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카 기이치

 



'''
일본 제국 제26대 내각총리대신
다나카 기이치
田中義一 | Tanaka Giichi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1864년 7월 25일
나가토아부군 하기정
(現 야마구치현 하기시)
'''사망'''
1929년 9월 29일 (향년 65세)
도쿄부 도쿄시 (現 도쿄도)
'''재임기간'''
제26대 내각총리대신
1927년 4월 20일 ~ 1929년 7월 2일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배우자'''
다나카 스테
'''자녀'''
다나카 타쯔오 (장남)
'''학력'''
육군대학교 (8기)
'''정당'''

'''약력'''
만주군 참모
제10대 육군성 군무국장
제9대 육군참모본부 참모차장
제30·34대 육군대신
제5대 입헌정우회 총재
귀족원 의원
제42대 외무대신
제26대 내각총리대신
제45대 내무대신
초대 척무대신
'''군사 경력'''
'''임관'''
일본육군사관학교 (구8기)
'''복무'''
일본제국 육군
1886년 ~ 1924년
'''최종 계급'''
대장
'''참전'''
청일전쟁
러일전쟁

1. 개요
2. 생애
2.1. 초기
2.2. 육군대신 시절
2.3. 총리 시절
2.4. 이후
3. 여담
4. 주요경력
5.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 육군의 군인, 귀족원 의원, 남작, 정치가. 제26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42대 외무대신, 45대 내무대신, 초대 척무(척식)대신을 역임했다. 쇼와 덴노의 인준을 받아 취임한 첫 총리이다.

2. 생애



2.1. 초기


조슈번 하급무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3살에 야마구치현에서 일어난 사족 반란인 일명 '하기의 난'에 참가했다가 반란 실패 후 너무 어린 나이라 훈방조치 되었다. 마을사무소의 직원과 초등학교의 교원을 거쳐 20세에 육군교도단에 입대, 이후 자신의 유능함과 조슈번의 후원이 어울러지면서 일본육군사관학교육군대학을 졸업하여 본격적으로 직업군인의 길을 걸었다. 청일전쟁에 종군한 이후에는 1898년부터 1902년까지 러시아에 유학하고 러시아 정교로 개종하는 등 철저하게 러시아를 연구하여 '러시아통(通)'으로 불렸다. 러일전쟁에서는 만주군 참모로 근무. 1906년에 『수감잡록隨感雜錄』이 야마가타 아리토모에게 높게 평가되면서 육군 중좌로서 제국국방방침의 초안을 작성했다.
1910년(메이지 43년)에 재향군인회를 조직하였다. 이 조직은 이후 다나카의 표밭으로 불렸다. 1915년에 참모본부 차장, 하라 타카시 내각 및 제2차 야마모토 곤노효에 내각에서 육군대신을 역임하고 여론확보를 위해서 육군성내에 신문반을 창설했다.

2.2. 육군대신 시절


하라 내각에서 육군대신이 된 후 남작위를 받고, 육군대장으로 승진하는 등, 이대로 가면 원수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평판을 들었다. 시베리아 출병을 주도하는 등 팽창정책에 앞장섰으나, 1920년 이후엔 출병이 출구전략없는 진창이라고 판단하고 즉각철수론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그러나 곧 협심증으로 쓰러져 한직인 군사참의관으로 전보, 요양 생활을 하였고, 시베리아 철수는 1922년 내각이 한번 바뀌고 나서야 이루어졌다.
다나카가 워낙에 거물이었던 까닭에, 그가 쓰러진 뒤에도 이른바 무당파 운동이라든가 키요우라 내각으로 귀결된 연구회 내각 등 현직 시절부터 총리 후보로 몇 번 이름이 거론된 적이 있었으나, 그가 본격적인 정치가로 전업을 한 것은 정우회(입헌정우회, 政友會)의 분열로 인해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정우회 총재직을 사임하면서 부터이다. 당초 가장 유력한 총재후보였던 요코다 센노스케는 와병중으로 죽어가고 있었고, 당외인사에서 총재을 영입하기로 하였는데, 이토 미요지나 고토 신페이 등이 거절하면서 요코다가 밀던 다나카 기이치에게 차례가 돌아온 것이다.
정우회 입당 시에 300만엔을 지참한 것으로 인해 육군대신의 관방기밀비를 횡령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으며, 총재취임후에는 군부대신 문관제라는 정우회의 정책공약을 파기하고 모리 가쿠, 구하라 후사노스케, 스즈키 기사부로 등 국수주의에 가까운 인물들을 영입하여 정우회의 색채를 친군부로 바꾸었다.

