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철도(기업)

 




'''공항철도'''
空港鐵道 | Airport Railroad
[image]
<colbgcolor=#0292db> '''설립일'''
2001년 3월 23일[1]
'''전신'''
'''인천국제공항철도주식회사'''
(2001년 3월 23일 ~ 2006년 6월 28일)
''' '''
(2006년 6월 29일 ~ 2009년 11월 29일)
'''코레일공항철도주식회사'''
(2009년 11월 30일 ~ 2015년 6월 22일)
'''대표자'''
이후삼
'''모회사'''
KB금융지주
'''주요 주주'''
'''KB공항철도 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60.87%'''
국토교통부: 39.13%
'''기업 분류'''
중견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535명
(2019년 4분기 기준)
'''자본금'''
2,356억 5,400만 0,000원
(2019년 기준)

'''매출액'''
4,169억 4,373만 9,796원
(2019년 기준)

'''영업이익'''
1,856억 7,425만 7,281원
(2019년 기준)

'''순이익'''
679억 4,091만 9,748원
(2019년 기준)

'''자산총액'''
2조 1,415억 2,821만 710원
(2019년 기준)

'''부채총액'''
2조 8,884억 1,760만 9,578원
(2019년 기준)

'''운영 구간'''

'''영업 거리'''
69.9km
'''미션'''
'''행복한 동행! AREX'''
'''비전'''
'''가장 안전하고 빠른 길, 공항철도'''
'''소재지'''
'''본사''' - 인천광역시 서구 검바위로 46 (검암동)
'''관련 웹사이트'''
'''공항철도주식회사 공식 홈페이지'''
'''공식 SNS'''
'''공항철도주식회사 공식 블로그'''
'''공항철도주식회사 공식 유튜브'''
'''공항철도주식회사 공식 인스타그램'''
'''공항철도주식회사 공식 트위터'''
'''공항철도주식회사 공식 페이스북'''
'''공식 캐릭터'''
<color=#373a3c> [image]
마스코트 '로드' & '스피' & '나르' & '새라'
'''관련 전화번호'''
고객센터: '''1599-7788'''
공항철도 검암역 유실물센터: '''032-745-7777'''
<color=#fff>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공항철도주식회사 본사'''

행복한 동행!

가장 안전하고 빠른 길

'''공항철도가 함께 합니다.'''

공항철도주식회사의 캐치프레이즈

1. 개요
2. 역사
3. 역대 대표이사
4. 운영 노선
5. 소속 열차
6. 관련 영상

[clearfix]

1. 개요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운영 사업자.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을 앞두고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 계획이 세워지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함께 시범 민자사업으로 지정되면서 창립되었다. 2001년 3월 23일 설립 당시에는 현대그룹 컨소시엄으로 현대건설이 최대주주였다.

