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권

 


1. 개요
2. 영미권을 연결하는 영어
3. 영미권의 특징
4. 관련 문서


1. 개요


'''영미권'''(英美圈, Anglosphere)[1]영국미국을 아울러 이르는 표현이나, 사실상 아일랜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뉴질랜드를 포함한 영연방이나 영어언어로 사용하는 사회・문화적 지역을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따라서 '''영어권'''이라 칭하기도 한다.

2. 영미권을 연결하는 '''영어'''


본래 영어잉글랜드 남부의 앵글로색슨이 쓰던 말이었지만 잉글랜드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인근의 켈트족의 땅인 웨일스,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등으로 그 범위가 확장되었다. 17세기에는 북미 대륙에 영국이 식민지를 세우면서 신대륙에서 영어가 광범위하게 쓰이게 되었다. 미국이 독립하면서 미국의 영어는 좀 더 독자적인 방향으로 발전해나가지만 이는 방언의 차이일 뿐 완전히 다른 언어로의 변화는 아니었다. 19세기에 국제어로서는 프랑스어가 강했지만 비즈니스에서는 영어가 유럽에서 주된 언어로 쓰이게 되고 영국이 19세기 중후반에 세계의 최강대국이 되면서 영어는 서로 다른 언어권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공용어로 쓰이게 되었다. 영국이 몰락한 뒤에도 미국이 약 100년 가까이를 세계 최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각종 학술, 외교, 경제, 문화 차원에서 영어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21세기 들어 힘을 키우는 중국어소프트파워에서 영어에 크게 못 미친다.

3. 영미권의 특징


영미권, 영어권 또는 앵글로스피어는 이러한 영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며 비슷한 '''문화적 가치관'''을 공유하는 권역을 일컫는 표현이다. 이들은 인적 교류가 활발하고 경제적, 문화적으로도 다른 나라임에도 친밀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특히나 권역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미국이나 영국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실제로 할리우드 배우 중에 많은 숫자가 미국이 아닌 다른 영미권 출신들이다. 미국의 신화라 할 수 있는 히어로 영화에서도 이런 점은 두드러지는데 크리스토퍼 놀란[2]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에서 배트맨을 맡았던 크리스천 베일은 영국인이고 조커를 맡은 히스 레저는 호주인이며 베인을 맡은 톰 하디는 영국인이며 스케어크로우를 맡은 킬리언 머피아일랜드인, 알프레드 페니워스를 맡은 마이클 케인 역시 영국인이다. 맨 오브 스틸에서 슈퍼맨을 맡은 헨리 카빌 역시 영국인이다. 토르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토르 역을 맏은 크리스 햄스워스는 호주인이고 헤임달 역을 맡은 이드리스 엘바아프리카계 영국인이다. 스타워즈에서도 주인공 일행 중에 영국인 배우가 섞여있는 것 또한 마찬가지. 굳이 문화적인 분야가 아니더라도 영미권 내에서 교류는 빈번하다. 더 나아가 일각에서는 영어권을 앵글로 연방, 앵글로 연합, 앵글로 합중국유럽 연합처럼 통합된 통치체로써 재편하려는 구상도 존재하는 중.
정치, 사회문화적인 면모에서도 유럽 대륙계와 차이가 있다. 자유주의만 하더라도 영미권은 유럽대륙계에 비해 좀더 자유방임적인 경향이 강하다. 경제적 분야가 아니더라도 표현의 자유 문제에서도 그렇다. 실제 역사적으로 봤을때 영미권 국가들은 가장 일찍부터 의회정치와 자유민주주의, 정당정치가 자리잡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미 17세기 말 명예혁명으로 의회정치와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가 발전했고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도 독립 이전부터 본국 영국의 영향을 받아서 의회정치가 자리잡아 독립 직후부터 민주주의 정치를 시작해서 현재까지 유지해오고 있다.[3] 영미권 밖에서는 프랑스 정도만 19세기 후반부터 민주주의 체제를 구축했고 영미권과 프랑스를 제외한 전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들에서는 20세기 이후에 가서야 비로소 안정적인 민주주의 체제가 자리잡았다. 이러한 자유주의적인 경향으로 인해 영미권에서는 유럽 대륙계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일찍부터 징병제를 폐지하고 모병제를 시행했다. 영국과 캐나다는 역사적으로 1차대전과 2차대전 시기를 제외하고는 항상 모병제를 유지해왔고 아일랜드는 역사적으로 한번도 징병제를 시행한 적이 없으며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또한 베트남 전쟁 직후인 1970년대 초 징병제를 폐지하고 모병제로 전환했다.[4] 사실 미국, 호주, 뉴질랜드는 1970년대 이전에는 명목상 징병제가 있기는 했으나 전시가 아닌 평시에는 현역은 모병제로 충당하고 징병제는 현역으로 징병되는게 아니라 기초군사훈련만 받고 예비군으로 편성되는 것에 가까웠다. 반면 유럽 대륙쪽 국가들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징병제를 유지해 오다가 대부분 2000년대 이후에야 징병제를 폐지했다. 또한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와 다르게 표준어를 규율하는 국가기관이 없고, 표준 어법에 관한 규율은 민간 학계의 통설에 맡겨져있다. 심지어 영어가 법률상 공용어로 규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법률 체계도 대륙법이 아닌 영미법을 따른다.[5] 또한 도량형도 원래는 영미권의 대부분 국가들은 야드파운드법을 사용했는데 현재는 미국만이 야드파운드법에서 유래한 미국 단위계를 쓰고 있고 미국을 제외한 영미권 국가들은 대부분이 미터법으로 갈아탄 상태. 근데 그 미국이 영미권에서 제일 큰 나라라는게 문제이다.
종교적으로는 아일랜드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개신교의 영향이 강한 편이다. 개신교 문화권이긴 하지만 가톨릭 교세도 작은 편은 아니며,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가톨릭이 전체 그리스도교 교단 중 가장 많은 신자수를 가지고 있다.[6] '''특히 캐나다는 개신교 전체 신자수보다 가톨릭 신자가 더 많으며, 심지어 프랑스어권 퀘벡 주의 밖에 있는 영어권 온타리오 주의 대도시 토론토에서도 가톨릭 신자가 개신교 신자보다 많을 정도다.''' 즉, 아일랜드와 캐나다는 가톨릭 국가, 영국과 미국, 호주와 뉴질랜드는 개신교 국가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정교회는 세가 미약하며, 아직도 제대로 된 자체 영어 번역본을 갖고 있지 못해서 개신교의 KJV, NKJV를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스포츠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 풋볼 계열 스포츠들이 인기있는데 특이한 것은 영미권의 각 나라마다 따로 자국 고유의 풋볼 계열 종목들이 있는데 아이스하키가 가장 인기있는 캐나다만 제외하고[7] 모두 자국 내에서는 이런 나라별 고유 풋볼 종목이 가장 인기있다는 것이다.(영국 - 축구, 럭비 유니온, 미국 - 미식축구, 호주 - 호식축구, 럭비 유니온, 럭비 리그 아일랜드 - 게일릭 풋볼, 캐나다 - 캐네디언 풋볼, 뉴질랜드 - 럭비 유니온) 이때문에 영미권 국가들에서는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축구(association football)는 정작 축구 종주국 영국을 제외하고는 이런 자국 고유 종목에 인기 순위가 밀린다. 이외에도 크리켓, 야구배트를 쓰는 구기종목(bat-and-ball games)이 인기있는 편이다.
철학계에서도 영미권의 철학계와 유럽 대륙권의 철학계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유럽 대륙쪽이 철학사적 전통을 중시하며 헤겔에서부터 이어지는 의식철학적 경향을 중시하고 사회적이고 실천적인 문제에 개입하는데 관심이 많다면, 영미권의 분석철학은 언어적 전회를 통해 전통 철학사적 전통과 단절되고, 언어 분석을 통해 개념의 의미를 명료화하는데 관심이 많은 편이다. 영미권의 철학계는 과학적 작업과 협업하는데도 적극적이고 실제로 인지과학과 같은 협동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반면 철학을 전문가의 작업으로 만들어버림으로써 일반 대중과 괴리 되어버린 점은 문제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독일프랑스 철학이 주류라, 영미 분석철학의 존재를 알고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 전반적으로 실용주의를 강조하는 것 역시 영미권 국가들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8]
또한, 수백년간 이어진 이민으로 인해 국가의 인종구성이 다양하며 자국내 외국인들에게 상대적으로 관대한 경향 역시 영미권 선진국[9]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그리고 영미권 국가들은 대개 전통요리가 투박하고 초라한 경향을 띤다.
미국의 문화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Edward Hall)의 저서 문화를 넘어서(Beyond Culture)에 나온 고맥락 문화(High-context Culture)와 저맥락 문화(Low-context culture) 중 영미권은 같은 게르만어파독일어권, 스칸디나비아권과 함께 저맥락 문화에 속한다. 즉 이 부분에서 영미권은 동아시아와는 완전히 대척점에 위치하는 셈.[10]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에서 영어권 국가의 힘은 매우 막강한 편이다. 또한 서로간의 연대도 매우 높은 편이다.[11]

