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재

 


1. 개요 및 설명
2. 예시


1. 개요 및 설명


'''대체재'''()란 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락)하면 다른 상품의 수요가 증가(감소)할 때 서로 다른 두 상품을 (서로) 대체재라고 한다. 보완재와는 대비되는 개념. 즉, 대체재끼리의 가격과 수요는 정(+)의 관계를 갖는다.[1] 한 쪽의 가격이 상승하면 다른 쪽의 수요는 반드시 증가한다. 언급했듯이 어느 한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할 때 그 두 재화간의 관계를 '''대체재'''라고 하는 것이므로 단순히 대체 가능하다는 것만으로는 경제학적 개념인 대체재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2]
이 경우 X재 가격에 대한 Y재 수요의 교차탄력성인 $${\textsf{Y재의 수요변화율}\over \textsf{X재의 가격변화율}}$$은 0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같은 재화라도 상황에 따라 대체재 해당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주와 맥주의 맛이 서로 비슷하다고 생각하며 소주의 가격이 상승하면 맥주의 수요를 늘리는 소비자에게는 소주와 맥주가 대체재 관계이나[3], 소주와 맥주를 섞어서 먹는 취향을 가진 소비자에게는 소주와 맥주는 서로 보완재 관계를 가지게 된다.
대체재의 재는 재화를 뜻하므로 '재'가 맞지만 대체'제'라고 잘못 쓰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다.

2. 예시


아래의 예시는 일반인의 기준이며, 언급했듯이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인에게는 대체재인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독립재[4], 보완재일 가능성도 있다. 그 예시가 밥↔라면. 이 점을 염두에 둘 것.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대체재의 가장 일반적인 예시.
대체재 중 가장 흔히 나오는 사례 중 하나. 콜라한정으로는 코카콜라펩시가 있다.
한국 외식업계의 흔한 경쟁 구도. 다만 둘을 같이 주문하는 경우도 있어 애매하긴 하다.
  • 열차(전철(경전철)/기차) ↔ 버스(시내/고속(광역)버스)
대중교통 시스템의 투톱. 지하철 개통 때문에 버스가 몰락하거나, 전철 노선이 너무 이상해서 버스가 흥하는 사례 등은 흔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두 대중교통의 연계를 잘 구축해둔다면 보완재 관계가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1] 만약 한 상품이 기펜재라면 가격이 상승해도 수요가 증가하고 다른 상품의 수요가 줄어들 경우 이 때는 대체재끼리의 가격과 수요는 반비례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수요의 법칙이 성립하는 경우가 절대다수이므로 정비례한다고 일반화할 수 있다.[2] 물론 현실적으로 대체 가능한 것들은 경제학적으로 대체재일 가능성이 매우 높긴 할 것이다.[3] 특히 증류식 소주수입 맥주를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다.[4]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해도 다른 재화의 수요가 전혀 변하지 않을 때 두 재화의 관계를 독립재라고 하며, 이 경우 수요의 교차탄력성은 두 재화 모두 0의 값을 갖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