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괘서 사건

 


羅州 掛書 事件
1. 개요
2. 내용
2.1. 배경
2.1.1. 관련 문서
2.2. 진행
2.3. 결과
3. 기타
4. 미디어에서


1. 개요


영조 31년(1755)에 일어난 괘서 사건. 이 해가 을해년이기 때문에 '을해옥사'라고도 하고, 사건을 주도한 윤지(尹志)의 이름을 붙여 '윤지의 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내용



2.1. 배경


숙종 말년 누구를 후계자로 지정할 것인지를 놓고 연잉군을 지지하였던 노론세자를 지지하였던 소론 사이의 다툼은 격화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세자였던 경종이 즉위에 성공하지만, 숙종 말기부터 이미 정국을 장악하고 있던 노론은 경종을 압박하여 연잉군을 세제로 삼는데 성공한다. 급기야 일부 노론 세력이 세제의 대리청정을 요구하는 초강수[1]까지 동원하였지만, 이런 무리수로 소론이 반발했다. 소론 강경파 김일경신임옥사를 주도하여 노론은 실각했다.
신임옥사목호룡이 고변하여 노론의 주요 가문을 풍비박산내버렸고, 급기야 세제였던 연잉군의 이름까지 여기에 오르내리면서 목숨을 위협받았다. 그렇지만 경종이 보호한 덕에 연잉군은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허약한 경종이 즉위한 지 4년째인 1724년에[2] 사망하고, 연잉군이 보위를 이어받았다.
즉위 직후 영조는 보복을 감행하여 김일경과 목호룡을 제거했다.[3] 그러나 영조 3년(1727)에 실각한 소론 강경파 준론 주도로 이인좌의 난이 발발하였고, 반군이 경기도까지 진출하기도 하였지만 결국은 진압된다.

2.1.1. 관련 문서




2.2. 진행


이인좌의 난 직전에 있었던 정미환국 이후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조정에는 소위 탕평책이 적용되어 노론과 소론 사이의 표면적인 균형이 이루어졌다. 애초에 영조의 마음은 자신의 후견 세력이었던 노론에게 기울어져 있었으며, 이인좌의 난을 비롯한 소론 / 남인 강경파(준론)들의 연이은 반란 음모가 중앙 정계에 자리잡은 소론 온건파(완론)들의 정치적인 입지를 갈수록 위축시켰기 때문. 결국 영조 16년(1740) 소론 완론 내에서 가장 강경파였던 이광좌가 사망한 이후 신임옥사가 무고로 처리되고 노론 4대신을 비롯한 사건의 희생자들이 복권되면서(경신처분) 사실상 소론의 입지라는 것은 없어진 것과 마찬가지였다.
김일경의 옥사 이후 30년 가까이 유배를 가 있던 윤지는 이러한 상황을 활용하여 소론 내 불만 세력들을 규합하는 한편으로 나주 목사들과 모의하여 거사를 일으킬 것을 계획했다. 반란을 일으키기 전에 백성들의 민심을 동요시킬 목적으로 무당들의 푸닥거리를 통하여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한편, 영조 31년(1755) 1월에는 나주 객사에 국왕을 비방하는 벽서를 붙이지만 거사를 채 일으키기도 전에 적발되었다. 벽서에 관련된 보고를 받은 조정 측에서는 '무신년 일당들의 소행일 것이다.'라는 결론을 내렸고 윤지를 비롯한 관련자들이 그대로 체포되어 한성으로 압송되었다.
윤지를 비롯한 사건의 주동자들은 영조의 친국 이후 모조리 사형당하였으며, 사건 직후인 같은 해 5월에는 심정연을 비롯한 소론 준론의 자제들이 과거 시험장에서 나라를 비방하는 답안지를 써서 다시 한 번 피바다가 몰아쳤다.

신치운이 말하기를, "성상께서 이미 이처럼 의심하시니, 신은 자복을 청합니다. 신은 갑진년(1724)부터 게장을 먹지 않았으니 이것이 바로 신의 역심(逆心)이며, 심정연의 흉서 역시 신이 한 것입니다."[4]

라고 하니, 임금이 분통하여 눈물을 흘리고, 시위(侍衛)하는 장사(將士)들도 모두 마음이 떨리고 통분해서 곧바로 손으로 그의 살을 짓이기고자 하였다.

致雲曰: "上旣疑之如是, 臣請自服。 臣自甲辰後, 不喫蟹醬, 此乃臣之逆心, 鼎衍凶書, 亦臣所爲也。" 上憤痛流涕, 侍衛將士莫不崩心痛骨, 直欲手臠其肉。

- 영조실록 영조 31년(1755) 5월 20일자 기사[5]


