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탭 S6 Lite
1. 개요
삼성전자가 2020년 4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 태블릿 컴퓨터다.
2. 사양
- 셀룰러 모델의 사양에만 해당하는 경우 녹색 글씨로 표기.
5.1. 제조사 공식
5.1.1. 10 마이너 업데이트
2020년 4월 28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ATD9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이후 동년 4월 29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20년 5월 11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이 ATE2이며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가 ATE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5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두 번 눌러 화면 켜기 기능과 S펜 번역기 기능이 추가되었고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 향상을 위한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6월 8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이 ATEA이며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가 ATF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화면 색감 최적화와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6월 30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ATF2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8월 11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ATH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 및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 향상을 위한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9월 1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ATHF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전원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9월 17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BTI3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9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Samsung One UI 2.5로 업데이트 되었고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 및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 향상을 위한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11월 12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이 BTJ5이며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가 BTJ6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1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S펜 관련 안정화 코드,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 및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 향상을 위한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12월 10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과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의 안드로이드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이며 빌드 번호는 한국 출시 모델이자 글로벌 Wi-Fi 모델인 SM-P610이 BTK2이며 4G LTE 셀룰러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P615N가 BTK3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 및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 향상을 위한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5.1.2. 11
2020년 12월 3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11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21년 5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6. 논란 및 문제점
6.1. 탭 S 시리즈에 걸맞지 않은 스펙
전체적으로 봤을 때 기기의 스펙이 탭 S 시리즈보다는 '''탭 A 시리즈에 가깝다'''. 실제로 삼성전자 내부에서 이 기기를 '''Galaxy Tab A 10.4 with S-pen'''이라고 부르는 것이 밝혀지면서 명백한 중급기에 탭 S의 네이밍을 붙여서 고객을 기만하고 갤럭시 탭 S 시리즈의 브랜드 가치를 깎아먹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다만 스펙 자체는 A 시리즈에 가까워도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은 S 시리즈와 비슷하다. 삼성의 시스템 커스텀 기능인 Good Lock도 다른 S 시리즈와 동일하게 모든 기능을 지원하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도 3회 보장된다.
갤럭시 탭 S6 Lite의 '''S답지 못한''' 면은 다음과 같다.
- 전년도에 출시된 갤럭시 탭 S5e 또한 갤럭시 탭 S 시리즈의 염가판으로 취급받는 제품인데, S펜과 3.5mm 이어폰 단자, UFS 스토리지 규격을 빼면 갤럭시 탭 S5e보다 하드웨어 스펙이 떨어진다. 후속기기가 전작보다도 스펙에서 밀리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다.
- 전자기기의 두뇌에 해당하는 AP 성능만 놓고 보면 더욱 비참해지는데, CPU 성능이 2019년에 나온 염가판인 갤럭시 탭 S5e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S6 Lite가 UFS 규격 스토리지를 탑재한 반면 S5e는 eMMC 규격의 스토리지를 탑재했기 때문에 체감 시스템 성능은 스토리지 입출력 속도가 빠른 S6 Lite가 더 낫다. 스토리지까지 고려하면 UFS 스토리지를 탑재한 갤럭시 S7과 비슷한 성능이다. GPU 성능의 경우 갤럭시 탭 S5e 대비 확연한 열세이고 스마트폰 라인업에서 비교하면 갤럭시 S7 대비 50~60% 성능으로, 해당 기기들도 GPU 성능이 2020년 기준으로는 상당히 뒤떨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탭 S6 Lite로 고사양 게임은 플레이가 불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 구성품 중 S펜 여분 펜촉[8] 과 이어폰이 빠졌고 기본 충전기의 출력은 5V 1.55A(7W)에 불과하며 기본 케이블의 길이도 약 70cm에 불과하다. 하위 라인업인 탭 A 8.0 with S-pen도 1.5미터 길이의 케이블이 들어있던 것과 비교하면 혹독한 원가절감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 소프트웨어에서도 많은 기능이 제거되었다. 손으로 밀어서 캡처하기[9] 기능과 삼성 DeX가 없으며[10] , 지문인식 기능이 없어서 삼성패스도 지원하지 않는다.
