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둔산(도립공원)

 


[image] [image]
'''대둔산'''
大芚山
Daedunsan

}}}

'''위치'''
[image] '''전라북도 완주군'''
[image] '''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
'''높이'''
'''878 m (마천대)'''
'''산맥'''
'''노령산맥''' '''금남정맥'''
'''좌표'''
'''북위 36° 07′ 12″ '''
'''동경 127° 19′ 24″'''
'''면적'''
'''72.64㎢'''
(전북: 38.1㎢' 충남: 24.54k㎢')
'''위성사진'''
[image]
'''대둔산 도립공원'''
'''지정일'''
'''전북: 1977년 3월
충남: 1980년 5월 '''
'''관리주체'''

[clearfix]
1. 개요
2. 상세
3. 여담


1. 개요


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전라북도 완주군에 걸쳐 있는 이다. 높이는 878m이다.

2. 상세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 걸쳐 있다보니 산은 하나인데 '''전북과 충남 모두 각자의 도립공원으로''' 지정해 버렸다.[1] 비슷하게 두지역에 걸쳐있는 팔공산 도립공원은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서 비교가 된다.
산세가 웅장하며, 기암괴석과 계곡폭포가 있고 사찰 등의 볼거리 또한 있다. 정상인 마천대를 비롯하여 사방으로 뻗은 바위능선들이 있는데, 거기에 수목이 어우러져 경관이 뛰어나다. 최고봉인 마천대(摩天臺)는 문지를 마(摩), 하늘 천(天)을 써서 "하늘에 닿는다"는 뜻으로 원효대사가 붙인 이름이라 한다. 날씨가 좋으면 마천대에서 먼 북쪽으로는 계룡산대전 시가지가, 먼 남동쪽으로 진안군 마이산이, 먼 서쪽으로 부안군 변산이 보인다.
낙조대(落照臺)에 오르면 멋진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다. 남쪽으로는 대둔산 정상인 마천대가 보인다. 이곳에서 비박도 많이들 하는 듯?
케이블카가 있다. 정상까지 가는 건 아니고 구름다리 있는데까지 간다. 케이블카를 내려서도 한 700m 는 걸어서 올라가야 한다. 내리는 곳에 전망대가 있어 구경하기 좋다. 단풍철 등 성수기 주말에는 2시간 정도 기다려야 하기도 한다. 전북과 충남에 걸친 산이지만 케이블카가 있는 곳은 전북 완주군 쪽이다. 길이 927 m, 소요시간은 편도 약 6분. 2013년 1월 기준으로 성인 왕복 8.500원, 편도 5.500원. 전남 두륜산의 길이 1,600 m 짜리 케이블 카가 왕복 8,000원인 것에 비하면 이용료가 비싼 편이다.
이 산에서 유명한 것이 금강구름다리인데 이는 임금바위와 입석대 사이를 가로질러 놓은 다리다. 높이 81m, 길이 50m. 이 다리를 지나서 정상으로 가다 보면 가파른 계단이 나온다. 삼선 계단이라 하는 유명한 계단. 경사가 51도라 한다. 다리나 계단이 모두 일방통행이라 하산시에는 쓸 수 없다.
주요 사찰로는 태고사(太古寺)가 있고, 안심사(安心寺), 약사(藥寺) 등도 있다. 대둔산에 있는 건 아니지만 가까운 곳에 화암사(花巖寺)가 있다. 화암사에는 보물 제662호인 우화루(雨花樓)가 있고, 보물 제663호였다가 국보 제316호로 업그레이드(!)된 극락전이 있다. 그 밖에 명부전·대불각 등이 있다.

3. 여담


  • 일반 등산객들은 10, 11월에 단풍 구경하러 가장 많이 찾는다. 꽃피는 봄이나 눈내리는 겨울에도 경치가 좋아서, 사진작가들이 자주 찾는 곳이기도 하다. 다만 여름이 되면, 녹색의 나무로 울창한 한국의 많은 산들과 비슷해져서, 지역 등산객을 제외하고는 외부 관광 등반객들이 드문편.
  • 케이블 카를 타면, 정상까지 1시간 정도면 오를 수 있다.
  • 대둔산 정문이 전라북도에 있지만 대전에서 차로 1시간 이내에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서 대전 시민들이 당일 근교산행으로 많이 찾는다.
  • 수도권에서 대둔산 정문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대전역이나 서대전역에서 201번, 202번, 급행1번, 2002번 등등의 버스를 이용하여 '버드내아파트' 정류장까지 간 다음 육교를 건너 34번을 타고 종점인 대둔산휴게소에서 내리는 것이 좋다. 단, 배차간격이 45분 정도로 광역시 버스치고는 길기 때문에 시간표를 숙지하는 것이 좋고, 버스가 대둔산 정문에서 1.6km가량 떨어진 대둔산휴게소까지만 들어가기 때문에 내려서 정문까지 20분가량 걸어가야한다.[2][3]
  •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레딧 등을 검색하면 한국의 산들 중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마도 한국 거주하는 외국인 사진작가가 대둔산의 아름다운 모습을 찍어서 레딧에 주기적으로 올렸기 때문일지도... 외국인들이 놀라는 포인트는 가을 단풍이나 소나무, 바위산에 낀 안개 등이다. 마치 만화나 동화에 나오는 동양의 신비한 수련장소 쯤으로 보여지는 듯하다. #1 #2 #3
  • 인근에 배티재(이치)라는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는 17번 국도 상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의 이치 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대둔산 휴게소에는 이를 기념한 이치 전적비도 만들어져 있다.
[1] 전라북도는 1977년에, 충청남도는 1980년에 지정.[2] 걸어가지 않으려면, 대둔산휴게소에서 하루에 몇대 없는 전북 완주군 방향 버스 시간을 알아보고 갈아타야만 한다.[3] 전북 완주군 쪽에서 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으나, 버스가 대전방향보다 훨씬 적고 전주같은 대도시에서 출발하는 버스가 아니라 읍면지역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수도권에서는 이용하기가 쉽지 않고 한참 돌아가는 루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