2.3. 결과


영조는 즉위 초부터 당쟁의 여러 가지 폐단을 없애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인좌의 난 이후 정권은 대개 노론계에서 차지하였다. 반면, 실세한 소론들은 거의 신원되지 않았으며, 그들의 원망이 누적되어 당화(黨禍)는 잠재된 채 윤지의 난으로 폭발되었던 것이다. 이는 영조의 탕평책이 여의치 못했음을 반영한 사건이었다. - 나주괘서사건 [羅州掛書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러한 집단 자결에 가까운 소론, 준론의 마지막 발악은 소론이라는 한 붕당의 의리에 치명타를 가했으며, 소론은 사실상 역당으로 전락했다. 또한 연이은 음모에 인내심이 바닥난 영조가 마침내 노론의 청을 받아들여 조태구, 유봉휘를 비롯한 소론 주요 인사들에게 역률을 추죄하는 한편 이광좌의 직첩 역시 박탈하여, 영조 말기 정국은 사실상 노론이 장악했다. 엄밀히 따지자면 노론이라는 붕당 하나가 권력을 독점했다기보다는, 노론 내에서도 특정 가문이 권력을 장악하는, 홍봉한으로 상징되는 척신 정치였다.
을해옥사로 소론 명문가 인사들은 5백 명 넘게 사형당했고, 연루된 집안의 가족들은 노비가 되었다. 이 가운데는 왕족들도 있었는데 소론에 의한 추대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종친인 이증, 이관, 이학, 이당 등은 처형당했다. 상당수는 직접적인 물증에 의해서기보다는 영조가 친히 고문하는 가운데 고통을 참다못해 나온 자백만으로 극형이 가해졌다.
박문수 등 일부 소론은 반성문을 제출함으로써 이런 파국을 면했다. 특히 박문수는 영조가 직접 그를 안심시키고 여전히 신뢰하였다. 국문 도중 박문수, 이종성 등의 이름이 나오자 영조는 이를 불문에 부치게 한 뒤 "여러 해 동안 벼슬한 신하를 만약 한 사람의 말 때문에 갑자기 역적으로 의심한다면 그 누가 기꺼이 믿고 나를 섬기겠는가?"라며 변호했다.(]영조실록 영조 31년 5월 20일자 기사)
그러나 박문수는 죄인을 자처하고 집에 틀어박힌 채 살다가 이듬해 1756년에 사망했다. 소론 대부분은 이후 궤멸적인 타격에서 회복되지 못했다. 이후 이종성이 소론의 영수로 남아서 조정을 개편하고자 했지만 실패했다. 정계는 노론 일색으로 재편되었고, 반대파가 완전히 사라진 든든한 배경 속에서 영조는 천의소감을 편찬하여 자신이 경종의 죽음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널리 선포했다.

3. 기타


노론 음모론을 주장하는 음모론자들은 이 사건을 두고 '사도세자가 소론을 처벌하길 거부해서 노론이 그를 적대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사실 당시 상황을 보면 세자의 의견이라기보다는 영조가 그나마 관련없는 소론 잔여 세력을 보호하려고 한 것에 가깝다. 사실 사도세자의 대리청정은 말이 좋아서 대리청정이지 대부분 영조의 뜻대로 국정을 운영했다. 사도세자는 그냥 아버지에게 기죽은 상태에서 몇 마디 하는 것에 불과했다. 게다가 영조는 <천의소감>을 편찬할 때도 서론에서 소론을 과도하게 폄하하는 기록에 대해서 '''"이 책이 당론에 대해 지어졌는가?"'''라고 노론 대신들에게 일갈하는 등등, 탕평정치를 위해서 알게 모르게 신경쓰고 노력했다.

4. 미디어에서


2015년 개봉한 영화 사도영조가 친국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죄인 중 2명 중 하나가 자신이 나주 사람임을 강조하여 상기 사건을 짧막하게 표현했다. 극 중에서 영조의 콤플렉스를 보여준다.

[1] 건강이 쇠락한 왕이 대리청정을 할 것을 세자에게 요구하여도 신하들이 들고 일어나서 강경히 거부하는 게 조선의 일상적인 풍경이었다. 하물며 이 당시 경종은 갓 즉위한 30대 젊은 청년이었는데도 노론은 경종을 사실상 바지 사장으로 밀어내려고 한 것이다. 경종이 평균적인 왕권만 손에 쥐었더라도 당장 목을 날려버렸을 요구였다.[2] 이 과정에서 영조가 앓아 누웠던 경종의 수랏상에 게장과 감을 진상했다. 경종의 사망 직전 어의가 반발함에도 불구하고 인삼을 처방하라고 강행한 탓에, 영조에게는 경종을 독살했다는 꼬리표가 생애 내내 따라다녔다. 상단의 신치운이 "나는 갑진년(1724)부터 게장을 먹지 않았다."라고 한 것도 여기서 나온 맥락. 경종 독살설과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영조 항목과 경종 항목 참조.[3] 본 항목인 나주 괘서 사건을 주도한 윤지 역시 이 사건에 연계되어서 제주도로 유배된다. 그리고 중간에 나주로 유배지를 옮기기는 하였지만 괘서 사건 전까지 30년 가까이 유배 생활을 했다.[4] 대놓고 임금에게 '당신이 선왕을 독살했잖아. 빨리 날 죽이란 말이다.'라고 바락바락 대든 셈이다. 영조 밑에서 승지를 지내기도 한 신치훈은 저 극언 때문에 선대의 이괄, 후대의 김옥균에 맞먹는 대역죄인으로 일가가 모조리 극형에 쳐해진다.[5] 여담이지만, 이 발언 자체는 엄밀히 따지자면 나주 괘서 사건과는 별개의 사건에서 비롯된 것이다. 나주 괘서 사건 직후, 이 사건에 고무된 신치운을 비롯한 소론 강경파의 자제들이 과거장에서 국왕을 비방하는 글을 쓴 답안지변서사건(答案紙變書事件)을 일으켰고 이후 추포되어 영조의 친국을 받는 자리에서 행한 진술이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놓고 '소론, 준론의 후예들은 마치 집단자결을 하듯이 그렇게 사라져갔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