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세레스
'''KIA CERES'''[3]
1. 개요
기아자동차가 생산, 판매했던 농·임업용 적재중량 1t의 고상형 4WD 트럭. 1983년에 출시되어 1999년까지 생산되었다. 현역 시절에는 4WD의 대명사이기도 했다.
이전에 출시된 봉고에도 고상형이 있었지만 1983년에 세레스로 분리된 것(쉽게 말해서 봉고 고상형의 명칭을 세레스로 변경한 것이다)이다. 봉고를 베이스로[4] 험준한 지형에서도 기동이 가능하도록 마력을 10마력 낮춘 대신 엔진의 토크를 올리고 파트타임식 4WD를 장착했으며, PTO(Power Take-Off, 동력인출장치)가 장착되어 양수기, 탈곡기 등 각종 농기계를 구동할 수 있는 트럭이었다. 적재함 기둥에 높이 달린 것은 야간 작업용 조명이다.
실제 영농업이나 임업에 종사하는 사람만 구입이 가능한 트럭[5] 이었기 때문에 농촌 지역이 아니면 보기가 대단히 힘들지만, 나름대로 소리소문없이 인기가 있었던 트럭이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가면 유달리 이 트럭이 많다. 정말 지겹도록 세레스가 많이 보인다. 과장을 더해서 2000년대까지 제주도 내에서는 굴러다니는 트럭들의 절반이 세레스였다. 이유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지형상 경사가 심해서 4륜구동이 아니면 차량이 들어가는 것조차 곤란한 밭이나 과수원이 많기 때문이다.[6] 충분히 현재 판매중인 포터나 봉고 4륜모델을 써도 되겠지만, 세레스보다 좀 더 큰 덩치덕에 제주 과수원 지형엔 잘 맞지 않아 지금도 많은 농민이 세레스를 찾는다. 제주특별자치도 외에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등 내륙 지방에서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사실상 마쓰다 봉고 2세대 트럭 모델이 올드 트럭으로서 오래 살아남은 셈이다.
구매 부담을 덜기 위한 원가 절감을 위해 차내 편의장비가 거의 없었으며,[7] 기본 조작 장비도 단순하고 저렴한 구성의 장비[8] 를 많이 쓴 것이 특징이다. 전자 장비는 라이트와 라디오가 전부일 정도인 전기-기계식 구조라 고장이 상당히 적고, 관리가 쉽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는 차이기도 하다.
윗동네 러시아에도 우아즈 부한카라는 세레스와 거의 일맥상통하는 차가 존재한다. 다만 이쪽은 세레스와 달리 승합형이 주류며, 현재까지도 생산중.
2. 농촌 슈퍼카
거의 깡통 수준의 사양이었지만, 농촌에서는 세레스가 '''드림카''' 취급을 받던 시절이 있었을 정도로 농업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은 트럭이었다[9] 초기 출시 모델은 2륜(FR) 모델만 판매되었으나, 1988년에 파트타임 4WD 모델이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량이 늘어나게 되었고, 특장차 중 덤프 모델도 출시되면서 건설 현장용으로도 판매되었다. 세레스에 달린 덤프는 초창기에는 뒷쪽으로 기울이는 방식만 나오다가 후기형에는 옆쪽으로 적재함을 기울이는 방식의 라인업[10] 이 추가되어 병행 판매되었다.
이후 1996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유로 2 배기가스 규제 기준에 맞춰 엔진이 파워 봉고, 와이드 봉고 초기형에 사용됐던 일본 마쓰다 제조 SF엔진으로 교체되며(배기량 2.4리터, 80마력) 꾸준히 판매되다가, 유로 3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1999년에 완전히 단종되었다. 세레스가 단종된 후 기아자동차에서는 봉고 프런티어의 4WD 모델을 출시하여 세레스의 자리를 대체하였으며, 세레스에게 고상형을 내주었던 봉고는 4WD 모델이 나오면서 사실상 고상형이 부활하게 되었다.
