인이나 본인의 조상이 족보를 위조하지 않았으리란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12]

4. 창작물에서


동방 프로젝트히에다노 아큐, 후지와라노 모코우, 모노노베노 후토, 소가노 토지코, 하타노 코코로의 성 뒤에 노가 붙는 것도 성(姓)이 묘지(苗字)가 아닌 우지(氏)이기 때문이다. 와타츠키노 요리히메와타츠키노 토요히메도 마찬가진데 이들의 경우는 실존하는 우지가 아니라 창작한 우지다.

5. 관련 문서


[1] 다시 말해 황족에게 너는 천황과 다른 겨레로 갈라졌다고 선포하는 것이다.[2] de나 von처럼 귀족의 출신을 나타내는 조사를 귀족성씨조사 nobiliary particle이라 부른다.영문 위키백과[3]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の가 한자의 발음이 아니고 우지 뒤에 붙는 격조사임을 뚜렷하게 나타내기 위해 아예 띄어 쓴다.[4] 우지는 미나모토[5] 우지는 다이라. 다만 자칭이다.[6] 우지는 후지와라.[7] 우지는 미나모토. 다만 신빙성이 낮다.[8] "어머니의 씨성에 붙어서 츠키모토노키미를 무릅쓰고"(附母氏姓槻本公) 링크에서 084번 참고 이렇게 어머니의 성을 썼던 츠키모토노키미 이와레(槻本公石村)의 경우 손자인 나데마로(奈弖麻呂)·토요나리(豐成)·토요히토(豐人)가 연력 22년(803년)에 환무천황에게 사카타노스쿠네(坂田宿禰)라는 우지와 카바네를 하사받고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홍인 4년(813년)에 차아천황이 카바네를 아소미(朝臣)로 올려줬다. 그리고 또 나데마로의 아들들은 홍인 14년(823년)에 성을 바꿀 것을 윤허받아 미나부치노아소미(南淵朝臣)를 하사 받았다.[9] 아시카가미나모토에서 비롯한 가문이다.[10] 실제야 어떻든 소 가문은 스스로 타이라에서 비롯한 가문이라고 내세웠다.[11] 양자지만 법적으로 무사의 아들이었으니까.[12] 족보 위조는 비단 조선만 그런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