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허 소총

 

'''Mannlicher Gewehr'''
''만리허 소총''

'''종류'''
볼트액션 소총
'''국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역사'''
'''개발'''
페르디난트 만리허
'''개발 년도'''
1886년
'''생산'''
슈타이어-만리허
FÉG
ČZ
'''생산 년도'''
1886년~1887년 (M1886)
1888년~1896년 (M1888)
1891년~1896년 (M1890)
1893년~1914년 (M1893)
1896년~1920년 (M1895)
1903년~1930년 (만리허-쇠나우어)
'''생산 수'''
100,000정 (M1886)
1,095,000정 (M1888)
115,218정 (M1890)
195,000정 (M1893)
약 3,500,000정 (M1895)
최대 350,000정 (만리허-쇠나우어)
'''사용 년도'''
1886년~1918년 (M1886)
1888년~1945년 (M1888)
1891년~1918년 (M1890)
1893년~1945년 (M1893)
1896년~1945년 (M1895)
1903년~1941년 (만리허-쇠나우어)
'''파생형'''
M1886
M1888
M1890
M1893
M1895
만리허-쇠나우어
'''제원'''
'''구경'''
11mm
8mm
7.92mm
6.5mm
'''탄약'''
11×58mmR
7.92×57mm 마우저
8×50mmR
8×52mmR
8×56mmR
6.5×53mmR
6.5×54mm
'''급탄'''
5발짜리 탄 클립
'''작동 방식'''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
볼트액션 (만리허-쇠나우어)
'''중량'''
4.52kg (M1886)
4.41kg (M1888)
3.3kg (M1890)
4.06kg (M1893)
3.78kg (M1895)
3.83kg (만리허-쇠나우어)
'''전장'''
1,326mm (M1886)
1,280mm (M1888)
1,005mm (M1890)
1,227mm (M1893)
1,272mm (M1895)
1,226mm (만리허-쇠나우어)
'''총열 길이'''
806mm (M1886)
765mm (M1888)
498mm (M1890)
725mm (M1893)
765mm (M1895)
725mm (만리허-쇠나우어)
'''총구 탄속'''
440m/s (M1886)
530m/s (M1888)
620m/s (M1890)
731m/s (M1893)
620~720m/s (M1895)
678m/s (만리허-쇠나우어)
'''유효사거리'''
600m
'''최대사거리'''
1,725m (M1886)
2,100m (M1893)

1. 개요
2. 상세
3. 종류
3.1. M1885
3.2. M1886
3.3. M1888
3.4. M1890
3.5. M1893
3.6. M1895
3.7. 만리허-쇠나워
4. 둘러보기


1. 개요



영상은 M1888/90.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볼트액션 소총 시리즈.
슈타이어 만리허사의 전신이 되는 요제프와 프란츠 베른들의 기업에서 생산하였으며 후반기 소총들을 슈타이어 만리허 소총으로도 부르기도 한다.[1]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의 동맹군을 비롯해 제2차 세계대전의 추축군이 사용하였고, 각국이 이 소총 계열을 참고하여 캐나다는 로스 소총을, 스위스는 슈미트-루빈을 개발하여 이후 K31 등의 소총이 등장하였다.

2. 상세


M1893과 만리허-쇠나워 등 일부를 제외하면 모든 소총들이 회전식 볼트액션이 아닌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에 일괄(En-bloc)식 클립을 사용하며[2] 각 소총마다 소소한 변경점과 차이점이 있다.
견고하고 신뢰성 높은 스트레이트 풀 볼트액션으로 분당 30~35발을 낼 수 있었지만 파손에 취약했고, 따라서 알맞은 관리 및 유지보수가 필요했다.[3]
4발정도 쏘면 마지막 탄을 약실에 장전할 때 클립이 총 하부에 있는 개구부로부터 떨어진다. 다만 이곳을 통해 이물질이 잘 들어가서 고장을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내에서는 루크-추(뤼)크(Ruck-Zu(rü)ck)[4]라는 별명이 있었다. 전쟁 당시 이탈리아군에서 타-품이라는 노래가 나오기도 하였다.
독일의 게베어 1888이 개발 과정에서 장전 방식 등이 특허권과 라이센스를 무시하고 만들어졌는데,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소송을 걸어 이를 무마하기 위해 Gew88의 하청발주를 30만정이나 억지로 매우 비싼 바가지를 써가면서 해주어야 했다고 한다.