3. 자세한 설명
1983년에 처음 출시된 모델은 '''소프트탑'''[11] 이었고 적재함 캡 바로 뒷부분에 나무로 된 보조 좌석[12] 이 있어 3명을 추가로 탈 수 있게 하였다. 그래서 3 ~ 6인승[13] . 엔진은 초대 봉고에 사용된 일본 마쓰다 제작 S2엔진(배기량 2.2리터, 60마력)을 디튠하여 사용하였으며 미션은 베이스가 된 일제 4단 수동변속기를 사용하였는데 컬럼식이었다.
1988년 모델은 캡이 하드탑으로 바뀌었다. 적재함 보조좌석은 유지되었다. 미션은 일반적인 플로어체인지식 5단 수동변속기로 변경되었다. 파트타임 4WD가 달리면서 자연히 수동변속기 옆에 트랜스퍼 레버도 추가되었다. 핸들과 수동변속기가 엄청 뻑뻑해서 방향 전환 및 변속할 때마다 있는 힘껏 돌리고 밀어야 한다. 썬바이저와 외부 탈착식 야간 조명이 추가되었다.
1992년에 처음으로 페이스리프트했는데, 봉고처럼 사각형 헤드램프로 변경되었다.
1996년에 등장한 마지막 페이스리프트 모델부터는 안전 문제로 인해 적재함 보조좌석이 폐지되었다.[14] 편의장비도 개선되어 파워핸들, 에어컨(!) 등 편의장비가 추가되어 출시되었다. 그와 동시에 엔진도 파워봉고 및 와이드 봉고 초기형에 들어가던 마쓰다의 80마력 2.4리터 SF엔진으로 바뀌었다.
[image]
보다시피 계기판에 RPM 게이지가 없다. 미등이나 헤드라이트, 히터는 계기판 옆에 달린 스위치로 켜고 끈다. 사실 RPM 게이지는 센터페시아에서 볼 수 없고, 좌측 가장자리에 에어컨 루버가 있어야 할 곳에 있다.
핸들의 경우 봉고(초기형), 타이탄, 콤비(1990년식 이전 모델), 복사, 아시아 미니버스, 아시아 라이트버스같은 1980년대 기아자동차 상용차량에 사용된 핸들과 같은 핸들을 사용하며, 일부 리스토어 업체의 경우 세레스의 핸들을 올드카 복원[15] 에 사용하여 제법 클래식한 느낌을 살리고 있다.[16]
좁은 전폭에 휠베이스가 짧고[17] 무게중심이 높으며, 차량의 무게가 가벼워서(1.1t 내외) 횡방향 안정성이 떨어지는 편이라 주행할 때 주의를 요구하는 트럭이기도 하다. 현수장치가 전후륜 전부 판스프링이라 승차감이 매우 나쁘며, 캡이 달랑 철판 한 장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안전에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주행 소음도 상당히 심하다.
소방차로도 쓰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단종된 후 후속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봉고 프런티어 4WD 모델을 거쳐 현재는 봉고3의 4WD 모델이 세레스의 포지션을 이어받아 판매 중이다. 이후 현대 포터도 4WD 모델을 내놓았다.[18]
하지만 이들은 크기가 커진 만큼 전폭이 넓어져서, 좁은 시골길이나 오프로드를 달릴 때 세레스보다 불편할 때가 있다. 그래서인지 지금까지도 세레스의 수요는 제법 있는 편. 당장 고랭지밭에만 가 봐도 수확철에 다니는 1톤급 화물차는 결국 세레스가 여전히 다수다. 봉고나 포터는 4WD임에도 지상고가 세레스보다 낮아 수확물을 싣고 나오지 못해 트랙터나 굴삭기한테 구조를 받아야 한다고 한다. 때문에 아예 완전 오버홀 수준으로 분해해 녹을 전부 제거하고 새 부품으로 갈아치운 다음, 언더코팅까지 해서 세레스를 유지하는 오너들도 소수 존재한다.