4. 관련 문서



[1] 소설가 닐 스티븐슨이 1995년 다이아몬드 시대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말이다.[2] 그 역시 영국인이다. 다만 미국 국적도 있다.[3] 이렇게 길게 지속된 민주주의의 역사로 인해 영미권의 정당은 수명이 매우 긴 편인데 영국 보수당은 길게 잡으면 과거의 토리당부터 시작해서 3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고 미국 민주당 또한 20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4] 영어를 쓰지 않아도 영국의 영향을 받은 영연방 국가들은 대체적으로 역사적으로 모병제를 유지해온 경우가 많다.[5] 국지적으로는 대륙법인 지역도 있다. 영국의 스코틀랜드, 미국의 루이지애나, 캐나다의 퀘벡.[6] 다만 교단별로 세세하게 나누지 않고 전체 개신교 신자를 합산하면 개신교 신자가 가톨릭 신자보다 더 많다. 캐나다를 제외하고.[7] 물론 캐나다에서도 캐네디언 풋볼은 아이스하키에 이어 두번째로 인기있는 종목이디.[8] 위에 서술한 자유방임적인 자유주의분석철학 위주의 철학계 역시 영미권의 이러한 실용주의적 풍토와 무관하지 않다.[9]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등.[10] 다만, 사실상 영미/게르만권을 제외한 나머지 문화권, 프랑스/동유럽/남유럽/남아시아/중동/아프리카/히스패닉 등 서로 이질적인 여러 문화들을 모조리 고맥락으로 분류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존재한다.[11] 소프트파워 영향력 순위에선 영국미국이 1, 2위를 다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