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손룡

 



公孫龍
(BC 320? ~ BC 250?)
1. 개요
2. 내용
3. 기타


1. 개요


전국시대, (趙)나라의 사상가. 는 자병(子秉)
수호지 公孫勝의 長祖

2. 내용


공손룡은 백마는 빛깔을 가리키는 개념이고 말은 형체를 가리키는 개념이므로 백마는 백마이지 말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빛깔을 가리키는 개념과 형체를 가리키는 개념은 엄격히 구분된다는 뜻이다. 그리고 말에는 백마뿐 아니라 흑마(黑馬), 황마(黃馬) 등도 있지만 백마에는 흑마나 황마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백마는 백마이지 말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백마와 말이라는 개념 사이에는 광협(廣狹)의 차이가 있어서 일치하지 않으므로, 백마를 말이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공손룡은 여러 빛깔의 말에서 빛깔을 빼 버린 것이 말이고, 백마는 그러한 말에다가 흰 빛깔을 더한 것이므로 백마는 백마이지 말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곧 말이라는 일반개념과 백마라는 특수개념을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이처럼 공손룡의 백마비마론은 기준과 층위에 따라 개념과 사물의 관계가 엄격히 구분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나타낸 비유적 표현이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한 궤변이 아니라 명분(名分)과 실재(實在)를 혼동해서는 안 되며 그 관계를 바로잡아야 올바른 정치가 실현될 수 있다는 정치윤리를 설파하기 위해 나타난 표현이다.
백마비마론 [白馬非馬論] (두산백과)
명가의 유명한 학자 중 하나. 백마이라는 개념에 '희다'는 다른 개념이 합쳐진 것이므로 말이라는 개념에 포함되지 않고, 따라서 백마는 말이 아니라는 '''백마비마론''' [1]이 유명하다. 제논과 종종 동일선상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인식이론의 문제로 들어가면 사실 저게 대단히 심오한 이야기다!
하지만 당대에도 그의 비실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았던 모양. 이 백마론은 일개 농부에 의해 깨졌는데... 그 농부는 "그럼 백마가 말이 아니고 뭐니?" 라 하자 공손룡은 데꿀멍했단 일화가 있다(...) 또 다른 일화에선, 공손룡이 말을 타고 관문을 지나는데 말도 통행료를 받자 '백마는 말이 아니다'라는 주장을 펼쳤고, 관문지기는 ''''백마가 말이 아니면 양이란 말이오?''''라는 말 한방에 통행료를 받아냈다는 이야기도 있다.[2]
삼국지 11설전에서 궤변을 누르면 백마론이 나오기 때문에 급유명해졌다.
명가나 공손룡에 대해서 현대에는 그다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비자 등에 언급된 것을 보면 당대에는 상당히 유명한 변설가였던 것 같다.
다른 일화로는 장평대전 이후 조나라의 한단 포위를 푸는데 공을 세운 평원군에게 조언한 일이 유명하다. 평원군의 공로에 대해 우경(虞卿)이라는 인물이 왕에게 추천을 하려고 했는데 공손룡이 와서 조언하기를, "이미 왕실의 친척으로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는 와중에 공이 크다고 더 큰 상을 받으면 옳지 않은 일이고, 추천을 한 우경의 입장에서는 성공하면 당신에게 보답을 요구할 것이고, 실패해도 자기가 추천했다고 생색을 낼 것입니다."
그래서 평원군은 그 추천을 사절하였고, 공손룡을 후대하였다. 하지만 이후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추연(鄒衍)과의 논쟁 등으로 인해 그를 내쳤다고 전해진다.

3. 기타



3.1. 하라 야스히사만화 킹덤


[image]
'''공식능력치'''
'''시기'''
'''무력'''
'''지휘력'''
'''지력'''
'''정치'''
20권
83
86
87
?
가이드북
83
86
87
?
가이드북2
83
87
87
?
얼굴에 큰 칼자국이 있는 외눈의 인물로 애니판 성우는 사이토 지로.
조나라의 군사 조장의 설명에 따르면 만능형 무장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밸런스가 85이라고 하는데 만능형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애매한 능력치다. 범장이라 불리는 몽오보다도 능력치도 낮다.[3] 사실 이건 당연하다면 당연한게, 몽오는 최강국인 진나라의 대장군이다. 천하의 대장군들 사이에서나 범재인거지, 일반 장군급인 공손룡과는 클래스가 다르다.
마양 전투에서 조나라군을 이끄는 장군 중 하나로 등장하여 조장의 지휘 아래 진나라군과 싸운다. 이백과 함께 5만의 군대를 이끌고 2만명의 몽무와 싸우지만 패배한다. 당시 몽무군은 민병들이 주력이였고 전술이고 나발이고 없는 닥돌이었다.
합종군에서 경사 휘하에서 참전하여 표공의 군대와 싸운다. 3배에 가까운 병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3천명의 표공군에게 털려 1만을 잃어버렸다. 더군다나 표공군 자체는 큰 피해는 없는 듯했다.
업 공략전에 이르러서는 9만명을 이끌고 5만의 양단화군과 대치한다. 본격적인 전투는 피하지만 소규모 전투에서 번번이 패한다. 대장 자리 또한 제대로 된 실적도 없는, 무명에 가까운 순수수에게 빼앗겼다.[4]
심지어 견융왕 로조와 순수수의 합세로 양단화 군을 포위하는 상황까지 만들었는데. 5배의 군사 차이를 가지고도 포위망을 뚫려 탈출하게 되버리는 최악의 삽질까지 했다. [5] 로조의 성격상 순수수가 없었다면 끔살이 확정이라고 보면 될정도.
보면 알겠지만 공손룡의 전적은 상대방에게 일방적으로 털리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마양이나 합종군, 업 공략전에 이르러서 본인이 더 많은 병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상대방에게 깨진다. 이 정도면 만능이 아니라 그냥 무능하다고 보일 정도. 이렇게 털리는데도 어떻게 장군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지 모를 지경.
같은 시기에 이백은 왕기와 등이 감탄한 전술을 보여줬고, 만극은 광기어린 모습을 보여주면서 현중화의 어둠을 보여주기라도 했지만 공손룡은 그런거 없다. 공손룡의 역할은 상대방을 띄워주기 위한 샌드백 신세에 불과하다.
다만 상대를 보면 몽무, 표공, 양단화라는 먼치킨급 대장군들이라 상대가 너무 나쁘긴 했다.

[1] 삼국지 11에서 설전 시 궤변 커맨드를 쓰면 나오는 말. 대부분 거기서 이 궤변을 처음 접했다[2] 근데 이런 얘기는 고대인들의 주작도 많아서 다 믿기 어렵다. 상대방 학자나 학파의 주장을 비판, 비방, 인신공격, 세력싸움 등을 하기 위한 주작과 윤색이 많았다. 물론 저 사건들이 있었을 수도 있고...[3] 몽오의 능력치는 평균 90정도 된다.[4] 이목은 공손룡은 대장이 아닌 부장으로서 적합하다고 평가하면서 순수수를 보낸다.[5] 링크 이미지의 묘사만 봐도 조군,견웅군의 상태는 멀쩡했는데 반면 양단화군은 제대로 먹지 못하고 연전으로 인한 피로가 심각하게 누적되어 있었다...거기에 5배의 병력을 빼곡히 포위했는데도 이기질 못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