4. 기타
여담으로 캡의 형태는 초대 봉고의 캡을 단종시까지 오래 유지했으며(큰 차이점은 안전창 유무이다.), 현역으로 있던 시절 일부 차량은 앞바퀴와 같은 크기의 복륜식 뒷바퀴를 달기도 했다. 물론 출고 이후 개조업체를 통해 개조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휠의 형태는 타이탄 1.4톤(싱글 캡 저상형 모델은 앞바퀴만 해당)과 AC버스, 봉고 프런티어 4륜구동과 비슷했다. 정확히는 해당 차량들 모두 같은 바퀴를 쓴 것이다. 엔진은 초대 봉고의 엔진을 쭉 사용하다 단종 3년 전인 1996년에 한 차례 교체됐다.
호주에 수출된 적이 있는 것 같다. 이를 어떤 호주인이 찍었다.
수출형 한정으로 빨간색 옵션이 있었던 것 같다.[19] 링크
앞서 언급되었듯이 호주, 터키, 라틴아메리카, 필리핀, 파키스탄 등지에 수출되었으며 수출형에는 후륜구동 사양과 더블캡 사양도 있었다.
정작 세레스의 원판인 2세대 봉고는 4륜구동 모델이 존재하지 않고, 3세대 모델[20] 부터 옵션으로 적용하였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세레스의 휠을 철 차륜으로 바꾸어 철로에서 달릴수 있게 개조해서 각종 공사에 투입하기도 했다. 메르세데스-벤츠 우니모크 등이 보조 철륜을 달아서 구난차량이나 입환기 등으로 쓰인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흔한 일이지만, 일반 트럭을 이렇게 쓰는 건 드물었다. 그러나 안전상에 문제가 있었고, 2012년 8월 20일 경의중앙선 직결을 위한 용산선-경의선 직결 공사 당시 지하 가좌역 공사장에서 이 트럭을 이용하다가 작업차량끼리 추돌, 인부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결국 철로 타는 세레스는 사라졌다.
과거 크로바완구에서 이 트럭의 초기형 모델을 완구로 제작해 판매했었다. 물론 지금은 돈 주고도 구하기 힘들다. 게다가 국산 미니카중엔 유일한 국산트럭 모형이기도하다.[21][22][23]
1박 2일 공식 슈퍼카(?)이다. 3기 당시 강원도 현지에서 빌려온 낡디낡은 트럭을 어디선가 공수해와서는 그걸 타고 다녔는데, 이게 생각 외로 반응이 좋았던데다, 마침 번호판에 '강원 8'이라고 표기되어 있었던 탓에 '강원팔'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이후 제작진들이 이 차를 사들여서는 1박 2일 제주도 특집 때 다시 투입하였다.(...)[24]
5. 둘러보기
[1] 1983년 처음 출시됐을 당시. 지붕이 소프트탑으로 되어있다.[2] 정확히 따지면 초중기형으로, 중후기형과는 사이드미러와 기아로고에서 차이를 보인다.[3] 차량의 이름은 로마 신화의 농업의 신인 케레스의 영어식 발음 '세레스'에서 유래되었다. 참고로 '세레스'라는 이름은 서술한 대로 '농업의 신'이라는 뜻이지만 외국산 쥬스 이름을 떠올리기도 하는 사람도 있으며 이름이 비슷한 금호타이어에서 제조한 '세렉스'라는 타이어 이름을 떠올리기도 하는 사람도 있다. 금호타이어의 세렉스 쪽은 영문 표기는 'XELEX'로 표기하며, 세렉스라는 이름의 타이어는 세레스가 출시된 지 10년 후인 1993년에 출시되었다.[4] 이 때문에 엔진도 초대 봉고에 쓰인 일본 마쓰다 제조 S2엔진(배기량 2.2리터, 60마력으로 디튠)을 채용했다.[5] 일반 도로에서는 높은 차고로 인해 무게중심이 높아서 전복의 위험이 컸다.[6] 진짜 다른 차량들은 전부 통과 불과한 어지간히 좁은, 직각으로 꺾인 길도 세레스를 후진시키면 지나갈 수 있다.[7] 아날로그 튜너가 달린 카세트 라디오, 히터로 끝. 파워 스티어링? 에어컨? CDP(주의표시계기판)? 아예 '''옵션으로도 존재하지 않았다.''' 1996년식부터 엔진이 교체되며 파워 스티어링, 에어컨이 간신히 추가된 게 전부다.