2.3. 총리 시절


26대 총리 취임 후
1927년 쇼와금융공황으로 인해 와카쓰키 레이지로 내각이 총사퇴하면서 다나카 기이치의 정우회에게 내각조성의 대명이 내려졌고, 정우회 총재로서 제26대 일본 총리로 취임하게 되었다. 내각은 전 총리나 차기의 수상자리를 노리는 인사 혹은 장래에 총리가 유력시되는 거물들로 가득찬 내각이라는 평을 들었다.
내치에선 금융공황을 모리토리움 선언으로 가라앉히고, 보통선거법을 실시했으나 안보법 등의 악법으로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 기타 반정부 운동가들을 대거 검거했다.
외교에서는 적극적인 팽창정책으로 전환하여 자신이 스스로도 외무대신을 겸직하고 정무차관으로 대중국 강경 침략론자인 모리 가쿠를 앉혔다. 처음엔 둘은 잘 맞은 편이었지만, 그러나 모리의 지나친 강경론에 어느 정도는 조정의 필요성도 있다고 느끼는 다나카의 성향은 점차 대립하게 된다. 하지만 이미 모리는 상당한 세력을 얻고 있었는데, 모리 가쿠의 주도하에서 "동방 회의"가 개최되어 외무부, 육해군 등의 중국 관련 인사들을 소집하여 중국에 대한 외교 방침을 정할 정도였다. 1927년 국민혁명군 총사령관에서 하야한 장제스가 일본을 방문하자 극진히 대접하고 자신의 사저에서 장제스-다나카 회담을 개최했으나 과거 소련이 그랬던 것처럼 국민당과 합작하여 중국의 통일을 도와달라는 장제스의 요청에는 남방의 안정에 진력하라고 답변하면서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고 장제스는 다나카가 자신을 일개 군벌 중 하나로 대한다고 크게 불쾌해했다. 이후 1928년 국민당의 2차 북벌로 일본의 조계지가 있는 산동성에 국민혁명군이 진주하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 2차 산동파병을 거행하여 제남의 장제스의 1집단군을 공격, 제남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1928년 황고둔 사건이 발생하자 초기에 관련자들에 대한 엄격한 처벌을 주장하였으나, 육군내부의 반발에 밀려 포기하였다. 그러나 야당인 헌정당이 이를 계속 공격하고 쇼와 덴노까지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이 없다는 점을 들어서 '''"다나카를 더이상 보지 않겠다, 다나카는 아주 싫다"'''는 발언을 하자 결국 1929년 7월 내각총사퇴를 하면서 수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2.4. 이후


수상에서 사임한 후인 9월 28일에 귀족원의원 당선축하연회에 출석하였지만 병색은 완연하였고, 결국 그 다음날 협심증으로 사망하였다. 고작 3달 만이었다.

3. 여담


다나카의 몰락은 한때 육군을 독립적 왕국처럼 경영했던 조슈벌의 몰락을 상징하였고, 나름 다나카의 후계자 격이었던 우가키 가즈시게가 3월 사건과 우가키 군축으로 군부의 미움을 사서 조선총독으로 퇴출되면서 조슈벌은 와해되었다. 이후 조슈번의 후신인 야마구치 현 출신 육군장교들은 한동안 육군대학에 입학 추천을 받지 못하는 사태까지 겪었다(...)
쇼와 덴노는 단순히 총리대신을 질책한 것이 내각 총사퇴로 번졌을 뿐만 아니라 죽음으로까지 몰아버린 것에 책임을 느껴서 이후로는 정치적 현안에 대해서는 일체 발언을 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고 발언했는데, 당시 기록들이 1990년에 발굴되고 이른바 '독백 8시간' 내지는 '쇼와천황독백록'으로 공개되면서 역사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다만 이 '독백록'은 전후 전범재판이 열렸던 1946년에 기록된 것이고 쇼와 천황의 자기변호로 가득찬 탓에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면 곤란하다.
여담으로 진위 여부 논쟁으로 유명한 일본제국주의 방침을 나타냈다는 "다나카 상주문"을 썼다고도 한다.
조선총독부에 잠입해 폭탄을 투척하고 성공적으로 탈출했던 독립운동가 김익상 의사가 오성륜과 함께 1922년에 이 사람을 암살하고자 시도했으나 총알이 빗나가는 바람에 애꿎은 외국인 여성만 희생당했고 체포되었다.
여운형에게 2천만 조선인을 없애버릴 수 있다고 말하자 여운형이 "타이타닉호는 빙산을 얕잡아봐 침몰했다. 3.1운동은 빙산의 일각"이라고 했다.

4. 주요경력


'''일본 역대 내각총리대신'''
[image]
25대

26대

27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다나카 기이치
(1927년 4월 20일 ~ 1929년 7월 2일)

하마구치 오사치
'''일본 역대 육군대신'''
[image]
29대

30대

31대
오시마 켄이치

다나카 기이치
(1918년 9월 29일 ~ 1921년 6월 9일)

야마나시 한조

33대

34대

35대
야마나시 한조

다나카 기이치
(1923년 9월 2일 ~ 1924년 1월 7일)

우가키 가즈시게

5. 관련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