3. 종류



3.1. M1885


[image]
1870년대 말에 들어서면서 단발식이었던 기존의 베른들 M1877 소총에 불만을 가진 위원회가 새 연발총을 원했고, 이에 채택된 것이 바로 이 총이다. 다만 프로토타입 모델이었는지 다음 해가 돼서야 정식적인 채용이 이루어졌다.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으로 당시 소총들에 비해 빠른 연사력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만리허가 설계한 M1885반자동소총도 존재한다. 다만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소총은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 소총인 M1886의 전신이다.

3.2. M1886


[image]
클립 멈치가 대폭 간소화되고 탄창 뒷부분으로 이동되거나, 페이스[5]형 조준기에서 탄젠트형 조준기로 교체되고, 총구 밑의 꼬질대가 사라지고 끈 고정대가 다시 디자인되는 등 경량화가 이루어지는 등 M1885에서 갖가지 변경이 있다.
프랑스에서 르벨 M1886소총과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신형 탄환인 르벨 8mm에 영향을 받아 생산 시작과 동시에 소구경탄을 사용하는 소총의 필요성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느껴서 신형 탄 개발이 진행되었고, 80년대 후기에 반쯤 무연화약을 이용하는 8x52mmR로 변경한 M1886-88이 등장한다. M1886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생산한 마지막 흑색화약 소총이다.
M1886는 스트레이트-풀(Straight-Pull) 볼트액션 소총중에서 세계최초로 대량생산된 소총이다. 이후 스위스에 영향을 줘서 스위스 또한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을 생산하게 되었다는 말이 있다.[6] 또한 앤 블록(En-bloc)식 탄 클립을 처음 사용한 소총이기도 하다. 이후 독일 제국에서 개발한 Gew88이 만리허 M1886과의 유사점이 많아 특허 소송을 통해 Gew88을 비싼 가격에 독일이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하청 생산을 하기도 했다.[7]
의외로 스페인 내전때 공화국군이 사용한 기록이 있다.

3.3. M1888


[image]
M1886의 직손. 여전히 화약은 반쯤 무연화약을 사용했다. 1890년대에 이르면서 완전히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8x50mmR를 사용하는 M1890[8]이 등장했다. M1888 계열 만리허 소총도 약 100만정정도 생산되어 M1895가 양산된 이후에도 꾸준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내에서 사용되었다.

3.4. M1890


[image]
카빈형 모델. 끈 고정대와 총열 덮개가 사라졌다. 기병용, 국가 헌병대용, 해군용 등 3가지 종류가 있다.
아프가니스탄 왕국 당시 군주였던 압둘 라흐만 칸에 의해서 소수가 제조되기도 하였다.

3.5. M1893


[image]

루마니아 왕국의 제식 소총이 되어 한동안 루마니아군에서 폭넓게 사용되었다. 다만 카롤 1세의 인정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있었다. 포르투갈에서도 주문하여 나중에는 생산까지 한다.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이 아닌 일반적인 회전식 볼트액션 방식으로, 6.5x53mmR를 사용하는 모델이다. 수출용 모델이었지만 엄연히 무연화약을 쓰는 탄환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즈음부터 8x50mmR를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소총으로 내놓아 많은 수가 전장에서 사용되었다.

3.6. M1895


[image]

'''Infanterie Repetier-Gewehr M.95''' / '''Gyalogsági Ismétlő Puska M95'''[9]
제1차 세계대전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주력소총이었다. 초기에는 반쯤(...)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탄환은 쓰기도 했던 오스트리아가 1893년, 마침내 완전한 무연화약을 개발한 뒤, 기존의 만리허 소총중 M1890을 개량해서 탄생 한 것이 M1895이다. 다만 탄환은 당시에는 흔했던 탄두가 둥근 형태였다. 총 생산량은 약 3,500,000 정으로 확실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당대 열강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 제1차 세계대전때는 슈타이어-만리허 사가 '''하루에 만정''' 생산을 했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10]
첫 실전은 의화단 전쟁때로,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육전대가 사용했다. 신형소총은 금방 병사들에게 호평을 들었으며 불가리아 왕국에서 수출되어 발칸 전쟁당시 불가리아군이 유용하게 사용했었다.[11] 재미있게도 이시절 발칸 국가중, 루마니아 왕국그리스 왕국도 만리허 소총계열을 사용했다는 점이다.[12]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만리허 소총의 단점이 크게 들어나기 시작했는데, 바로 참호전을 겪다보니, 클립이 빠지는 구멍으로 이물질이 들어와 잔고장을 유발했던 것이다.[13] 다만 당시 공업력이 오스트리아보다 약했던 이탈리아제 카르카노와 비교하면 만리허가 더 우수하다고 평가받았다.[14]
패전 후 많은 수가 전쟁 배상금으로 발칸 반도로 흘러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예비군과 빨치산들이 사용했다. 또한 체코같은 신생국에서 생산되기도 했으며, 오스트리아에서는 1930년대 즈음부터 구경은 동일하되 장약을 키운 8x56mmR으로 사용 탄이 변경되었으며 패쇄기 방식도 바뀌었다.
총열 하단에 가스피스톤을 장착하여 반자동소총으로 만든 총이 일부 존재한다.
다이스가 제작한 게임이자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하는 FPS 게임배틀필드 1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소총으로 나온다.