- 출시 초기에는 물리 홈버튼이 없음에도 LCD 패널의 전력 소모를 이유로 두 번 눌러 화면 켜기 기능을 제거하여 일일히 전원 버튼을 눌러 화면을 켜야 했는데, 이 기능은 원래 탭 A 시리즈에도 탑재되는 기능이라 나름 탭 S 시리즈인 이 기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많았다. 또한 S펜 번역 기능을 미지원하여 S펜을 강점으로 내세움에도 기본적인 S펜 기능을 가지고 상위 제품과 급 나누기를 하냐는 비판을 받았다. 이 문제들은 삼성 멤버스에서 비판 여론이 커지자 부담을 느낀 삼성전자가 신속한 개선을 약속했으며, 2020년 5월 11일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되었다.
6.2. 디스플레이 품질 문제
삼성의 다른 LCD 태블릿에 비해 유독 잔상이 잘 생긴다는 반응이 사용자들에게서 보고되고 있다.[11] 고정된 화면을 몇분간 띄워놓았다가 흰색 배경으로 전환했을 시에 잔상이 보인다면 서비스센터에서 점검을 받아 보는 것이 좋다.
7. 평가
공개 초기에는 '''단점이 많지만 '가격'이 모두 용서하는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사전예약 기준으로 30만원대 중후반에 구매가 가능했으며, 최고사양인 128GB LTE 모델도 40만원 초반에 구입 가능했기 때문이다. 저렴하면서 S펜을 지원한다는 강점으로 인해 40만원 미만 가격대의 학습용 태블릿을 찾는 사람들의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정식 출시 후 정가 기준으로는 가성비가 별로 좋지 않다는 평이 많다. 필기를 하지 않고 영상이나 간단한 게임 위주로 태블릿을 사용할 것이라면 돈을 조금 더 얹어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품질이 월등한 갤럭시 탭 S5e를 사는 것이 더 낫다.
결국 이 태블릿의 수요처는 게임이나 생산성 작업 등 고사양을 요구하는 작업을 거의 하지 않으나 S펜으로 필기는 해야 하는 계층인데,[12] 코로나19 사태로 전국의 학교들이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면서 '''인강용 태블릿'''으로 소소한 인기를 끄는 중이다. 특히 온라인 수업을 위해 자녀에게 태블릿을 사주는 부모 입장에서는 어차피 문서 작성 같은 것은 PC로 해도 되고, 게임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길 원할테니 저렴한 가격에 부담없이 사줄 수 있는 태블릿인 것이다.
8. 기타
- 삼성전자가 갤럭시 노트 20을 공개하면서 일부 기종의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3회 보장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따라서 공식적인 운영체제 업데이트는 안드로이드 13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하반기에 이 기기와 성능이 비슷한 갤럭시 탭 A7이 출시되면서 이 기기가 A 시리즈 급임을 확인사살했다(...) 그래도 삼성의 전형적인 급나누기로 차별화를 뒀다...
[6] 후술할 단점이 많다. 하지만 5/11자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되면서 해당 단점들이 많이 보완되었다.[7] 이는 애플이나 LG전자 등 다른 제조사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각 기기의 박스 패키징에 부착된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애플과 LG전자는 일반 사용자가 평상시에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삼성전자는 기기 고객지원 사이트의 URL에서 차이점을 찾아 구분할 수 있다.[8] 이것은 2020년 하반기에 나온 최상급 라인인 갤럭시 탭 S7에서도 빠졌기 때문에 Lite라서 이뤄진 원가절감이라고 보기는 힘들다.[9] 일명 '손날 캡처'[10] 다만 이는 AP 성능이 낮아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는 하다. 근데 성능이 비슷한 s5e는 지원한다. 그래도 삼성 멤버스애서 Dex담당자의 말에 의하면 Dex 모드 추가를 유관부서에서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11] 번인은 아니고 반응속도의 문제로 화면이 매우 느린 속도로 바뀌는 것이다. LG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LG G4가 이 현상으로 매우 유명했다.[12] 배틀그라운드 모바일만 해도 돌아가기는 하지만 GPU성능이 낮아서 그래픽이 매우 열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