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본

 




1. 개요
2. 각본과 대본의 개념
3. 분야별 사항
3.1. 영화·드라마
3.2. 애니메이션
4. 각본 작성법(예시)
5. 여담
6. 관련 항목

脚本 / scenario

1. 개요


극문학의 일종으로 영화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매체에서 스토리와 대사, 등장인물의 행동, 촬영 또는 작화 기법 등을 글로 표현한 것이다. 연극의 것은 따로 구분해 희곡이라고 부른다.[1] 각본을 창작하는 사람을 각본가라 부른다.
각본은 그 자체로도 하나의 작품이지만, 일반적으로 영화, 드라마의 대본이 되거나 만화나 게임의 스토리로서 작품의 창작을 위해 사용된다. 때문에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세운 계획을 비유적으로 '각본'이라 부르기도 한다.
영어에는 각본을 뜻하는 scenario 말고도 각본과 관련한 어휘가 여럿 있는데, 'draft', 'screenplay', 'script' 등이 있다.
  • draft: 각본의 초안
  • screenplay: 영화의 각본(또는 대본)
  • script: 대본[2]

2. 각본과 대본의 개념


각본과 대본은 굉장히 혼동되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서로 유의어 관계인 두 어휘의 다른 뜻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각본인 대본이 있고, 대본인 각본도 있지만, 각본=대본이 '''아니다'''.
먼저 두 어휘의 어원을 살펴보았을 때, 각본(脚本)[3]과 대본(臺本)은 모두 '무대(脚, 臺)'의 기본(本)이 되는 글을 말한다.
위와 같이 둘은 기본적으로 거의 같은 어원을 갖지만, 각본은 문학성을 가진 극문학의 일종으로, 대본은 대사에 치중한 글로 본다.
극문학은 연극과 영화 등이 분리되기 전에는 '극'으로만 불렀으므로, 각본과 대본 역시 희곡이 생긴 근대 이후일 수 있다.
그런데 각본과 대본은 시간이 지나면서 각각 새로운 의미가 추가된다. 대본이라는 용어가 '뉴스 등 방송프로그램의 대사를 적은 글'로 의미가 확장되면서 '문학성을 가지지 않는 대본'인 방송대본이라는 분류가 생긴다.
즉, 대본은 '극 대본'[4]과 방송대본으로 나눌 수 있고, '극 대본'은 각본의 일종이지만 방송대본은 문학성이 없으므로 각본의 일종이 아니다.
또한 각본은 극작품뿐만 아니라 '만화나 게임 등 다른 작품의 기본이 되는 글'로도 확장되었기 때문에 각본 중에서 '극작품의 각본'을 뜻하는 '''극본'''이라는 말도 생겨났다.
한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1. 서사시나 소설 따위의 문학 작품을 희곡이나 시나리오로 고쳐 쓰는 일.'이라는 뜻으로 풀이하는 '''각색'''이라는 단어는 '2. 흥미나 강한 인상을 주기 위하여 실제로 없었던 것을 보태어 사실인 것처럼 꾸미다.'라는 다른 뜻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는데, 기이하게도 '각본'은 '2. [영상] 대본을 각색함. 또는 그런 것.'이라는 의미도 갖고 있다.
즉, 이들 4가지 의미가 서로 혼동되고 있는 것이다.
유의어 및 상하위어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각본
    • ①: 극문학의 일종=대본①
      • 극본
      • 게임, 만화 등의 각본
    • ②: 각색②[5]된 대본
  • 대본: 대사 등이 적힌 글
    • ①: 극 대본
    • ②: 방송대본
    • 각본②

3. 분야별 사항



3.1. 영화·드라마


드라마에 한해서 '극본'이라는 표현도 쓰며, 영화는 screenplay라고도 한다.
장면()으로 나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문대사로 구성된다. 한국의 경우엔 대사가 왼쪽에서 일정한 범위를 띄운 위치에 쓰이게 되나 영미권에서는 가운데 정렬로 쓰인다. 영미권에서는 대본만을 집필하는데 쓰는 워드프로세서도 있으며 한국에서는 한글이나 워드의 특정한 스타일을 활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방송용 극본의 경우에는 칸을 나누는 식으로 지문과 대사를 표시한다.[6]
또한 현장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지시를 적어 두게 된다. 가령 카메라 앵글의 위치나 배우들의 동선, 삽입되어야 할 사운드 등이 그 예이다.
은 각본에서 장소상황의 변경을 표시하기 위해 쓰이며 실제 촬영에선 더 세심한 구분이 필요하다. 각 을 다시 으로 구분하고 로케이션 등을 위해 구분한 컷을 묶게 된다.[7]
일반적으로 70분짜리 드라마는 30~35장 내외이며 120분짜리 영화는 100~150장 내외다.
덧붙이자면, 12포인트짜리 글자로 작업하면 A4 1장에는 200자 원고지 4~5장이 들어간다. 이걸 시간으로 바꾸면 대략 2분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60분 드라마는 A4로 25장 안팎이 되고 70분 드라마는 A4로 30장 안팎이 된다.
그리고 이 분량 안에 60분 드라마는 씬이 55~75개가 들어가고 70분 드라마는 씬이 65~90개 들어간다.[8]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참고 사항이며 분량은 작품마다 다를 수 있다.