2. 역사


이 회사는 2007년 개통된 인천국제공항철도의 1차 구간인 김포공항역 - 인천국제공항역 구간을 운영하다가, 이 노선이 계획될 당시의 수요 예측 오판에 의한 '''적자'''가 발생하고 만다.
쉽게 말해, 김포공항역까지 뚫어놨으니 어느 정도 돈이 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문제는 이 당시 공항철도는 환승할인 생각을 안 한 데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은 개통하지도 않았던 상태라, 김포공항역의 접근성이 개판이였던 것이 문제'''였다. 김포공항역~청라국제도시역 구간의 이용객이 제일 많았기 때문에 사실상 인천 도시철도가 되었고, 비싼 요금 때문에 이용객이 갈수록 쭉쭉 떨어지게 된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던 인천광역시는 일부 노선을 신설해,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승객을 빼가기(...) 시작하며 상황은 점점 안 좋아졌고, 더 이상 사업을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에 이를 정도로 자본잠식이 시작되며, 정말 망하기 직전까지 갔다. 따라서 사측은 주식회사의 지분을 빨리 처리하고자 하였고, 이 풍전등화의 지분이 팔릴리 만무한 이 상황에서 2009년 국토해양부한국철도공사가 공항철도 지분을 인수하도록 '''권고''' 하였다.
그리하여 2009년부터 한국철도공사는 공항철도주식회사의 지분을 88.8% 보유하여 최대주주가 됐으며, 국토해양부가 9.9%를 인수하였고, 현대해상 같이 보험주식으로 출자전환한 일부 보험사들이 나머지 1.3%를 보유하게 되었다. 동시에 대주주 한국철도공사의 계열사가 되면서 사명을 '''코레일공항철도주식회사'''로 바꾸었다. 다만 다른 계열사와 달리 기타 공공기관으로 지정되지는 않았다.
2010년인천국제공항철도의 2차 구간인 서울역 - 김포공항역 구간의 개통과 더불어 운임제도를 대폭 개편해 공항철도의 일부 구간은 따로 지불하는 요금이 없게 만들어 타 도시철도와 환승 자유도가 증가하였고, 시내버스와도 환승할인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독립적인 운임을 계산하는 구간의 감소로 인천공항까지의 운임부담도 전체적으로 감소됐다. 동시에 한 때 한국철도공사 통합 마케팅에 포함되기도 하며, 인천공항행 직통열차를 코레일톡에서 조회하고 탈 수도 있었다.
2014년 한국철도공사는 공항철도 지분을 대대적으로 매각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기사에 따르면 경영 정상화 방침의 일환이었던 것으로, 연내 매각한다고 한다.(관련 기사)
자세한 속사정은 모르지만 한국철도공사에서도 그동안 공항철도를 언젠가 반드시 떼어야 할 혹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던 듯. 그러나 시기가 시기였던만큼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그러나 애초에 공항철도는 공기업이 아니었으므로 한국철도공사의 코레일공항철도 주식매각이 민영화를 뜻한다는건 아니고, 이러한 방식이 혹여 부분민영화 실험이 아닐까 하는 우려였다. 다만 공항철도는 원래부터 민영체제였기 때문에 한국철도공사가 보유한 주식이 민간에 재매각된다고 하여도 민영화라고 말할 수는 없다.
2015년 6월 22일 한국철도공사가 코레일공항철도주식회사 지분을 모두 매각하여 완전히 손을 떼면서 대주주가 KB공항철도특별자산투자신탁으로 바뀌었다. (관련 기사) 이윽고 6월 23일에 사명에서 '''공항철도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 주주는 다르지만 외견상으로는 예전의 모습을 되찾은 셈.
2015년 12월 현재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다. KB공항철도특별자산투자신탁은 65.85%, 국토교통부는 34.15%.
지배 구조가 바뀌었지만 사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이렇다 할 변혁은 없다(...). 그리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하드웨어(?)는 '''국유철도'''이므로 한국철도공사는 떠났지만 KTX 운행은 유지되어 완전히 관계를 끊지는 못하게 되었다. 주식회사SR도 그렇듯이 국유철도를 운영하는 회사가 반드시 한국철도공사여야 할 필요는 없으니까. 하지만 승차권 발매주체가 철도공사에서 공항철도주식회사로 변경되어 한국철도공사에서 인천공항행 직통열차표를 구매할 수 없게 되었고, 레일플러스 포인트 역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스크린도어에 상당한 공을 들인 회사이다. 공항철도 내 직통열차, KTX 통과 문제로 최고의 옵션을 추가한 스크린도어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게 상당히 비싸다. 1,000억이상 썼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개집표기도 상당히 고급져 보인다. 회사의 출퇴근 게이트로 쓰이는 제품을 가져다 쓰고 있다. 공항철도 사옥 1층에도 개집표기와 동일한 제품을 쓰고 있다. 그건 운임수취 용도가 아니고 일반적인 회사의 보안 게이트라 교통카드를 가져다 대도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3. 역대 대표이사


  • 초대 윤주수 (2001~2004)
  • 2대 김윤기 (2004~2009)
  • 3대 허준영, 하승열[2] (2009~2011)
  • 4대 오대철 (2011)
  • 5대 심혁윤 (2011~2015)
  • 6대 이성희 (2015~2016)
  • 7대 김한영 (2016~2021)
  • 8대 이후삼[3] (2021~)

4. 운영 노선



5. 소속 열차



6. 관련 영상



'''▲ 공항철도 공식 홍보영상 (2018)'''

'''▲ 공항철도 공식 로고송'''

아름다운 사람들 행복한 동행

세계 향해 달리는 우리의 희망

사랑받는 공항철도

행복주는 공항철도

함께하는 나의친구

A'REX 공항철도

가장 안전하고 빠른 A'REX 공항철도

2019년 2월 1일에 공개된 메인 로고송. 공식 유튜브에는 여러 버전들[4]

이 올려져 있다.

[1] ‘공항철도주식회사’로의 사명 변경일은 2015년 6월 23일이다.[2] 공동 대표이사 체제.[3]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4] 메인 버전, 대중음악 버전, 발라드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