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번

 

  • 한자: 古學番, 高學番
  • 영어: Senior class[1]
1. 개요
2. 상세


1. 개요


대학에서 입학한지 일정한 기간이 지난 대학생을 가리키는 표현. 학년이 아닌 학번이 기준이 된다.
반대말은 새내기로, 이것을 또 반대로 해서 헌내기라는 표현으로 부르기도 한다.

2. 상세


일반적으로 남학생의 경우에는 군대를 다녀온 뒤에 복학하고 3학년째가 되는 사람, 즉, 입학한 학번을 기준으로 5년차인 사람부터[2]를 고학번이라 한다. 여학생은 당해 새내기의 학번을 기준으로 휴학이나 교환 없이 3-4학년이 된 사람들을 고학번이라 부른다.[3] 그러나 실제 용례는 고무줄이다.
가령 2학년들은 새내기가 들어오게 되면 자기들끼리 고학번이라고 부른다. 어느 정도 농담조이기는 하지만 기수로 어법과 계급이 결정되는 한국 사회의 특성상 한 기수라도 높이는 게 자신에게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4]
등록금 미납 또는 학사경고 누적으로 제적된 인물이 재입학했거나 학생운동 등 사유로 출학된 인물이 행정소송까지 걸어서 학적을 회복하는 경우도 있는데[5] 이런 경우엔 신입생보다 학번이 높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고시생이 많은 행정학과법대 등에는 다른 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학번들이 많다. 각종 고시를 준비하기 위해 학교에 오래 머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도서관 등에 고학번이 많다.
홈커밍 행사 등을 하면 졸업한 지 한참 된 초고학번들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그 중에 압권은 모교에서 교편을 잡는 '''교수'''가 본인을 학부생 당시의 학번으로 부르는 것. 설립된 지 30년만 넘어가도 해당 대학을 졸업하고 다시 그 대학에서 교수가 되는 선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라고 보면 된다. 심지어 총MT에서 출몰하기도 한다.
대학 팀프로젝트(조별과제)에서 졸업 학점 때문에 조장을 포지션으로 하는 경우가 잦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개인에 따라 다르니 고학번이라고 무조건 조장을 해야한다거나 조를 잘 이끌어 갈 것이라 판단하는 것은 금물. 취업 준비와 면접으로 정신을 놓고 다니는 케이스[6]도 있으니 고학번이 옆에 있다면 잘 챙겨주도록 하자. 고학번에게는 각종 대학생활의 팁이라던가 교수의 과제 취향 등을 얻을 수 있다.

[1] 정확히는 고학년에 가까운 표현이다. 다만 고학년은 대부분 초등학교에서 쓰는 표현이다.[2] 2021년 기준 17학번 이상.[3] 2021년 기준 19학번 이상.[4] 한국에서 만 나이가 보급이 안 되는 이유 중 하나로 한 살이라도 손해보면 반말을 들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5]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재입학이 가능한 제적과는 다르게 출학은 소송까지 걸어야한다.[6] 물론 이미 취업계를 내서 학교에 안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 상황에선 그냥 아예 없는 사람으로 치고 가는 게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