3.2. 애니메이션


일본 애니메이션에선 업계 특성상 20분 가량의 각본을 최소 12회 가량 집필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명의 각본가가 한 작품에 동시에 달라붙는 일이 잦은데, 이 중에서 다른 각본가들에게 지시를 내려주고 전체적인 각본을 지휘하는 각본가를 '시리즈 구성'이라 칭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각본이 제작과정의 핵심인 콘티 작성의 바탕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본의 작성이 늦어지면 애니메이션 제작에 차질이 빚어지게 된다.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콘티인데 이 콘티 작성의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각본이기 때문이다.[9] 엔딩 스태프롤에서 각본 담당자의 명의가 콘티와 연출 담당자의 명의보다 항상 먼저 나오는 것이 바로 이 때문.
또 아동용 애니메이션이나 특촬에선 새로운 필살기가 어떤 에피소드에서 나오느냐, 이 에피소드에서 주인공이 새 아이템을 사용하느냐 등 각종 어른의 사정에 맞춰 각본을 쓰거나 내용을 수정해야 할 일이 많다.
특히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일수록 감독이 구상한 세계관을 각본가가 시나리오로 펼쳐야 하므로 이런 중압감은 배로 더해진다.

4. 각본 작성법(예시)


※ 반드시 이렇게 쓰라는 것은 아니다. 이런 방식도 있구나 정도로 참고하면 좋다.
  • 3가지 요소
    • 장소/시간
    • 지문
    • 등장인물: (지문) 대사
  • 회상신
>×   ×   ×
>장소, 시간대 (회상 시작)
>등장인물: 대화
>(회상 종료)
>×   ×   ×
  • 플래시백
>***
>(플래시백)
>지문
>***
  • 마음의 소리 or 독백
>등장인물: (지문. 마음의 소리)대사
  • 나레이션
>목소리가 누구인지 아는 경우
>등장인물: (N 혹은 나레이션)대사
>등장인물(N 혹은 나레이션): 대사
>목소리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경우
>나레이터: 대사

5. 여담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문학의 일종이나 한국에서는 인터넷지망생 위주로 대량으로 풀려 있다. 방송작가들 역시 이 문제를 인식하는 데 취약한 면이 있어 구성작가들 위주로 직접 인터넷에 대본을 유포하는 일이 많다. 외국에서는 대본을 단행본으로 엮어 판매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구글에서 실제 대본을 구하기가 쉬운 것을 볼 때 외국도 이 부분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편.
가장 유명한 시나리오 작법서로는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가 로버트 맥키의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Story, 2002)>가 있다.

6. 관련 항목



[1] 기준에 따라선 반대로 각본을 희곡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다.[2] 극의 대본뿐만 아니라, 문학작품이 아닌(=각본이 아닌) 방송대본 등도 포함한다.[3] 각색(脚色, 서사시나 소설 따위의 문학 작품을 희곡이나 시나리오로 고쳐 쓰는 일.), 각광(脚光, 무대의 앞쪽 아래에 장치하여 배우를 비추는 광선.) 등 각(脚)이 '기본', '토대'의 의미를 갖는데, 이것이 무대로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4] 연극, 영화, 드라마 등의 극작품의 대본[5] 흥미나 강한 인상을 주기 위하여 실제로 없었던 것을 보태어 사실인 것처럼 꾸미다.[6]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312/read?bbsId=G005&articleId=18294633&itemId=110[7] 간단히 설명하자면 한 장소가 작품의 초반과 후반이 등장한다면 따로 촬영하는 것보다 한 번에 촬영하는 것이 제작비 차원에서 낫다.[8] http://hamham1000.blog.me/90097329265 [9] 기동전사 건담 SEED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에서 뱅크씬이 많이 나온 이유가 바로 모로사와 치아키의 각본 제출이 늦어서 콘티를 작성하지 못해 모든 작업과정이 멈춘 것이 원인이 될 정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