3.7. 만리허-쇠나워


[image]

'''Mannlicher-Schönauer'''
스트레이트 풀 방식이 아닌, 일반적인 볼트액션 소총이다. 다만 급탄방식은 의외로 로터리형 탄창이다.
그리스군이 1903년에 채택했다. 이후 그리스군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NATO군 무장을 할 때까지 사용했다. 다만 이미 일반 볼트액션보다 연사력이 앞서는 M1895 등을 사용하고 있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서는 소수만 사용되었다.[15]
흥미롭게도 1950년대 만리허(슈타이어)사가 다시 생산을 해서 민간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어 스포츠 사격이나 사냥에 사용되었다. 이렇게 민수용으로 만들어진 만리허-쇠나워는 1972년까지 생산되었다고 한다. 거기에다가 100주년 기념으로 RB2003이라는 기념 생산품도 존재한다.[16]

3.8. 35/43M 연발총


[image]
[image]
G98/40 및 43M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4. 둘러보기

















[1] 영어로는 '만리커'내지는 '맨리커'로 발음한다. Charlotte을 샬롯이라고 발음하듯.[2] 이 때문인지 비슷한 장전 방식을 가지는 다른 소총들은 만리허-베르티에, 만리허-카르카노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3] 다만 스트레이트 풀 방식이 회전식 볼트액션보다 구조적으로 더 복잡하다고는 해도, 현대 돌격소총보다는 더 단순한 구조이다. 스트레이트 풀 볼트액션 소총의 구조는 가스 작동식 자동화기에서 가스 작동 구조만 제거한 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 따라서 이 부분은 당시 공업능력의 한계나, 회전식 볼트액션 소총과의 비교에 따른 문제로 보인다.[4] 독일어로 '왔다 갔다'라는 은어.[5]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길이 단위. 사람의 일반적인 걷는 길이를 기준으로 하지만 애매한 감이 있을 수 있다.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1페이스당 약 76.2cm가 된다.[6] 기술적인 교류도 있었지만 스트레이트-풀 방식은 제작법이 마우저식 볼트액션에 비해 복잡해서 오스트리아-헝가리를 제외하면 제식소총으로 대량생산한 나라가 스위스밖에 없다.[7] 애초에 Gew88이 이것저것 배낀 것이 많은 소총이었다.[8] 밑에서 설명하는 M1890 카빈과는 다른 물건이다.[9] 공식적인 이름이다. 전자는 독일어, 후자는 헝가리어이다. 번역하면 95년형 보병연발소총 정도 된다.[10] 실제 만정은 아니였다고 한다(15,000명의 직원이 하루에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은 약4000정 수준이었다고 한다. 만정이라는 말은 아무래도 많이 만들어지는 것을 표현한 듯하다.) 하지만 전쟁이 끝나고 과도하게 커진 회사 규모를 유지하지 못하고 파산하면서 현재까지도 슈타이어사가 이만큼 번성한적이 없다.[11] 87,000정 정도 수출 되었는데, 너무 적지 않냐고 생각 할지도 모르나, 당시 발칸 국가들은 인구도 적고, 경제력도 약했다. 그러다보니 수천단위의 전투도 꽤나 흔했다.[12] 다만 루마니아와 그리스가 쓴 만리허는 스트레이트-풀 방식이 아닌 평범한 볼트액션 소총이었다.[13] 이점은 카르카노 소총도 마찬가지였다.[14] 당시에 카르카노는 노리쇠가 뻑뻑한 것으로 유명했다. 탄이 약한 것도 있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쪽도 탄두가 둥글어서 상대적으로 비교가 덜 되었다.[15] 1차대전 중, 폴란드 주둔 병력의 일부가 그리스에 수출하려다 재고로 남은 만리허-쇠나워를 일부 사용했다.[16] RB2003을 제작한 사람은 1960년대에 만리허사에서 일하던 직원이었다고 한다. 오래간만에 제작을 했음에도 기존 소총과 부품 호환이 가능하다고 한다.