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梁'''들보/돌다리 량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고등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リョウ''
'''일본어 훈독'''
''うつばり, はし, はり, やな''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liáng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clearfix]

1. 개요


들보 량(梁). 들보, 다리, 등을 뜻하는 한자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들보
'''음''': 량
'''일본어'''
'''음독''': ''リョウ''
'''훈독''': ''うつばり, はし, はり, やな''
'''중국어'''
'''표준어''': liáng
광동어: loeng4
객가어: liòng
민동어: liòng
민남어: liâng[1] / niû[2]
오어: lian (T3)
'''베트남어'''
lương
유니코드는 6881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3급으로 분류된다.
뜻을 나타내는 (물 수) 자와 (나무 목) 자, 그리고 소리를 나타내는 刅(창)[3]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梁(들보 량)을 한자로 쓸 때, 한국이나 중화권에서 있는 梁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경우에 오른쪽 위를 刃(칼날 인)으로 쓰는 (U+9FC4)으로 쓰는데, 정확한 자형이 아니다. 오른쪽 위를 점이 두 개 찍힌 刅(비롯할 창)으로 써야 한다.
가야(伽倻) 말로 (門)을 뜻하는 한자였다 한다. 물론 음은 오늘날과 많이 달랐을 것이다.

3. 용례



3.1. 낱말


  • 교량(橋梁)
  • 동량(棟梁)
  • 어량(魚梁)

3.2. 고사성어


  • 낙월옥량(落月屋梁)
  • 양상군자(梁上君子)
  • 주량회갑(舟梁回甲)
  • 하량별(河梁別)
  • 현량자고(懸梁刺股)

3.3. 이름



  • 우찬양(禹贊梁)
  • 항량(項梁)
  • 성이 양씨인 사람 약 90%.[4]

3.4. 지명


  • 경상남도 양산시(梁山市)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押梁面)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草梁洞)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扶梁面)

3.5. 그 밖에



[1] 문독[2] 백독[3] (비롯할 창) 자(평성)와 같은 글자이며 또 '날이 두 개인 검'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독으로는 전혀 안 쓰는 글자이다.[4] 양씨는 나머지 약 10%가 楊 글자를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