[8] 주차용 사이드 브레이크가 요즘 사용하는 지렛대 방식이 아니라 래칫이 달린 T자 막대형 레버를 '''쭉 당겨서'''' 걸고, 풀 때는 살짝 당겨 90도 회전해서 집어넣는 옛날 방식인 케이블식이었다. 참고로 같은 기아그룹 아시아자동차의 대한민국군 K111(군용 찝차)에도 똑같은 형태의 케이블식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했다. 또한, 타이탄 트럭과 야무진에도 단종하기까지 이것을 사용했다 당연히 구조가 간단해서 저렴...한 것이 장점이 되어야 했고 지금까지도 장점이 되어줘야 하겠지만 주차 브레이크#s-2.2 및 삼성 야무진 문서에서도 이미 언급하고 있듯이 제대로 주차된 상태에서도 조금이라도 잘못하면 빠져버리는 결함이 존재한다는 큰 단점 때문에 삼성 야무진 트럭 이후부터는 어느 제조사들이건 간에 승용, 승합, 화물 등의 용도를 불문하고 주차 브레이크만큼은 케이블식이 적용된 차량을 생산 및 출시를 일절 하지 않고 있다.[9] 1993년 무렵에는 영운기가 약 150만원 내외로 제작할 수 있었는데(물론 경운기는 이보다도 쌌다.), 세레스는 500만원 남짓이어서 트럭치고는 상당히 저렴한 가격인 것도 한몫했다.[10] 이게 현재의 3방향 덤프인데, 봉고3에도 이 3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덤프가 현재 판매 중이다.[11] 원가 절감을 위한 시도였지만 전복사고에 대비하여 견고한 직물을 사용했기 때문에 정작 자재비는 철판에 비해 그다지 저렴하지 않았다고 알려졌다. 거기에다 방음에 불리하고 관리가 어려운 소프트탑 고유의 단점은 극복하지 못했기에 결국 1988년형부터 하드탑 사양으로 변경되었다. 1985년 봉고 CF의 20초 경에 소프트탑 사양의 세레스가 배경에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12] 군용 트럭 적재함 좌석과 동일한 구조다. 안전벨트와 비를 피할 수 있는 천막까지 달려 있었다.[13] 자동차 등록증 상의 승차정원은 3+3인으로 등록되어 있다.[14] 6인승은 봉고 프런티어 4WD 더블캡으로 부활되었다. 지금의 봉고 3 더블캡도 4WD 모델과 기존 2륜 모델을 병행 생산한다.[15] 특히 갤로퍼같은 구형 SUV에 주로 쓰인다. 배우 안보현의 자가용 승용차인 1996년식 갤로퍼 리스토어 차량에도 해당 핸들이 장착되어 있다.[16] 다만, 에어백이 없기에 안전성은 매우 취약한 편이다. [17] 장축형과 단축형이 있는데, 4WD는 단축형에만 있었다. 그래 봤자 세레스의 장축형도 다른 1톤 트럭에 비하면 짜리몽땅했다.[18] 하지만 포터와 봉고 4WD는 세레스보다 전폭이 넓고 지상고가 세레스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서 농민들 사이에서는 만족도가 세레스보다 못한 편이다.[19] 다만 이는 오너가 도색을 새로 한 것일 가능성도 있다.[20] 와이드봉고, 베스타의 원판[21] 세창에서 그랜토 이름을 달고 나온 트럭도 있긴하나 그랜토의 금형이 아닌 삼성 SM트럭의 금형이다.[22] 트라고, 마이티, 삼성트럭도 모형이 있긴하지만 모터쇼에서만 판매하는등 정식출시가 아니거나 완구가 아닌 수집용 모형 용도로 만들어졌다.[23] 다만 2020년경 미미월드의 월드카 파워키 시리즈로 '우편배달차'라는 이름으로 현대 포터와 유사한 트럭 미니카가 나오긴 했으나 라이센스 문제인지 차명이 쓰이진 않았고 전면부 형태가 기아 봉고와 섞여 있어 정식 출시라기엔 애매하다.[24] 단, 해당 방송분은 정준영이 돌이킬수 없는 사건을 일으킨 탓에 다시보기 서비스가 중단되어 더이상 시청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