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圭'''서옥/쌍토 규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たま''
'''간체자'''
-
'''표준중국어 독음'''
''guī''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제자 원리
3. 용례
3.1. 인명
3.2. 지명
3.3. 서적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서옥 규, 홀#s-7 규'''
임금이 면복(冕服)[1]이나 원유관포(遠遊冠袍, 아래 이미지의 복장)를 입을 때 쥐는 서옥(瑞玉), 즉 상서로운 옥인 규#s-2를 뜻하는 글자이다.
[image]

2. 제자 원리


(흙 토) 두 개를 위아래로 겹친 회의자이다. 규는 본래 천자제후를 임명할 때 그 증표로서 부여한 물건인데, 천자가 주신 땅(土)을 재어(土)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土를 두 번 써서 표현한 것이다.[2]
절대 亖+丨으로 쓰지 말 것. 폰트나 글자 크기에 따라 세로획이 하나로 합쳐져 보일 수 있으나, 위에서 두 번째 가로획을 기준으로 세로획이 반으로 나뉘어 있다.

3. 용례



3.1. 인명



3.2. 지명


- 한국
  • 규남로(圭南路) - 화순군에 있다.
  • 규봉로(圭峰路) - 화순군에 있다.
  • 영규대사로(靈圭大師路) - 계룡면에 있다.
- 중국
  • 구이펑 산(圭峰山)

3.3. 서적


  • 규재유고(圭齋遺藁) - 철종(조선)대의 시인 남병철의 시집

3.4. 고사성어


  • 규장(圭璋) - 매우 뛰어난 인품, 또는 그런 인품을 가진 사람.
  • 백규일점(白圭一玷) - 흰 서옥에 난 점 하나, 즉 옥에 티.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부추 구)
  • (달릴 주)

[1] 면류관곤복#s-1을 한 세트로 착용한 것.[2] 土은 흙이란 뜻뿐 아니라 땅이란 뜻과 측량한다는 뜻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