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
[clearfix]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8FB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WMMV(廿田一一女)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7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曲(굽을 곡) 자와 辰(별 진) 자가 위 아래로 합쳐져 있는 형태인데, 갑골문에서는 위쪽이 林(수풀 림) 자로 되어 있다. 이외에 윗부분은 땅 위에 나무나 풀이 난 모습으로 그려져 있기도 하고, 아래쪽은 辰 자 대신 辱(욕 욕, 즉 辰 자를 손으로 들고 있는 모습) 자가 있기도 하다. 전통적으로는 辰을 조개로 여겼기 때문에 '큰 조개를 농기구로 삼아서 밭을 갈았다'와 같은 식으로 설명했지만, 갑골문을 연구하면서 辰 자의 원형이 조개보다는 호미나 괭이 같은 농기구의 모습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에, 조개와 관계없이 '농기구를 가지고 논밭을 간다'라는 뜻에서 '농사'라는 의미가 생겼다는 식의 설명도 있다. 금문에 와서는 뜻을 보강하기 위해 위쪽에 田(밭 전) 자가 추가된 형태도 보이며, 양 옆에 있는 나무나 풀들이 學(배울 학) 자의 윗부분처럼 양손으로 바뀐 형태도 나타난다. 田 자는 더 변형되어 囟의 형태로 고착되었다. 전서에 와서는 䢉(臼 사이에 囟 그 밑에 辰)과 같은 형태, 여기서 더 일그러진 農의 형태가 오락가락하다[1] , 예서와 해서에 와서 지금의 農 자로 고착되었다.
2. 사용례
- 농과대학(農科大學)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 농가집성(農家集成)
- 농기계(農機械)
- 농기구(農器具)
- 농노제(農奴制)
- 농림(農林)
-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
- 농무(農務, 農舞)
- 농민(農民)
- 농부(農夫)
- 농사(農事)
- 농사직설(農事直說)
- 농상공부(農商工部)
- 농업(農業)
- 농장(農場)
- 동물농장(動物農場)
- 농지(農地)
- 농지개혁법(農地改革法)
- 농한기(農閑期)
- 사농공상(士商工農)
2.1. 철도역
- 농포역(農圃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